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필톡]동물원 뽀롱이들에게 자유를 허하라

  • 오피니언
  • 우난순의 필톡

[우난순의 필톡]동물원 뽀롱이들에게 자유를 허하라

  • 승인 2018-10-03 03:00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뽀롱이
초등학교 때 별명이 '두꺼비'란 선생님이 있었다. 곱슬머리에다 얼굴이 시커멓고 피부가 우툴두툴해서 붙여졌다. 누가 지었는지는 몰라도 선생님과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더구나 그 선생님은 학생들이 좋아하지 않은 터라 없는데서 '두꺼비, 두꺼비' 하며 놀리기를 주저하지 않았다. 사람을 비하할 때 동물을 빗대는 경우는 무수히 많다. '돼지 멱따는 소리', '개새끼', '쥐새끼 같은 놈', '여우같은 놈', '능구렁이 같은 인간', '소처럼 미련하다', '박쥐같은 인간', '얼굴이 말상이네', '닭대가리'…. 이렇듯 부정적인 인간에 대해 묘사할 때 동물을 비유한다. 인간에 비춰진 동물은 그저 쓸모없고 하찮고 어리석다. 동물이 인간에 비해 하등동물이라는 인식이 밑바탕에 깔린 표현인 것이다.

동물 뿐만이 아니다. 20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피부색깔이 다르다는 이유로 같은 인간임에도 동물로 취급받은 일이 비일비재했다. 유럽의 과학자들은 흑인을 오랑우탄과 같은 종으로 분류하거나 원숭이와 인간의 중간단계에 있다고 보았다. '호텐토트의 비너스'는 이를 상징적으로 말해준다. 이 여인의 원래 이름은 바아르트만이라는 흑인 노예였다. 그녀는 엄청나게 튀어나온 엉덩이와 돌출한 성기를 갖고 있었다. 19세기 초 유럽인들은 이 '이상한' 흑인 여인을 시장판에 전시하며 자신들의 눈요깃거리로 삼았다. 마치 동물원의 원숭이처럼 말이다.

1859년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은 만물의 영장 인간의 뒤통수를 후려쳤다. 진화 과정에서 인간과 동물이 친족 관계였다는 것이다. 원숭이, 아니 쥐와 인간이 한 뱃속에서 나왔다는 게 말이 되는가. 냉철한 프로이트는 이들을 비웃으며 일침을 가했다. "자신들이 신의 자손이라 주장함으로써 인간과 동물세계 사이의 공동체적 유대를 없애버렸다." 거만한 인간들은 도리질을 하며 동물 착취를 멈추지 않았다. 업튼 싱클레어의 소설 『정글』은 인간이 도축과정의 동물을 얼마나 잔혹하게 다루는가를 실감나게 묘사한다. 그런데 100여년 전에 나온 이 소설 속의 상황이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또렷한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갈고리에 꿰여 허공에 매달리고, 피를 뽑히고, 잘리고…. 이렇게 가축은 인간의 먹잇감으로 태어나 끔찍하게 생을 마감한다. 야생의 동물도 나을 게 없다. 운 나쁜 동물은 평생 우리에 갇혀 사는 신세로 살아간다.

칼 세이건은 "벌거벗고 왜소하고 상처받기 쉬운 한 영장류가 어떻게 자기 이외의 모든 종을 굴복시켰을까"라며 한탄했다. 많은 동물은 창살 안 시멘트 바닥에서 야성을 잃고 살아간다. 인간이 주는 먹이를 받아먹는 길들여진 동물이 된 것이다. 아프리카 사바나에서, 로키산맥에서 거칠 것 없는 야생의 사자와 퓨마가 어쩌다 인간의 덫에 걸리는 신세가 됐을까. 대전동물원의 뽀롱이처럼 그마저도 인간의 실수로 죽는 동물도 있다. 야성이 남아있는 맹수들은 동물원의 관리 부실을 틈타 울타리를 넘어 탈출을 시도하기도 한다. 그들의 말로는 사살되거나 다시 붙잡힌다. 그도 아니면 정신 분열증 같은 이상 행동을 보이며 목숨을 연명한다.



동물원은 분명 부자연스런 환경이다. 인간에겐 즐거움을 주지만 동물은 갇혀 있는 공간이다. 인간은 그들에게 많은 죄를 짓는 셈이다. 같이 살아가야 하는 공동체적 지구가 갑과 을로 나누어졌다. 사실 동물의 고기처럼 맛있는 게 없다. 탐욕스럽게 먹고 난 후의 죄책감. 인간의 딜레마다. 단양 아쿠아리움의 수달을 아직도 잊지 못한다. 남한강에서 맘껏 헤엄치며 물고기를 잡아먹어야 할 수달의 갇힌 모습에 마음이 아팠다. 수달의 공허한 눈빛이 지금도 선연하다. 과연 인간에게 동물의 자유를 빼앗을 권리가 있을까. 창살 너머 뽀롱이들이 행복해 보이는가. <미디어부 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도심 캠핑' 인프라...2024년 한층 나아진다
  2. [독자칼럼]국가 유산청 출범을 축하 한다.
  3. 월드비전 위기아동지원사업 전문 자문위원 위촉
  4. 2024 금산무예올림피아드 임원 출정식
  5. [인사]대전 MBC
  1. [인터뷰]91세 원로 시인 최원규 충남대 명예교수
  2. 연이은 직장 내 괴롭힘 논란에 한국가스기술공사 근절 대책 밝혀
  3. 대전서부경찰서, 여름철 자연재난대비 대책회의
  4. 산내종합사회복지관과 월드비전 대전세종충남사업본부 협약
  5. 월드비전 대전세종충남사업본부-대전M치과의원 복지증진 위한 협력

헤드라인 뉴스


세종시 `도심 캠핑` 인프라...올해 한층 나아진다

세종시 '도심 캠핑' 인프라...올해 한층 나아진다

세종시 '도심 캠핑' 인프라가 2024년 한층 나아진 여건에 놓일 전망이다. 2023년 홍수 피해를 입은 세종동(S-1생활권) 합강캠핑장의 재개장 시기가 6월에서 10월로 연기된 건 아쉬운 대목이다. 그럼에도 호수공원과 중앙공원을 중심으로 '상설 피크닉장'이 설치되는 건 고무적이다. 17일 세종시 및 세종시설공단(이사장 조소연)에 따르면 합강캠핑장 복구 사업은 국비 27억여 원을 토대로 진행 중이고, 다가오는 장마철 등 미래 변수를 감안한 시설 재배치 절차를 밟고 있다. 하지만 하천 점용허가가 4월 18일에야 승인되면서, 재개장 일..

[WHY이슈현장] `충청의 5·18`, 민주화 향한 땀방울 진상규명은 진행형
[WHY이슈현장] '충청의 5·18', 민주화 향한 땀방울 진상규명은 진행형

5·18민주화운동을 맞는 마흔 네 번째 봄이 돌아왔다.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온전하게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5·18민주화운동은 현재진행형이다. 특히, 1980년 5월 민주화 요구는 광주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뜨거운 열기로 분출되었는데, 대전에서는 그동안 교내에서 머물던 '계엄령 해제'와 '민주주의 수호' 시위가 학교 밖으로 물결쳐 대전역까지 진출하는 역사를 만들었다. 광주 밖 5·18, 그중에서 대전과 충남 학생들을 주축으로 이뤄진 민주화 물결을 다시 소환한다. <편집자 주> 1980년 군사독재에 반대하며 전개된 5·18민주화..

`27년만의 의대증원` 예정대로… 지역대 이달말 정원 확정
'27년만의 의대증원' 예정대로… 지역대 이달말 정원 확정

법원이 의대증원 처분을 멈춰달라는 의대생·교수·전공의·수험생의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음으로써 '27년 만의 의대 증원'이 예정대로 진행될 전망이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고법 행정7부(구회근 배상원 최다은 부장판사)는 의대교수·전공의·수험생 등이 보건복지부·교육부 장관을 상대로 낸 집행정지 신청의 항고심에서 1심과 같이 '각하'(소송 요건 되지 않음)했다. 다만 의대생들의 경우 "집행정지를 인용할 경우 공공복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며 기각(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음) 했다. 법원 판단에 따라 의료계가 재항고할 것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무성하게 자란 잡초에 공원 이용객 불편 무성하게 자란 잡초에 공원 이용객 불편

  • 대전 발전 위해 손 잡은 이장우 시장과 국회의원 당선인들 대전 발전 위해 손 잡은 이장우 시장과 국회의원 당선인들

  • 의정활동 체험하는 청소년 의원들 의정활동 체험하는 청소년 의원들

  • 불기 2568년 부처님 오신 날 봉축 법요식…관불의식 하는 신도들 불기 2568년 부처님 오신 날 봉축 법요식…관불의식 하는 신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