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야 의원은 물론 소상공인, 교육계와 학계는 물론 재야인사까지 대전 충남 혁신도시는 시대적 과제라고 인식하면서 국회 결단을 촉구했다.
이날 대전 충남 여야 국회의원들은 국회 정론관에서 균특법 개정안 처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초당적인 단일대오를 구축했다. 그러면서 2월 임시국회가 4·15 총선을 앞두고 대전 충남 혁신도시 입법을 위한 마지노선인 만큼 결연한 의지를 다지기도 했다.
균특법 처리에 대한 학수고대는 정치권을 뛰어넘어 충청권 방방곡곡으로 번졌다.
대전 내 지역 상인들은 반드시 지정돼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공공기관이 이전할 경우 인구에 대한 증가로 내수 경제가 활성화 될 것이란 이유에서다. 김진호 중앙로 지하상가 운영위원회장은 "상인들도 한 목소리로 통과를 외치고 있다. 균특법이 통과된다면 인구 유입이 되고 결과적으로 대전 내에서 내수시장이 활성화 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수현 문화예술의거리대흥동상점가상인회장은 "혁신도시 지정이 되면 경제 분야는 엄청 좋아진다"며 "사람들이 돈을 어떻게 쓰고 어디에 쓰는지 투자 심리가 중요한데, 공공기관이 더 들어오게 된다면 전국 각 지에서 투자를 할 수 있다. 반드시 이번에 지정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계에서도 청년들에 대한 꿈 확대를 이유로 들며 반드시 통과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역인재 채용이 올해부터 시행되는 만큼 더 많은 공공기관 이전 시 취업에 대한 확대 폭이 넓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배재대 최호택 교수는 "학생들이 꿈을 꿀 수 있고, 나아가 그 꿈을 이룰 수도 있다"며 "학과에서도 공공기관 특성에 맞는 시스템으로 일정부분 전환이 될 수 있고, 지역에서 꿈을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 교수는 "공공기관 이전 시 무조건 서울로 가는 것보다, 지역에서 정착할 수 있는 가능성도 나와 지역 인재들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며 균특법 통과를 주장했다.
재야인사도 대전 충남 혁신도시 지정을 학수고대했다. 충청권 4개 시·도 시민단체가 참여한 충청권공동대책위원회 뿐 아니라 수많은 시민사회단체들도 균특법 개정안 통과를 잇따라 촉구하고 있다.
충청권 공동대책위원회 이상선 공동대표는 "충남 100만, 대전 83만 지역민들의 염원을 담은 서명부도 전달이 됐다는 것은 지역민들이 그만큼 간절하다는 얘기"라며 "지역민들은 절실하다. 이번 개정안 통과는 정파나 지역 상관없이 한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호소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