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스나이퍼 sniper] 59. 읍참마속이 사라진 정치

  • 문화
  • 뉴스 스나이퍼

[뉴스 스나이퍼 sniper] 59. 읍참마속이 사라진 정치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 승인 2019-06-26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얼마 전 한 중견 기업인을 만났다. 그는 "요즘 단체로 해외여행 가는 중기(中企) 사장들이 많다"고 했다. "이제 좀 숨통이 트인 거냐"고 물었다. 그러자 "최저임금과 52시간제 여파로 회사 접어야 할 상황인데 그 전에 해외여행이나 실컷 가보자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청와대와 정부에 어렵다 호소해도 꿈쩍도 안 한다"고 했다. 대기업의 한 임원은 공정위의 잦은 호출을 피해 일부러 해외 출장을 간다고 한다. "기업 의견을 듣겠다고 부르지만 실제론 일방적 지침이나 요구사항을 전하는 자리"라고 했다.



고용노동부와 환경부도 걸핏하면 영업 비밀에 가까운 자료를 쓸어간다고 했다. 기업인들 사이에선 '주투야압(晝投夜押)'이라는 신조어가 생겼다. '정부가 낮에는(앞에서는) 기업에 투자하라고 요구하면서, 밤에는(뒤에선) 압수수색을 한다'는 것이다.

삼성은 지난 1년간 150차례 넘게 압수수색을 당했다. 롯데·SK 등 다른 대기업도 사정은 비슷하다. (중략) 곳곳에선 아우성인데 청와대는 요지부동이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국무회의나 당청(黨靑) 회의에 가보면 소득 주도 성장과 친(親)노동 정책에 대해 다른 말을 하기가 힘들 정도로 완고한 분위기"라고 했다. (중략)

현 정부는 박근혜 정부를 '불통(不通) 정권'이라고 비판해 왔다. 하지만 지금 그 화살은 문재인 정부를 향하고 있다. (중략) 저잣거리 민심(民心)이 청와대 담장을 넘지 못하면 정권은 독선(獨善)에 빠진다. 이러면 정권도 국민도 불행해진다." =

조선일보 배성규 정치부장이 6월 17일자 [태평로]라는 칼럼에 쓴 '청와대엔 안 들리는 담장 밖 아우성'이란 글이다. 청와대 신임 정책실장에 김상조 전 공정거래위원장이 임명됐다. 그는 "재벌들 혼내주고 왔다"는 발언으로 안팎에서 비판을 자초했다.

입이 있다고 해서 함부로 말해선 안 된다는 것을 그는 몰랐던가? 위 칼럼을 소개했듯 작금 청와대의 '불통'은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으로 이어지는 징검다리다. 또한 김상조 신임 정책실장 임명은 국민과 기업의 아우성은 안중에 없는 회전문 인사의 반복이라는 느낌이었다.

어쩌면 '승진'이랄 수 있는 김상조 정책실장 임명을 보면서 '읍참마속이 사라진 정치…'라는 생각에 마음까지 처연했다. 읍참마속(泣斬馬謖)은 울면서 마속의 목을 베었다는 뜻으로, 공정한 업무 처리와 법 적용을 위해선 사사로운 정을 포기함을 가리키는 사자성어다.

제갈량이 위나라를 공격할 무렵의 일이다. 제갈량의 공격을 받은 조예는 명장 사마의를 보내 방비토록 하였다. 사마의의 명성과 능력을 익히 알고 있던 제갈량은 누구를 보내 그를 막을 것인지 고민한다.

이에 제갈량의 친구이자 참모인 마량의 아우 마속이 자신이 나아가 사마의의 군사를 방어하겠다고 자원한다. 마속 또한 뛰어난 장수였으나 사마의에 비해 부족하다고 여긴 제갈량은 주저하였다.

그러자 마속은 실패하면 목숨을 내놓겠다며 거듭 자원했다. 결국 제갈량은 신중하게 처신할 것을 권유하며 전략을 내린다. 그러나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어기고 다른 전략을 세웠다가 대패하고 말았다.

결국 제갈량은 눈물을 머금으며 마속의 목을 벨 수밖에 없었다. 엄격한 군율이 살아 있음을 전군에 알리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미.중 무역전쟁이 가속화되면서 우리나라 기업들의 전전긍긍(戰戰兢兢)과 사면초가(四面楚歌)가 현실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정부는 딱히 가이드라인도 내놓지 않고 '당신들이 알아서 하라'는 식으로 수수방관(袖手傍觀)하는 모양새다. 미.중 무역전쟁의 여파는 '투키디데스의 함정'(새로운 강대국이 부상하면 기존의 강대국이 이를 두려워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전쟁이 발발한다는 뜻의 용어)의 파편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에 보통 심각한 게 아니다.

더욱이 대한민국은 무역(수출)으로 먹고 사는 나라인 까닭에 두 강대국 사이에서의 처신은 정부가 나서서 가시밭길까지 해결해줘야 마땅한 데도 말이다. 그럼에도 마치 살기등등(殺氣騰騰)한 전선(戰線)에 나가는 자식이 죽든 말든 개의치 않겠다는 모습에선 차라리 경악까지 느껴질 정도다.

현 정부의 이른바 '소주성' 실패에도 변하지 않는 회전문 인사의 반복과, 심지어 승진과 영전으로까지 이어지는 '그들만의 리그'를 보자면 국민은 안중에 없는 오만함까지 그림자로 어른거린다. 그런 자리에 읍참마속이 존재한다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겠지만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홍경석-작가-최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2. 위기 미혼한부모 가정에 3000만 원 후원금 전달
  3.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4.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5. 자립준비청년 자기계발비 300만원 후원
  1. 천안시, '담헌달빛관' 개관
  2.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2025년 활동지원사 힐링나들이'
  3. 장애인 보조견 환영합니다
  4. “웃으며 배우는 가족 소통법”
  5. 대전시사회복지협의회-유한킴벌리 대전공장 사랑의 김장 나눔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민자 4000억 유치 `K-모빌리티 허브` 만든다

충남도, 민자 4000억 유치 'K-모빌리티 허브' 만든다

충남도와 당진시가 국내 기업과 손잡고 당진항 일원에 대한민국 자동차 수출을 이끌어갈 최첨단 복합물류단지를 조성한다. 조성이 성공적으로 완료된다면, 민선8기 도가 중점 추진 중인 '베이밸리 건설'과 '당진항 수출 전진기지 육성' 전략이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17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오성환 당진시장, 이정환 SK 렌터카 대표이사 등과 '케이(K)-모빌리티 오토 허브 일반물류단지 조성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전국 처음으로 자동차산업과 항만물류를 결합시킨 K-모빌리티 오토 허브 일반물류단지는 당진..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올해 대전 아파트 청약시장에서는 특정 지역으로 수요가 집중되는 쏠림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입지와 분양가 등 경쟁력을 갖춘 인기 단지가 선별되면서 '옥석 가리기'가 한층 심화되는 분위기다. 1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분양에 나선 '도룡자이 라피크'가 침체된 분양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끌었다. GS건설이 공급한 도룡자이 라피크는 1~2순위 청약에서 214세대 모집에 3636건이 접수되며 평균 16.9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84㎡B형은 59.16 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대부분 1..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2026년 6월 3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이 공천을 위해 모든 당원에게 ‘1인 1표’를 부여하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에 착수한다. 그동안 대표나 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20:1 미만으로 했던 규정을 개정해 모든 당원에게 투표권을 동등하게 부여하겠다는 것이다. 정청래 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내년 6·3지방선거에서 열린 공천 시스템으로 공천 혁명을 이룩하겠다"며 "19일과 20일 이틀간 1인 1표 시대 당원 주권 정당에 대한 당원 의사를 묻는 역사적인 전 당원 투표를 실시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