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복합터미널 사업 결국 무산...정상화 방안 시급

  • 정치/행정
  • 대전

유성복합터미널 사업 결국 무산...정상화 방안 시급

도시공사, 21일 사업자 측에 해지 내용증명 통보 예정
KPIH 기간 내 대출 실행 실패
최소 2년 더 소요예정...정상화 방안 고민 들어가

  • 승인 2020-09-20 15:57
  • 수정 2021-05-13 21:14
  • 신문게재 2020-09-21 1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557046_194828_5632
KPIH가 제안한 유성복합터미널 사업 구상도. 사진제공은 대전시
대전지역 숙원사업 중 하나인 유성복합터미널 민간개발 사업이 또다시 무산되면서 정상화 방안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10년간 4차 공모까지 거쳤지만 민간사업자가 사업 자금을 마련하지 못하면서 또다시 실패로 돌아갔다.

20일 대전도시공사에 따르면 공사는 지난 18일 "유성복합터미널 민간사업자인 ㈜케이피아이에이치(KPIH)와 체결했던 '유성복합여객터미널 사업협약'이 해지된다"며 오는 21일 사업자 측에 사업협약 해지 내용증명을 통보할 예정임을 밝혔다.

KPIH가 18일 오후 6시까지 사업에 필요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실행하고 토지매매계약(대금 594억318만원)을 체결하기로 한 약속을 지키지 못한 데 따른 것이다.



앞서 대전시는 지난 6월 11일 도시공사와 KPIH 양자는 9월 18일까지 PF대출 실행과 토지매매계약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최고(催告)절차 없이 사업협약을 해지하는 내용의 변경협약을 체결했다.

민간 개발로 추진돼 온 이 사업은 2010년 이후 지금까지 각종 소송 등에 휘말리며 모두 4차례 실패했다. 2018년 4차 공모를 통해 우선 사업자로 KPIH가 선정됐으나 주주 간 내부 갈등 등 사업비 조달을 위한 대출을 실행하지 못해 다시 무산됐다.

KPIH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유동성 악화 등을 이유로 지난 17일 도시공사에 PF 대출 실행 기한 등을 2개월 더 연장해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KPIH측은 대출 기한 연장 등 절차에 대한 법률 검토를 할 예정이다.

공사 관계자는 "대전시와 공사는 그동안 PF대출 실행 기한을 연장해주는 등 사업 성공을 위한 지원에 최선을 다했음에도 결과적으로 시민의 숙원인 유성복합터미널 건설사업 추진이 중단돼 송구스럽다"면서 "조속한 시일 안에 건립방식 등을 시와 협의해 다음 달 중 사업 정상화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4차 공모 사업 무산으로 대전시민들은 최소 2년은 더 기다리게 됐다. 대전시는 민간사업자 재공모, 공영개발 등 정상화 방안을 놓고 장고에 들어갈 예정이다.

유성복합터미널 개발사업은 총 7158억원이 투입해 유성구 구암동 일원에 5만 9104㎡ 터미널과 7만 2374㎡ 상업시설, 7만 1729㎡ 오피스텔 등 건립을 추진하는 대규모 사업이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청 메가시티 잇는 BRT… 세계적 롤모델 향해 달린다
  2. 32사단 과학화예비군훈련장 세종에 개장… '견고한 통합방위작전 수행'
  3. 유성선병원 변승원 전문의, 산부인과내시경학회 학술대회 우수상
  4. 대전시의사회, 성분명 처방 의무화 반대 성명…"의약분업의 기본 원칙 침해"
  5. 자치경찰제 논의의 시작은..."분권에 의한 민주적 통제 강화"
  1. 함께 노래하는 대전 의사들 20년 맞이 정기공연…디하모니 19일 무대
  2. 아산시 소재 고등학교에 나흘 사이에 2번 폭발물 설치 허위 신고
  3. 나에게 맞는 진로는?
  4.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5. 대전대덕우체국 노사 재배 고구마 지역에 기부

헤드라인 뉴스


충청 메가시티 잇는 BRT… 세계적 롤모델 향해 달린다

충청 메가시티 잇는 BRT… 세계적 롤모델 향해 달린다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간선급행버스체계인 BRT '바로타' 이용자 수가 지난해 1200만 명을 돌파, 하루 평균 이용객 3만 명에 달하며 대중교통의 핵심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행복청은 '더 나은 바로타'를 위한 5대 개선 과제를 추진해 행정수도 세종을 넘어 충청권 메가시티의 대동맥으로, 더 나아가 세계적 BRT 롤모델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청장 강주엽·이하 행복청)은 행복도시의 대중교통 핵심축으로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한 BRT '바로타'를 세계적 수준의 BRT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17일 밝혔다. 행복청에 따르면..

32사단 과학화예비군훈련장 세종에 개장… `견고한 통합방위작전 수행`
32사단 과학화예비군훈련장 세종에 개장… '견고한 통합방위작전 수행'

육군 제32보병사단은 10월 16일 세종시 위치한 예비군훈련장을 첨단 ICT(정보통신기술)를 융합한 훈련시설로 재개장했다. 제32보병사단(사단장 김지면 소장)은 이날 최민호 세종특별자치시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세종 과학화예비군훈련장 개장식을 갖고 시설을 점검했다. 과학화예비군훈련장은 국방개혁 4.0의 추진과제 중 하나인 군 구조개편과 연계해, 그동안 예비군 훈련 간 제기되었던 긴 대기시간과 노후시설 및 장비에 대한 불편함, 비효율적인 단순 반복형 훈련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추진됐다. 제32보병사단은 지난 23년부터..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