[시사오디세이]국민이 만들어 낸 자랑스러운 국난극복의 역사

  • 오피니언
  • 시사오디세이

[시사오디세이]국민이 만들어 낸 자랑스러운 국난극복의 역사

이정호 목원대 금융보험부동산학과 교수

  • 승인 2019-08-05 08:23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이정호 교수
이정호 교수
국내의 반기업적인 정책 기조와 친노동적인 정책 등으로 국내 경기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일본은 '화이트 리스트'에서 결국 한국을 제외하는 결정을 내렸다. 북한은 미사일 발사 도발을 하고 있고, 러시아와 중국 일본 등은 우리나라 영공을 안하무인으로 침범하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과 일본의 갈등이 있을 때마다 중재 역할을 해 오던 미국도 이번 일본과의 갈등에는 전혀 그 존재를 드러내지 않고 있다.

지난 주말 '씨비스킷'(Seabiscuit)'이라는 영화를 보게 됐다. 이 영화는 1930년대 세계 대공황으로 미국이 좌절과 절망의 늪에 허덕이던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씨비스킷'이라는 경주마와 이를 중심으로 뭉친 세 주인공인 마주(馬主)와 조련사, 기수들이 각자 자기 앞의 삶의 시련을 딛고 인생승리를 거두는 과정이 담겨 있다.



세계 대공황(Depression)은 1929년 미국 뉴욕 월가(街)의 '뉴욕주식거래소'에서 주가가 대폭락하면서 시작된 가장 전형적인 세계공황으로, 1933년 말까지 세계의 대부분의 자본주의 국가에 파급됐고 여파는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1939년까지 이어졌다.

주가폭락은 미국 경제의 각 부문에 급속도로 파급돼 물가 폭락과 생산 축소, 경제활동 마비상태를 야기했다. 1933년에는 미국 전체 근로자의 30%에 해당하는 1500만명 이상이 일자리를 잃어 전국적으로 실직자들이 넘쳐났다.



국민에게 희망을 주고 대공황을 극복할 수 있다는 의지를 일으켜준 것은 볼품없는 한 마리 경주마 '씨비스킷'과 그를 둘러싼 흑수저, 루저(loser)들이었던 마주(馬主)와 조련사, 기수였다.

이들 주인공의 만남이 있기 전의 이들의 삶은 그야말로 흙수저와 루저의 삶이었다. '씨비스킷'은 작은 키와 굽은 다리, 초라한 외모로 조롱받으면서 단돈 25달러를 벌기 위해 매일 혹독한 채찍질을 견뎌내야 했다.

기수 쟈니 폴라드는 대공황의 여파로 인한 경제고로 심한 고통을 당하던 부모 곁을 떠나 고아처럼 살면서 낮에는 마구간에서 말을 돌보고 밤이면 돈을 벌기 위해 무명 권투선수로 권투경기장에서 죽을 만큼 얻어터지면서 생활했다. 죽도록 맞다가 한쪽을 실명한 그는 세상에 맞서 살아가기엔 너무 왜소하고 기수가 되기엔 너무 몸집이 컸다.

마주 찰스 하워드는 서부에서 가장 잘 나가는 자동차 대리점을 운영하다 아들이 자동차 사고로 목숨을 잃으면서 그의 삶도 곤두박질치기 시작했다. 아내는 아들의 죽음을 남편의 탓으로 돌리면서 이혼했고 결혼생활도 파탄 나고 혼자 남게 되는 상처 속에 살았다.

나이 많은 말 조련사 탐 스미스는 경제 대공황으로 직장을 잃은 실업자 신세로 살아가고 있었다. 마주 하워드에게서 거칠고 난폭한 작은 경주마 씨비스킷의 조련을 맡으면서 그는 쟈니 폴라드라는 한 기수에게서도 그 경주마와 같은 상처 입은 영혼을 발견하게 된다.

흙수저 또는 루저로 상처를 안고 살아가던 마주와 경주마, 그리고 조련사와 기수가 만나 함께 안락사 직전의 경주마를 미국이 자랑하는 최고의 명마로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현재 우리가 처한 국난(國難)을 극복하기 위한 지혜를 얻었으면 한다.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최상이나 일단 싸우게 됐다면 이겨야 한다. 우리에게는 자랑스러운 국난극복의 역사가 있다. 과거 몽골침입이나 임진왜란 등 다른 나라의 침략에는 임금이나 고관대작들이 다 도망갈지라도 흙수저나 루저로 상처받고 살아가던 국민이 의병으로 분연히 일어나 목숨 바쳐 나라를 지켰다.

또한 IMF 경제위기 같은 어려움에도 국민의 자발적인 금 모으기 등으로 어려움을 극복해 왔듯이 이번 일본과의 경제문제도 국민의 힘으로 극복해 갈 것을 기대하고 확신한다.

/이정호 목원대 금융보험부동산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준비 안된 채 신입생만 받아"… 충남대 반도체 공동 연구소 건립 지연에 학생들 불편
  2. '복지부 이관' 국립대병원 일제히 반발…"역할부터 예산·인력충원 無계획"
  3. '수도권 대신 지방의료를 수술 대상으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우려'
  4. 설동호 대전교육감 "수험생 모두 최선의 환경에서 실력 발휘하도록"
  5. 대전시의회 교육위 행정사무감사…학폭 예방 교육 실효성·대학 사업 점검
  1. 2025 '도전! 세종 교육행정' 골든벨 퀴즈 대회 성료
  2. 세종교육청 '수능' 앞둔 수험생 유의사항 전달
  3.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유득원 행정부시장 "세계로 잇는 든든한 주인공 뒷받침 최선"
  4.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박태구 중도일보 편집국장 “문화·언어 달라도 마음이 통하면 우리는 하나”
  5. 세종교육청 2026년 살림살이, 1조 1817억 원 편성

헤드라인 뉴스


주가 고공행진에 충청권 상장기업 시총 174조원 돌파

주가 고공행진에 충청권 상장기업 시총 174조원 돌파

대외 불확실성이 완화되면서 코스피 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4000선을 돌파하자 충청권 상장사들의 주가도 고공행진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의 대규모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한 달 새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이 전월 대비 19조 4777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11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10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74조 5113억 원으로 전월(155조 336억 원) 보다 12.6% 늘었다. 10월 한 달 동안 충북 지역의 시총은 27.4% 상승률을 보였고,..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국가유산청은 충남 서천군에 위치한 '서천읍성(舒川邑城)'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천읍성은 조선 세종(1438~1450년) 무렵에 금강 하구를 통해 충청 내륙으로 침입하던 왜구를 막기 위해 쌓은 성으로, 둘레 1645m 규모에 이른다. 조선 초기 국가가 해안 요충지에 세운 방어용 읍성인 연해읍성 가운데 하나다. 산지 지형을 활용해 쌓은 점이 특징이며, 일제강점기 '조선읍성 훼철령(1910년)' 속에서도 성벽 대부분이 원형을 유지해 보존 상태가 우수하다. 현재 전체 둘레의 약 93.3%(1535.5m)가..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청소년 인구 최다' 지표를 자랑하는 세종시가 정작 청소년 예산 지원은 물론 전담 인력조차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에 이어 청소년 예산까지 감축된 흐름 속에 인력·자원의 재배치와 공공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미래 세대를 위한 전사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세종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아동청소년 인구(0~24세)는 11만 4000명(29.2%)이며, 이 중 청소년 인구(9~24세)는 7만 8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20%에 달하고 있다. 이는 전국 평균 15.1%를 크게 웃도는 규모로, 청소년 인구 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