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톡] 도자화가 유혜원이 선보이는 감각의 시간들

  • 오피니언
  • 여론광장

[문화 톡] 도자화가 유혜원이 선보이는 감각의 시간들

김용복/ 극작가, 예술 평론가

  • 승인 2019-08-27 17:42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대전MBC M갤러리에서 21일부터 27일까지 유혜원 도자화 개인 부스전이 이어진다.

그는 전시회 주제를 '청화빛이 물든 감각의 시간들'이라 했다. 감각에는 청각도 있고, 미각도 있으며, 눈으로 보고 마음으로 느끼는 시각도 있는 것이다. 물론 도자화가 유혜원이 이번에 선보이는 작품들은 시각에 의한 감각일 것이고 그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초감각으로 우리에게 다가 올 것이다. 유혜원은 젊다. 아직 세상 삶을 충분히 겪어보지 못한 그가 초감각의 세계를 다루고 있는 것이다.

특히 초감각 인식에서 다루는 감정은 감각이 우리의 인식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설명해야 한다. 그리고 시각을 통해 우리의 인식세계가 바뀐다면 우리는 바뀐 감각을 통해 또 다른 세계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보자, 도자화가 유혜원이 말하는 감각의 시간들을.



"나는 한동안 달에 집착했었다. 그림마다 달을 넣었고 달 밝은 밤 물을 떠다놓고 소원을 빌었다. 그러나 그것의 순수성은 길게 가지 못하고 결국은 내 욕심이고 집착임을 깨닫게 되었다. 그렇게 깨닫는 순간 끌어안고 있었던 집착이라는 하얀 덩어리에 소심했던 순간들은 거친 바람을 따르면서 격렬하게 요동치게 되고, 가냘폈던 슬픔들을 해소하게 되었는데 그렇게 해서 탄생된 작품이 달항아리에 숨겨진 '비극의 카타르시스'이다."

1
비극의 카타르시스 40×40cm 1250℃산화 800℃ porcelain
나는 다채로운 공간 안에서 늘 혼란에 빠지곤 한다. 어떤 날은 눈부신 오페라의 강렬한 조명을 원하고 어떤 날은 창밖의 스잔한 빛에 집착을 하며, 어떤 날은 더 깊고 깊은 내가 없는 곳을 향해 달려가기도 한다. 청화의 빛깔은 나를 무척 닮았다. 블루도 아닌 코발트도 아닌 어디에도 머물지 않는 그 창백하고도 격렬한 빛깔.

나는 왜 블루를 고집하는가. 나는 왜 꼭 너여야만 하는 것인가.

이 세상 모든 것들을 무시하더라고 무시할 수 없는 것들.

곳곳에 흩어진 시선들을 선과 색 그리고 농담으로 분열시켰다가 응집시켰다 적잖이 혼란에 빠졌던 그 순간과 관계를 정리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블루는 단순히 블루로 머물지 않는다. 그 어디에도 구속받지 않은 시간과 공간의 이야기다.

나는 그 공간 안에서 환희와 기쁨, 슬픔 고독과 휴식이라는 사유의 시간을 통해 영원한 자유를 갈망하고 있다." 고 했다.

도자화가 유혜원이 공간 안에서 환희와 기쁨, 슬픔 고독과 휴식이라는 사유의 시간을 통해 영원한 자유를 갈망하고 있다고 했다. 아리따운 애숭이 화가 유혜원이 갈망하는 영원한 자유란 무엇일까?

그것은 생을 받은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상대(相對)적이고 유한(有限)한 세계로부터 절대(絶對)적이고 무한(無限)한 세계로 들어가게 하는 것이 아닐까?

상대적이고 유한한 세계는, 지금 유혜원이가 살고 있는 이 세상과 같이 태어남과 죽음이 있고 고통과 번뇌가 가득찬 세계가 아닐까? 그런 세계는 미모의 여인들은 살 수가 없는 것이다. 거기에 젊은 화가 유혜원은 지적인 매력에 자존심까지 강한 여인이다. 그래서 그는 영원한 자유를 갈망하는지도 모르겠다.

물어보자, 유혜원 도자 화가에게.

이 세상에서 여인들이 누리는 행복, 특히 예술가들이 누리는 행복은 찰라에 지나지 않으며, 그것은 오히려 괴로움만 더해 줄 뿐이기에 영원한 자유를 갈망하는게 아닌가?

2
시기하는 자유 40×40cm 1250℃산화 800℃ porcelain
자유의 무게와 모양은 각각 다르다. 물질의 자유, 종교의 자유, 권력의 자유, 따가운 시선으로부터의 자유, 도덕의 자유, 무겁거나 가볍거나하는 자유의 무게, 내 자유의 무게는 무거운가 가벼운가. 여러 모양의 자유가 마치 춤을 추듯 부딪히고 시기하며 끌어안고 사랑하고 헤어짐을 반복하며 그 모든 것을 포용하듯 안정된 공간에서 움직이고 사라지며. 자유라는 이름으로 놀고 있다. 가벼워지고 다시 무거워지고 서로를 시기하듯 춤을 추듯.

나는 어떤 자유를 갈망하는가.

김용복/ 극작가, 예술 평론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2. 대전교육청 교육공무직 명칭 '실무원'→ '실무사'… "책임성·전문성 반영"
  3. 산학연협력 엑스포 29~31일 대구서… 지역대 ‘라이즈’ 성과 한자리에
  4.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5. 대전 유성 엑스포아파트 재건축 지구지정 입안제안 신청 '임박'
  1.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2.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3. [편집국에서]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마지막 국정감사
  4.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5.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헤드라인 뉴스


긴장 풀려다 병 얻을라… ‘수능약’ 부작용 주의보

긴장 풀려다 병 얻을라… ‘수능약’ 부작용 주의보

수능 시험을 앞두고 '수능약' 혹은 '면접약'으로 불리는 일부 약이 학부모, 면접을 앞둔 취업준비생들을 유혹하고 있다. 시험 당일 긴장을 완화해 주고 떨림이나 가슴 두근거림을 줄여주는 데 효과가 있을 거라는 기대 때문인데, 심혈관 질환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을 불안 완화용으로 임의 복용하는 것은 부작용 위험이 크다는 게 약사의 설명이다. 29일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에 따르면, 고혈압이나 부정맥처럼 교감신경의 작용을 차단하는 전문의약품을 시험과 면접을 긴장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사례가 늘어 주의가 요구된다. 대표적으로 인데놀정(..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감독 못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았을 친구다. 감독이 포옹해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앞두고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구원 투수로 활약을 펼친 김서현 선수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감독은 "심우준이 9번에 다시 들어왔다. 어제 큰 힘이 되는 안타를 친 만큼, 오늘도 기운을 이어주길 바란다"라며 전날 경기 MVP를 따낸 심우준 선수를 다시 기용하게 된 배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