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장 보궐선거 후보간 '과열', '춘치자명(春雉自鳴)'으로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되나?

  • 전국
  • 부산/영남

부산시장 보궐선거 후보간 '과열', '춘치자명(春雉自鳴)'으로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되나?

어반 루프 놓고, 김영춘vs박형준 '설왕설래'... 부산시민들 "못마땅"

  • 승인 2021-01-13 23:30
  • 수정 2021-01-14 11:04
  • 이채열 기자이채열 기자
'봄철에 꿩이 스스로 울어서 자기 소재를 알려 죽는다'는 춘치자명(春雉自鳴), 부산은 봄을 기다리지만, 또 그렇게 멀어지나(춘래불사춘)…….

오는 4월7일 부산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하는 '부산의 봄 꿩'들이 묻지도 않은 말에 스스로 화를 자초하면서 부산 시민들의 희망을 저버리고 있다.



부산시장 보궐선거의 열기가 점점 달아오르면서 여, 야 후보자들 간의 설전(舌戰)이 과열화되는 양상이다.

여·야 최종후보가 되기 위해 치열한 접전 속에 각 당의 유력 후보들이 공약을 놓고, 한바탕 설전이 치러지면서 부산시민들이 눈살을 찌푸리고 있다.



김영춘 박형준
김영춘 더불어민주당 부산시장 예비후보(좌)가 박형준 국민의힘 부산시장 후보의 1호 공약에 대해 비난의 살을 날리면서, 이에 대해 박 후보가 즉각 반박으로 대응해 선거전이 과열화되고 있다.[사진=김영춘, 박형준 부산시장 예비후보 선거캠프 제공]
김영춘 더불어민주당 부산시장 예비후보는 지난 12일 한 방송사와 인터뷰에서 박형준 국민의힘 부산시장 예비후보의 1호 공약의 핵심인 첨단교통기술 즉, '어반 루프'를 두고 "한심하고 어처구니없다"고 비판하면서 선방을 날렸다.

그는 "미국에서는 어반루프가 아직은 실험실 수준 이야기인데, (박형준 예비후보가) 해운대~가덕도 30분 이렇게 공약을 한다는 건 그야말로 빌 공(空)자 공약(空約)이 될 수밖에 없다. 아마도 10년 이내에는 절대 성사되기 어려운 이야기이다. 지금 1년짜리 시장선거에 나오면서 그런 공약을 1호 공약(公約)으로 내세운다는 것은 조금은 한심하다랄까, 어처구니가 없다"고 살을 날렸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박형준 예비후보는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반박에 나섰다.

박 예비후보는 "문재인 정권에서 일하더니 무지와 오만이라는 바이러스에 깊게 감염된 것 아닌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한숨이 절로 나온다"고 맞받아쳤다.

그러면서 박 예비후보는 "김영춘 후보의 무지와 달리 도심형 어반루프는 문재인 정부가 2018년에 이미 4차 산업 혁명에 대응할 혁신 성장 동력 4개 중 하나로 선정한 기술이다"며 "국토부의 교통과학 기술연구개발종합계획에 따르면 이를 위해 2018년부터 2027년까지 총 10조 원 가량의 관련 예산이 투입하기로 결정되어 있는 현실적인 기술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어번루프는 4차 산업혁명은 물론 앞으로 다가올 저탄소 시대에도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혁신적 교통수단이자 남부권 경제를 살리고 국가균형발전도 이룰 수 있는 신교통 과학 기술이다. 결코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덧붙여 "집권 이후 지금까지 네 탓 타령만 되풀이해온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의 수많은 인물들이 연상된다. 그래도 김영춘 후보만은 조금 다르리라고 기대했는데 실망스럽다"며 "자기 정부에서 핵심 미래성장 동력으로 이미 추진하고 있는 첨단과학기술마저 불가능한 이야기라고 전면부정하면서 비난에 급급한 태도에 정치의 비루함을 새삼 느낀다"고 비판했다.

박 예비후보는 "김 후보가 진정 부산을 사랑하고 부산 시민을 존중하는 정치인이 되기를 원한다면 무턱 대고 상대 후보를 깍아 내리기에 치중하기 보다 자신의 부산 이야기를 제대로 꺼내길 부탁한다"고 당부하며 1차전은 일단락됐다.

그러나 부산시장 여야 예비후보 간의 설전을 놓고 일부 시민은 "부산시장 보궐선거가 어떤 선거인지 잊은 것 같다. 과거의 허물에 대해서는 책임을 물어야겠지만, 지금(코로나19)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 후보 간 공방전은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정쟁 보다는 정책, 그리고 부산의 비전을 위한 진정성 있는 공방전을 벌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기나긴 겨울(코로나19 등)을 끝내고, 진정한 부산의 봄날을 맞이하고 싶다"고 조언했다.

부산=이채열 기자 oxon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화성시, 거점도시 도약 ‘2040년 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
  2.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3.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4.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5.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1.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2.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3.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4.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7대 광역시 중 두번째
  5. "르네상스 완성도 높인다"… 대전 동구, '주요업무계획 보고회'

헤드라인 뉴스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일본 와카사철도, 대전서 희망찾기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일본 와카사철도, 대전서 희망찾기

일본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돗토리(鳥取)현의 철도회사 전무가 폐선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대전을 찾아왔다. 인구가 감소 중으로 철도마저 폐지되면 안 된다는 절박한 심정에서 한국을 찾았다는 그는 윤희일 전 경향신문 도쿄특파원을 '관광대사'로 임명하고, 돗토리현 주민들에게 철도는 무척 소중하다며 지역 교류를 희망했다. 24일 오후 5시 30분 대전시 중구 베니키아호텔 대림 회의실에서는 야베 마사히코(矢部雅彦) 와카사철도 전무가 참석한 가운데 관광대사 위촉식이 개최됐다. 윤희일 전 경향신문 기자는 한국의 대표적인 철도마니아이면서, 일본 특..

국내기업 10곳 중 7곳 이상 "처벌·제재로는 중대재해 못줄여"
국내기업 10곳 중 7곳 이상 "처벌·제재로는 중대재해 못줄여"

국내 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정부의 노동 안전대책에 우려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처벌과 제재 중심의 정책으로는 중대재해 예방이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국내 기업 262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새 정부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대한 기업 인식도 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9월 발표된 노동안전 종합대책과 관련해 기업들의 인식과 애로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 중 73%(222곳)가 정부 대책이 '중대재해 예방에..

충청권 국회의원 전원, ‘2027 충청U대회 성공법’ 공동 발의
충청권 국회의원 전원, ‘2027 충청U대회 성공법’ 공동 발의

충청권 여야 국회의원 27명 전원이 ‘2027 충청 유니버시아드대회’(U대회) 성공 개최를 위한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개정안을 공동 발의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의원은 25일 국제경기대회 조직위원회가 대회 운영에 필요한 기부금품을 직접 접수·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을 공동으로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 제도에서는 조직위원회가 기부금품을 접수할 때 절차가 복잡해 국민의 자발적인 기부 참여가 제한되고, 국제경기대회 재정 운영에 있어 유연성이 낮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