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랑올랑 새책] 기린이 사는 골목

  • 문화
  • 문화/출판

[올랑올랑 새책] 기린이 사는 골목

김현화 │푸른책들│256쪽

  • 승인 2021-02-05 09:40
  • 수정 2021-06-26 17:40
  • 오희룡 기자오희룡 기자
x9788957986622
기린이 사는 골목 책표지

 

고도비만과 혼혈아 등 무리에 어울리지 못하는 일명, 아싸(아웃사이더)의 청소년들의 성장통을 담은 소설이 출간됐다.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현실과 고민을 생생하게 담아낸 '기린이 사는 골목'은 탈북 난민들의 역경과 가족애를 그린 '리남행 비행기'의 작가 김현화가 '조생의 사랑' 이후 오랜만에 선보이는 청소년 소설이다.

 

 

획일된 미의 잣대에 미뤄보면 뚱뚱하기 그지없는 열다섯의 중학생과 다문화 가정으로 경계밖 이방인으로 배회하는 여중생, 그리고 이미 집단내 무리에서 겉도는 아웃사이더의 이야기이지만 꿈에서 만나는 환상의 마을처럼 따뜻함을 담고 있다. 

 

고도비만이라는 이유로 따돌림을 당하지만 밝고 씩씩하게 살아가는 열다섯 살 중학생 '선웅'은 한국인 아버지와 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은형은을 짝사랑하고 있다. 

밖에선 혼혈아라고 손가락질받고 집에선 아버지의 가정폭력으로 고통받고 있는 은형은 스트레스로 몽유병을 앓게 되고 한밤중에 골목을 배회한 은형과 선웅이 동행하면서 겪는 이야기다. 

 

그들의 꿈길은 상상 속 기린이 사는 사바나다.

책 안의 선웅과 은형, 기수는 저마다의 현실로 치열하게 고민하며 성장통을 앓는 청소년들이다. 상처받고 싶지 않은 마음에 빗장을 단단히 걸었다가도 서로의 아픔을 외면하지 않으려 용기 내어 다가섰고, 그렇게 친구가 돼 가는 과정을 따뜻하게 그리고 있다.



오희룡 기자 huily@ 

*올랑올랑은 가슴이 설레서 두근거린다는 뜻의 순 우리말입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공회전 상태인 충남교육청 주차타워, 무산 가능성↑ "재정 한계로 2026년 본 예산에도 편성 안 해"
  3. [중도일보 창간74년]어제 사과 심은 곳에 오늘은 체리 자라고…70년 후 겨울은 열흘뿐
  4. [창간74-축사] 김지철 충남교육감 "든든한 동반자로 올바른 방향 제시해 주길"
  5. [창간74-축사] 김태흠 충남도지사 "중도일보, 충청의 역사이자 자존심"
  1. [창간74-축사] 홍성현 충남도의장 "도민 삶의 질 향상 위해 협력자로"
  2. [중도일보 창간74년]오존층 파괴 프레온 줄었다…300년 지구 떠도는 CO₂ 차례다
  3.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9차 지역정책포럼]
  4. [창간74-AI시대] 대전 유통업계, AI 기술 연계한 거점 활용으로 변화 필요
  5. [창간74-AI시대] AI, 미래 스포츠 환경의 판도를 재편하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