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지면으로 만나는 미술관… 김정헌부터 송병집까지

  • 문화
  • 공연/전시

[전시] 지면으로 만나는 미술관… 김정헌부터 송병집까지

  • 승인 2020-03-26 08:02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코로나19 확산으로 문화 갈증이 계속되는 가운데 독자들을 위해 지면으로 만나는 미술관을 준비했다. 지역작가들이 전시를 속속 열고 있지만, 관람객을 받을 수 없는 현 상황에서 진행 중이거나 혹은 폐막한 전시의 작품을 모아봤다. <편집자 주>

▲IBS Art in Science 과학자의 눈-관찰과 상상 / 기초과학연구원 과학문화센터 / 4월 29일까지



기초과학연구원 과학자들만이 향유 했던 아름다움과 경이로움을 대중과 공유하기 위한 특별한 전시다. 아트인사이언스는 IBS 연구자들이 연구 과정에서 포착한 순간을 온전히, 혹은 자신의 상상력을 더해 창조한 작품들이다.

뇌 위의 모닥불
뇌 위의 모닥불
뇌 위의 모닥불(IBS 혈관연구단)이라는 작품이다. 쥐의 뇌막을 고해상도로 관찰하기 위해, 뇌막 림프관의 구조를 유지한 상태에서 형광 염색을 했다. 혈관은 초록색으로, 뇌막림프관과 대식세포는 붉은색으로 표현했다. 림프관은 힘차고 활발하게 뻗고 있고, 대식세포들은 혈관 주위를 움직이며 병원균의 침입을 감시하고 있다. '활활 타고 있는 모닥불'의 모습은 우리 뇌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뇌막에서 많은 일이 일어나고 있음을 암시한다.



소리붓으로그린그림
소리 붓으로 그린 그림
소리 붓으로 그린 그림(IBS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은 선명한 파란색 염료 분자의 산화 반응을 소리로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실험 과정에서 찍은 사진이다. 스피커의 소리는 접시 안에 물결 패턴을 만들고, 이러한 물결은 공기 중 산소를 용해 시키고, 용액 안의 염료 분자와의 섞임을 조절한다. 모양이 다른 그릇 위에 주파수 생성기, 스피커 등의 '붓'으로 그림을 그렸다.

▲2019 신소장품전 '현대미술의 채도' / 대전시립미술관 / 4월 5일까지

말목장터
말목장터 감나무 아래 아직도 서있는
말목장터 감나무 아래 아직도 서있는(김정헌) 이 그림은 1980년대 민중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로 새로운 예술에 대한 이념을 가장 주체적으로 해석한 작품이다. '말목장터 감나무 아래 아직도 서 있는…'은 가로 3m 세로 2m가 넘는 대형 걸개그림으로, 1994년 동학농민혁명 100주년 전에 출품한 한국 민중미술의 기념비적인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고가의 정담
고가의 정담
고가(古家)의 정담(情談)(임립)은 임립 작가가 제29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특선을 수상한 작품으로, 두텁게 덧바른 물감 위에 나이프와 천을 사용하여 긁고 닦아내고 선을 긋는 작업을 반복해 완성됐다. 차분히 가라앉은 형상들은 정겨운 고향 정취가 흠씬 묻어나는 작가의 초기 작품의 특징을 잘 드러낸다.

▲송병집 개인전 / 화니갤러리 / 전시 종료

송병집 메타리얼리티
송병집 - Meta Reality -The Birth of Venus, 130.3 x 130.3cm, Mixed Media on canvas, 2020
현대사회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현상과 가치는 본래의 의미를 잃어버리고 변형되어 실재를 넘어선 또 다른 메타리얼리티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송병집의 작업에서 접근법은 선택되고 채집된 이미지를 연산작업을 통해 시각화하고 다시 전자매체를 통해 화면 위에서 유영하는 이미지를 찾고 조율한다.

대상이 가지고 있는 그대로의 표현을 리얼리티라고 한다면 메타리얼리티는 리얼리티가 가지고 있는 진실과 인식의 문제에 대한 불확실성을 들어낸다.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스스로의 시간이 더해져 타자가 느끼는 미래적 시간의 관계성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신용덕 개인전 / 이공갤러리 / 전시 종료

퍼즐일구오 2020-15-1
퍼즐일구오 2020-15-1
퍼즐일구오 2020-100 162x130
퍼즐일구오 2020-100 162x130
퍼즐일구오의 연작 시리즈 모티프는 어린시절 돌을 주어 날라 가족들과 힘을 모아 지은 집이다. 작가는 고유한 시간인 '기억'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꾸준히 해왔다. 퍼즐일구오 연작은 한옥을 다양한 각도에서 그리면서 화면 가득 채우고 있다. 마을 전체를 표현한 것으로 유년 시절에 보았던 집과 동네를 유화물감 혹은 혼합 재료를 사용해 두툼하게 올리며 기억의 층들을 한층 더 깊이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류정선 개인전 / 이공갤러리 / 전시 종료

작가는 우리가 느끼는 일상의 감정 중 8할은 좋지도 나쁘지도 괴롭지도 않은 회색감정에 포함되지 않을까 고민한다. 살아가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어 방치된 감정을 짚어보고자 했다. 돌이 구를수록 둥글어지듯이 어른들은 감정표현에서도 무뎌지거나 좀처럼 잘 드러내지 않는다. 반대로 아이들의 동화는 언제나 헤피엔딩이다. 이상과 일상이 함께할 때 비로소 어른이 되었음을 느낀다는 작가의 말이다.

밝은 세상Ⅰ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72.7×72.7cm_2018
밝은 세상Ⅰ 캔버스에 아크릴채색 72.7×72.7cm_2018
새는 의지를 갖고 날기를 멈추고 내려앉았다. 짙은 그림자가 드리워질 만큼 강한 햇살이 눈부시다. 앞이 보이지 않으니 조심스레 발을 내딛는다. 시각을 잃었으니 물리적인 촉각에 의지해야 한다. 날개는 퇴화하고 다리는 더 발달할 것이다. 걸어 다니는 새를 새라고 할 수 있을까.

밝은세상Ⅱ_캔버스에 유채_90.9×72.7cm_2019
밝은세상Ⅱ_캔버스에 유채_90.9×72.7cm_2019
밤 10시쯤 집에 들어가는 길이었다. 가득 쌓인 쓰레기더미 사이에서 띠리리릭. 띠리리릭. 규칙적인 리듬으로 알람이 울렸다. 일상을 깨우는 낯설음이었다. 일상을 파고드는 생경한 느낌. 그것을 이미지화하여 그려내고 싶었다. 주로 이질적이거나 상반되는 것들이 부딪힐 때 그 경계, 간격, 틈새가 드러남을 느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3. 영천, '신성일기념관 개관 기념' 고향사랑기부 이벤트
  4. 순천향대, 취-창업박람회 개최
  5. 아산시보건소, 보건사업 우수사례 질병관리청장상 수상
  1. (주)서연이화, 취약계층에 이불 후원
  2.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3.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4. 위기 미혼한부모 가정에 3000만 원 후원금 전달
  5. 자립준비청년 자기계발비 300만원 후원

헤드라인 뉴스


"지역사랑상품권 지방비 최소분담률, 재정여건 따라 차등해야"

"지역사랑상품권 지방비 최소분담률, 재정여건 따라 차등해야"

국가 예산을 지원하는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발행 시 자치단체가 부담하는 ‘지방비 최소 분담률’은 재정 여건에 따라 차등해야 한다는 평가 결과가 나왔다. 또 이미 보편화 됐지만, 운영자금이나 이자 수입 등 자치단체의 자금 관리가 여전히 미흡하다는 문제점도 제기했다.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해 11월 14일 공개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및 관리체계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9월 기준 지역사랑상품권을 발행하고 있는 자치단체는 모두 190곳(광역 17곳 중 11곳, 기초 226곳 중 179곳)으로 집계됐다. 상품권 발행액은..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2026년 6월 3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이 공천을 위해 모든 당원에게 ‘1인 1표’를 부여하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에 착수한다. 그동안 대표나 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20:1 미만으로 했던 규정을 개정해 모든 당원에게 투표권을 동등하게 부여하겠다는 것이다. 정청래 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내년 6·3지방선거에서 열린 공천 시스템으로 공천 혁명을 이룩하겠다"며 "19일과 20일 이틀간 1인 1표 시대 당원 주권 정당에 대한 당원 의사를 묻는 역사적인 전 당원 투표를 실시한..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자동차와 반도체 분야 관세율을 포함한 한미 간의 무역 협상이 최종 마무리됐다.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와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포함한 양국의 안보 협상도 문서 형태로 공식화됐다. 대통령실과 백악관은 14일 오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양국의 관세·안보 협상에 대한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동시에 공개했다.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직후 나올 예정이던 팩트시트 발표가 지연되면서 세부 내용에서 이견을 보이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이날 공개된 팩트시트에는 지난 정상회담 당시 발표된 내용이 고스란히 반영됐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