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골살이-김재석 작가]옛 백제의 흔적, 금강벨트를 누비며

  • 사람들
  • 뉴스

[詩골살이-김재석 작가]옛 백제의 흔적, 금강벨트를 누비며

  • 승인 2020-02-24 09:18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詩골살이-김재석 작가]

옛 백제의 흔적, 금강벨트를 누비며



순창으로 귀농해서 5년차를 맞이했다. 그동안 정착에 힘을 쏟느라 주변 지역을 둘러볼 여유가 없었다. 귀농귀촌인 중에는 이런 분이 있다. 삶의 여유를 부리려고 시골에 왔는데 뭔 일인지 시계바늘이 더 빠르게 돌아간다고. 집짓고, 농사짓고, 마을행사까지 쫓아다니며 바쁘게 사신다. 나도 이런 부류에 속하는데, 여기에 귀농귀촌인을 도우며 밥벌이도 하다 보니 입에서 단내가 날 때가 있다. 그런 와중에 작년에는 '리야드 연가'로 5년 만에 새로운 소설책을 냈다. 글농사를 짓겠다는 마음으로 시골에 왔는데 오랫만에 책을 내다니, 주객이 전도된 느낌도 있다.

temp_1582496782825.1975979196
겨울철은 농한기이고, 작가 경력을 계속 이어가야겠다는 생각에 다음 작품을 구상했다. 옛 백제의 흔적을 찾아 취재여행을 떠났다. 익산과 부여, 공주를 잇는 금강벨트를 여행하며 백제 유적을 돌아보고, 백제왕조의 끝 무렵인 무왕과 그의 아들 의자왕에 대한 다큐멘터리형 소설을 구상해 보고 싶었다. 거기에 2020년 1월, 20여 년간 미륵사지 석탑 재건공사를 마친 국립익산박물관이 새롭게 문을 열었다. 그 개관 행사로 '사리 장엄, 탑 속 또 하나의 세계' 특별전시를 한다는 소식이 마음에 불씨를 댕겼다.



사실 나는 귀농 전까지 신라문화권인 부산에서 살았다. 신라의 고도인 경주는 학생들에게 단골 수학 여행지였다. 불편한 진실이지만 통일신라시대 이후, 백제문화권은 역사에서 사라지다시피해 나에겐 관심 밖의 영역이었다.

20200215_132309
새롭게 단장한 국립익산박물관에 첫발을 내딛었을 때, 덧붙이면 백제 30대 왕인 무왕이 사비부여에서 익산 천도를 꿈꾸며 세운 왕궁터와 미륵사지에서 나온 발굴유물을 둘러보았을 때, 나는 홀린 듯 빠져들었다. 미륵사지 석탑에서 나온 사리장엄의 정교한 공예기법, 미륵사지를 세운 백제인의 탁월한 건축기술, 문화전파자로서 당시 남중국과 일본을 잇는 백제의 교류와 소통문화, 이 모든 것이 신라문화권에서 자란 나에겐 생소하기까지 했다.

궁금증이 더해져 금강 물줄기를 따라 백제역사의 전성기라는 사비부여와 웅진공주를 차례로 방문했다. 백제는 사실 멸망한 왕국이라 유적이나 유물은 무덤에 감춰져있다 나온 것이 대부분이다. 지상에 온전히 남아있는 것이 없다. 국립공주박물관에 들렀을 때, 제25대 무령왕의 무덤에서 나온 유물을 애정 어린 눈빛으로 바라봤다. 신라문화권의 유적과 유물들이 웅장한 자태로 남아있는 것과 비교되어 안쓰러운 마음이 들었기 때문이다.

세계와 교류하며 이 세련된 문화를 단련한 소통의 문화강국 백제, 이 나라는 700여 년의 역사를 남기고 대체 어디로 갔단 말인가? 김부식이 쓴 '삼국사기'에는 백제의 기록이 일부 남아있지만, 철저히 통일신라라는 승자의 관점으로 기술된 역사서임에 두말할 나위가 없다. 백제는 그저 삼국 사이에서 지리멸렬한 왕국일 뿐이다.

20200216_120804
나는 부여의 백제문화단지를 둘러보다 '금동대향로' 앞에 섰다. 고구려나 신라는 '환두대도'로 대변되는 칼의 문화이다. 정복과 지배의 문화이다. 백제의 금동대향로에는 불교와 도교의 조화로움, 공예와 음악 등 예술을 숭상하는 모습, 세계와 교류하며 소통한 백제의 숨결이 고스란히 새겨져있다. 고구려와 신라에는 이렇게 예술가를 숭상했다는 기록이 없다. 백제는 '박사'라는 직책을 두어 예술가를 높이 대우했다.

temp_1582496824903.1161268745
이제 21세기는 백제문화가 깨어나야 할 차례이다. 리처드 도킨스는 '이기적 유전자'란 책에서 문화와 예술의 전파자로서 '밈(meme)' 유전자를 지목한다. 밈은 생체DNA는 아니지만, 문화와 예술을 전파하는 인간DNA의 하나이다. 전라북도와 충청권은 옛 백제인의 밈(문화DNA)이 마음으로 흐르고 있다. 백제는 교류와 소통이란 키워드로 문화전파자의 역할을 했다. 삼국 중 약체였던 백제가 군사적 지원군을 확보할 목적으로 그런 일을 했다고 할지라도, 그 문화적 힘이 삼국의 균형을 맞추는데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다.

20200216_123305
지금까지 익산, 부여, 공주를 잇는 금강벨트권 유적개발을 통해 백제문화권이 소생되었다. 이제는 소생을 넘어 금강문화벨트를 만들어갈 차례이다. 백제인의 '밈'을 살려 문화예술과 공예를 융성하고 풍부하게 가꿀 때이다. 이것은 뒤늦었으니 지금이라도 늦지 않게 개발하자는 논리도, 백제, 신라, 고구려 어느 나라가 더 낫다는 우위론도 아니다.

어쩌면 '우리나라'라는 나라를 온전히 완성하는 길이다. 대륙을 호령한 고구려의 기상, 삼국통일을 꿈꾸고 이룬 신라의 의지, 문화강국 백제의 숨결이 하나가 될 때, 우리는 '우리나라'라고 온전히 부를 수 있다. 또한 그 밈이 우리 마음속에서 하나 될 때, 전라도와 경상도, 좌파와 우파, 남과 북으로 분열된 한국인의 마음이 교류와 소통의 문화로 하나 될 것이다.

temp_1582496809332.-1400048421


우리의 나라는 어디에 있습니까

by 김재석



대왕이시여

우리의 나라는 어디에 있습니까

대륙을 호령하던 고구려의 기상과

삼국통일을 염원했던 신라의 의지와

섬세하고 화려한 문화 강국 백제의 숨결이

하나 된

우리의 나라는 어디에 있습니까



대왕이시여

사신도가 그려진 강서대묘 널방에 앉아 고요를 지켜봅니다

첨성대 지붕에 올라 별을 헤아려봅니다

한 뜸 한 뜸 금동대향로를 다듬으며 아름다운 향기를 피워봅니다

이상향을 피워 올리는

우리의 나라는 어디에 있습니까



대왕이시여

남과 북이 60여 년 분단의 철망에 막혀 있고

동과 서는 깊은 지역감정의 골에 파묻혀있는데

이제는 세대와 세대끼리 진보와 보수로 갈라져

건너올 수 없는 강을 건너가려 합니다

그 강 너머엔

분열과 미움만이 있습니다

그 나라는 우리의 나라가 아닙니다



대왕이시여!

부디

잠들어 있는 '밈'을 깨우소서

소통과 교류로 하나 된

'대한(大韓)'이라 부르는 우리의 나라를 주소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전국재해구호협회, 최학래·송필호 전 회장 고문으로 추대
  2. 거제시,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본격 추진
  3. 작은 마을에 큰 희망을… 키르기스스탄에 새마을정신 전파
  4.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암 예방 운동 교육
  5. 산내종합사회복지관,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1. 대전YWCA, ‘2025 대전시 여성친화도시 성과공유회’
  2. '아이들의 미래를 여는 사람들' 김영춘 전 공주대 부총장 체제로 본격 출범
  3. 당진시의 부당한 도로행정, 주민들의 분노 촉발
  4. 폭우·안개·강풍 충남 위험기상 시민들 첫 체험교육장…국립충남기상과학관 6만5천명 다녀가
  5. 홈플러스 대전 문화점 등 15곳 폐점 보류... 지역선 일단은 안도 분위기

헤드라인 뉴스


홈플러스 대전 문화점 등 15곳 폐점 보류... 지역선 일단은 안도 분위기

홈플러스 대전 문화점 등 15곳 폐점 보류... 지역선 일단은 안도 분위기

내년 상반기 폐점이 예고됐던 홈플러스 대전 문화점과 천안 신방점의 폐점 보류됐다. 홈플러스 대주주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더불어민주당에 매수자가 결정되기 전까지 보류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최근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과 비공개로 만난 자리에서 폐점이 결정된 15개 점포와 나머지 점포에 대해 매수자가 결정될 깨까지 폐점은 없다는 약속을 받았다. 이와 관련 당내 'MBK 홈플러스 사태 해결 태스크포스(TF)' 위원인 김남근 의원은 "어떻게 폐점을 안 할 수 있는지 (김 회장과)..

국민 90% 1인당 10만원 추가 지급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22일 스타트
국민 90% 1인당 10만원 추가 지급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22일 스타트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 90%에게 1인당 10만원을 추가로 지급하는 2차 민생회복 소비 쿠폰 신청이 22일부터 시작된다. 21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2일 오전 9시부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소비쿠폰 2차 지급 신청을 시작한다. 1인당 10만원씩 지급하는 2차 소비쿠폰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15만~45만원을 지급한 1차 소비쿠폰과는 달리 소득 하위 90% 국민을 대상으로 한다. 소득 하위 90% 선별은 상위 10%에 해당하는 약 506만명 중 고액 자산가로 판단되는 92만7000가구, 약 248만명을 우선 제외했다. 고..

추석연휴 집 비울때 10명 중 7명 "불안감 느껴"
추석연휴 집 비울때 10명 중 7명 "불안감 느껴"

추석 연휴 동안 장시간 집을 비울 경우 10명 중 7명이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안업체 에스원은 지난 5∼11일 상점·공장 등 보안서비스 이용 고객 1만 866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추석 연휴 안전의식 설문조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설문조사에서 '추석 연휴 주요 계획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76%가 '고향 방문이나 국내외 여행, 가족, 친지 모임 등으로 집을 비울 예정'이라고 했으며, '연휴 기간 집을 비울 때 불안감을 느끼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67%가 '불안감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집을 비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천 따라…붉은 꽃무릇 만개 대전천 따라…붉은 꽃무릇 만개

  • 내일부터 2차 소비쿠폰 지급…‘우리 매장에서 사용하세요’ 내일부터 2차 소비쿠폰 지급…‘우리 매장에서 사용하세요’

  • ‘대한민국 명장·장인 작품 다 모였네’ ‘대한민국 명장·장인 작품 다 모였네’

  •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준비 만전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준비 만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