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올림픽 1년 연기... 경제손실액은 7조원 대

  • 스포츠
  • 스포츠종합

도쿄올림픽 1년 연기... 경제손실액은 7조원 대

  • 승인 2020-03-25 15:28
  • 신문게재 2020-03-26 12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PYH2019121505520007300_P4
도쿄올림픽 주경기장[연합뉴스 제공]
2020 도쿄올림픽이 내년으로 되면서 일본 정부가 천문학적인 재정부담을 떠안게 됐다.

지구촌 최대 스포츠 잔치인 올림픽 개최로 대규모 특수를 기대했던 일본 경제의 타격이 예상된다.



25일 NHK에 따르면 일본의 민간 경제연구소는 도쿄올림픽 개최로 올해 일본 국내총생산(GDP)이 2조엔(약 22조5000억 원) 정도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올림픽 1년 연기 결정으로 그 효과가 사라질 보고 있다.

민간 싱크탱크인 다이이치세이메이 경제연구소의 나가하마 도시히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도쿄올림픽으로 일본의 GDP가 1조7000억엔(약 19조1000억 원)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지만, 그 효과가 내년으로 이월됐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직격탄으로 사상 초유의 사태를 맞은 일본 정부는 경제적 이익보다 막대한 순손실을 걱정하게 됐다.

스포츠 경제학 등을 전문으로 하는 간사이 대학의 미야모토 가쓰히로 명예교수는 도쿄올림픽 연기에 따른 경제손실을 6000억 엔대로 추산했다.

미야모토 교수는 도쿄올림픽 1년 연기로 경기장 및 선수촌 유지·관리비와 각 경기 단체의 예산대회 재개최 경비 등을 합산해 6408억 엔(약 7조2000억원)의 경제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도쿄도 소재 올림픽 선수촌 아파트는 올림픽 연기로 골칫거리가 됐다.

23동에 5600채에 달하는 선수촌 아파트는 지난해 7월부터 분양이 시작돼 2023년부터 입주가 이뤄질 예정이었다. 하지만 올림픽 연기로 입주 시기도 늦춰질 전망이다.

입주가 지연되면 분양자들이 손해배상을 요구할 가능성도 있다.

대회 조직위원회는 대회 관계자와 스폰서, 미디어 등의 숙박 수요로 4만6000실 확보를 진행해왔는데, 올림픽 연기로 인해 대량 취소 사태가 발생하게 됐다.

올림픽 경기 장소로 사용하는 시설에 지불하는 임차료 등도 530억 엔에 달한다.

인건비도 문제다.

대회 조직위에서 일하는 3500명이다. 지난해 조직위 직원 인건비는 40억2600만 원(약 452억 원)이었다.

도쿄도와 대회 조직위는 예상외 지출에 대비해 270억 엔을 예비비로 계상하고 있지만, 연기 비용을 충당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조직위의 한 간부는 "올림픽이 취소되는 것보다는 좋지만, 추가 비용이 수천억 엔 규모가 되지 않겠느냐"고 우려한 뒤 "정부도 일정 정도 부담하는 것이 아니겠냐. 도쿄도와 조직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간에 해결해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병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2.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3.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4.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5.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1. <인사>대전시
  2.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3.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4. 대전시, 반려동물산업 육성에 힘쏟는다
  5.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이재명 정부가 국가공무원법상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입법예고 한 것을 둘러싸고 지역 관가에서 설왕설래가 뜨겁다. 일선 현장에선 76년 만에 독소조항 폐지 기대감으로 공정하고 투명한 공직 문화 정착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환영기류가 우세하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장 일각에선 개정안 국회 통과 때 자칫 지휘체계가 휘청이면서 오히려 주민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26일 대전 지역 공직사회에 따르면 인사혁신처가 전날 입법 예고한 국가공무원법 상의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둘..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