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공론] 공무원의 친절

  • 문화
  • 문예공론

[문예공론] 공무원의 친절

김용복/ 극작가, 칼럼니스트

  • 승인 2020-10-15 11:25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공무원의 친절은 세상을 아름답게 만든다.

공무원들은 주민들의 얽힌 것을 풀어주고, 기쁘고 행복한 생활을 하게 해주며, 삶의 활력소를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물론 공무원의 친절은 평상업무 이외 공짜로 제공되는 것이지만 그 친절을 제공 받는 주민들의 입장에서 볼 때 그렇다는 것이다.



러시아의 문호 톨스토이도 일찍이 공무원의 친절에 대하여 언급한 바가 있다. '공무원의 친절은 미덕(美德)이전에 공존의 지혜'라고.

대한민국의 공무원들, 청와대의 대통령을 비롯하여 법원, 검찰, 경찰, 시청, 각종 정부기관이나 주민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주민 센터나 경찰지구대 등에서 근무하는 모든 공무원들은 생각해보시기 바란다. 필자나 톨스토이가 주장하는 말이 잘못 된 말인가를.



더구나 우리 같은 늙은이들에게 베푸는 친절이라는 백신은 기분전환의 치료제인 것이다.

세월이 흘러 핵가족화 되고, 저출산 관계로 인구는 줄어들고 고령화 사회로 전환되는 과정에 있는 요즈음, 과거 60~70년대 우리 늙은이들은 누에가 비단실을 만들기 위해 평생을 바치듯 나라 재건을 위해 온 몸을 바친 늙은이들이다. 이런 늙은이들이 관공서에 가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당황할 때가 많다.

필자가 무슨 말을 하려고 이렇게 장황하게 서두를 장식하고 있는가?

내가 사는 서구, 내가 사는 대전의 공무원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하기 위해서다.

필자의 아내가 치매 중증 환자인데다가 뇌수술을 두 차례나 받고 지금은 요양병원에 입원중에 있다. 오랜 기간 입원하고 있기에 병원에 들어가는 입원비며 소모품 대금이 만만치 않다 그래서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병원비를 충당하려고 하였더니 집이 아내 이름으로 되었기에 가정법원에 '후견인 신청서'를 제출해야 된다고 했다. 그래서 서류를 받아가지고 보니 제출해야 되는 서류가 많고, 작성해야하는 내용도 무슨 말을 어떻게 써야 되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었다.

우선 서류를 발급받기 위해 갈마 2동 주민센터에 가서 필요한 서류를 발급 받았고, 가정법원 제102호 접수 행정관 담당자를 찾았다. 모르는 것 일일이 물어가며 기록하기 위해서였다.

갈마2동 주민센터에서 무인 발급기 사용 할 때의 어려움과 가정법원에서 서류 작성시 어려움은 건너뛰겠다.

평생에 한 번 있을까 말까한 후견인 신청서 서류 준비와 작성 내용. 누구나 겪어 본 사람만이 알 수 있는 어려움인 것이다.

그런데 그 어려움을 갈마2동 젊은 공무원이, 가정법원에서는 접수 행정관이 아주 편하게 해결해 주었던 것이다.

공무원이라면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공무원에게 필요한 덕목은 무엇보다도 투철한 국가관과 정직, 청렴, 도덕, 친절, 봉사정신이다. 물론 웃으며 대한다든지 인사를 잘하는 것도 친절에 속한다. 그러나 주민들이 관공서를 찾을 때는 필요한 용무가 있기에 찾는 것이다. 그 필요한 용무를 친절히 보살펴주는 것이야 말로 최상의 친절이라는 걸 잊어서는 안 된 것이다.

필자가 말하는 공무원의 친절·공정의 의무는 공무원이 인사나 잘하고 웃으며 대하는 단순한 도덕상의 의무가 아니라, 그 직무의 청렴 공정성을 담보하는 윤리적, 도덕적 성격을 띠고 있는 법적 의무인 것이기에 국민은 주인이고 나는 그 국민을 위해 일하는 봉사자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결론을 맺자.

필자가 찾은 대전 가정법원 접수 담당관,

그는 웃는 얼굴로 대하지도 않았고, 말씨도 친절하지 않았다. 그러나 필자가 요구하는 모든 조건을 충족시켜 법원 문을 나서게 했던 것이다. 찾을 때의 두려움보다, 일을 마무리하고 나올 때의 가벼운 마음, 한번 가서 경험해 보시라.

그는 친절·공정의 의무나 품위유지의 의무로 방문자를 대하지 않고, 방문자의 필요를 말없이 해결해주는 우리 시민들의 민중의 지팡이인 것이다.

그래서 감사한다. 장종태 서구청장과 유응준 갈마2동장, 그리고 대전 가정법원장님께.

공복으로서의 이들을 잘 교육시켰기에 대전에 사는 주민들이 긍지를 느낀다고.

김용복/ 극작가, 칼럼니스트

202009250100171940006604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2.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3.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4.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5. <인사>대전시
  1.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2.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3.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4. 대전시, 반려동물산업 육성에 힘쏟는다
  5. 당진시, 신규 공무원 임용식 개최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이재명 정부가 국가공무원법상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입법예고 한 것을 둘러싸고 지역 관가에서 설왕설래가 뜨겁다. 일선 현장에선 76년 만에 독소조항 폐지 기대감으로 공정하고 투명한 공직 문화 정착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환영기류가 우세하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장 일각에선 개정안 국회 통과 때 자칫 지휘체계가 휘청이면서 오히려 주민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26일 대전 지역 공직사회에 따르면 인사혁신처가 전날 입법 예고한 국가공무원법 상의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둘..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