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1527명 지역인재 의무채용 때 충청권 '55명'

  • 정치/행정
  • 세종

혁신도시 1527명 지역인재 의무채용 때 충청권 '55명'

국토부 전국 10개 혁신도시 성과발표
일반기업 1425개 기업 지역이전 효과
혁신도시 빠진 대전·충남 성과지표 없어

  • 승인 2020-02-19 21:10
  • 신문게재 2020-02-20 3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국토교통부
대전과 충남이 빠진 전국 10개 혁신도시에서 1527명의 지역인재 의무채용과 지난해 3000세대의 신규주택 공급 그리고 1조2660억 원의 지역물품 우선구매 실적을 거둔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는 19일 지난해 강원과 충북, 대구 등 혁신도시에서 이뤄진 공공기관 이전에 의한 균형발전 성과를 발표했다.

지역인재 채용률은 25.9%로 목표(21%)를 초과 달성하고 정주인구는 20만5000명으로 2018년 대비 1만 2000명 증가했다.

또 112개 공공기관이 이전하고 이에따른 일반기업 1425개사가 혁신도시에 둥지를 틀어 2018년 대비 이전한 일반기업이 2배 늘었다.



부산에서는 지난해 154명의 청년이 11개 부산이전 공공기관에 지역인재 의무채용 과정으로 입사해 지역인재채용률 35%를 기록했다.

광주·전남 혁신도시에서 지난해 396명이 13개 이전 공공기관에 지역인재로 채용됐고, 대구과 경북 혁신도시에서도 각각 122명과 184명이 지역인재채용 의무제 혜택을 누렸다.

정부부처와 국책연구기관이 주로 이전한 세종시는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지역인재 의무채용자가 하나도 없었다.

특히, 혁신도시에 인구증가와 일반기업의 입주가 빠르게 진행 중이다.

지난해 10개 혁신도시에서 평균 1만2177명 증가하고 최근 3년 인구증가율 11%로 전국 지방평균 인구증가율 0.2%를 크게 상회했다.

올해에는 10개 혁신도시 전체에 수영장과 공연장 등 문화·체육시설 등이 결합한 복합혁신센터가 조성될 예정으로 미지정 지방도시의 격차를 더 벌어질 전망이다.

혁신도시 입주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정책으로 지난해 732개 기업이 혁신도시에 입주했고, 지역에 이전한 공공기관이 지역물품을 우선구매하는데 1조 2600억원을 집행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혁신도시법에 지정되지 않은 대전과 충남은 공공기관 이전과 지역인재채용, 지역제품 우선구매 등의 효과를 누리지 못하는 실정이다.
세종=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2.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3.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4.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5.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1.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2.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3.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4. '세종교육 대토론회' 정책 아이디어 183개 제안
  5. ‘몸짱을 위해’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