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애린왕자

  •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 애린왕자

  • 승인 2021-04-07 00:00
  • 안미현 기자안미현 기자
안미현
어슴푸레 해 뜰 때쯤 됐을랑가 웬 얼라가 낼 깨아가 시껌했다아이가. "저기… 양 한마리만 기레도." "뭐라카노." "양 한마리만 기레달라켔는데."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 중 한 장면이다. 어린왕자가 사막에 누워있는 주인공에게 양을 그려달라는 이야기는 어린왕자를 읽어보지 않은 사람도 알 정도로 유명하다. 최근에 서점에 갔다가 경상도 사투리로 쓰였다는 '애린왕자'를 발견하고 나는 심란한 마음을 숨길 수 없었다. 구수한 말로 어린왕자를 채근질 하는 '나'와 그보다 더 구수해 돼지국밥이 느껴지는 어린왕자.



엔터테인먼트 요소로는 충분한 매력이 있지만, 문학적 가치로는 의문이 든다.

한국의 어린왕자 사랑은 뜨겁다. 필자도 여우와 어린왕자의 대화는 지금도 종종 찾아볼 정도로 좋아한다. 그럼에도 한 문학작품으로부터 이리도 다양한 파생 책들이 있다는 것은 인상적이다. 영어로 읽는 어린왕자, 아이들을 위한 어린왕자, 필기체로 써보는 어린왕자 등등. 게다가 사투리로 쓰인 어린왕자라니. 마케팅인지 문학인지 모호하다.



한국이 OECD 회원국 중 독서량 꼴찌 수준이라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문체부가 지난해 발표한 '2019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에 따르면 성인의 연간 독서량은 6.1권이다. 2017년의 결과에 비해 2.2권이나 감소했다. 학생들의 결과 또한 추이가 좋지 않은데, 초등학생 69.8권에서 고등학생 8.8권으로의 감소를 보인다. 저학년때는 독서량이 많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현저하게 줄어든다. 그 원인은 '실질 문맹률'에 기인한다. 대한민국의 실질 문맹률은 75%에 달한다. 고학년이 될수록 내용이 어려워지니 활자를 기피한다는 뜻이다. 높은 스마트폰 보급률, 빠른 인터넷과 트렌디한 국민들은 우리의 자랑이기도 하지만, 영상과 카드 뉴스 등을 통해 너무나 쉽게 제공되는 정보에 국민 전체의 문해율이 낮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대형서점을 방문해봐도 항상 인산인해를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책과 커피를 즐기는 사람, 문구 코너를 둘러보는 사람들, 사무용품을 구매하러 온 사람들 등등. 책을 구매하는 공간인 서점이 다채로워지며 문화공간으로 거듭났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문화생활을 즐기지 않는 것은 아니다. 국민 1인당 연간 영화관람 횟수가 꾸준히 4회를 넘는 나라는 인구가 35만밖에 되지 않는 아이슬란드를 제외하고는 한국이 유일하다. 개인적으로 이는 국민의 독사량 신장의 기회라 생각했다. 책이 많은 공간으로 사람들이 자연스레 발걸음을 옮기는 문화가 정착했으니 여기서 조금 더 궁리를 해 책으로 손을 뻗도록 하면 되는 것 아닌가. 우리만의 해법이 필요한 시점이다.



안미현 편집2국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