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공급절벽' 대전 분양 계획대로 추진 될까?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상반기 '공급절벽' 대전 분양 계획대로 추진 될까?

하반기 동일스위트 2차 등 8곳 1만2342세대 공급예정

  • 승인 2021-08-11 17:06
  • 수정 2022-04-29 09:38
  • 신문게재 2021-08-12 1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대전 부동산
대전 도심 전경 모습. <중도일보 DB>
역대 최대 주택공급 예고에도 일정 차질로 '공급절벽'을 맞았던 대전지역 분양이 하반기에는 제대로 추진될지 관심이 쏠린다.

코로나19 여파와 고분양가 관리 등으로 건설사들이 당초 일정을 미루면서 계획보다 훨씬 못 미치는 물량이 공급되면서다.

11일 대전시와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올해 대전지역 주택 공급 물량은 총 3만 4945세대(아파트 3만 385가구, 다세대·다가구·연립주택 등 4560가구)다. 상반기는 1만 8283세대, 하반기 1만2019세대다.

시는 집값 고공행진과 전세난, 주택 물량 부족 해소를 위해 적기에 주택을 공급해 부동산시장 안정화를 기대했다.



하지만, 연초부터 계획에 차질을 빚었다.

상반기 대전지역 주택 공급은 23곳 중 5곳만 진행됐다. 공급물량은 당초 계획보다 훨씬 못 비치는 2892세대에 불과한 15% 수준에 그쳤다.

상반기 공급 단지는 한신더휴 리저브(418세대), 대덕브라운스톤(336세대), 해모로 더 센트라(621세대), 대전역 대라수 어썸브릿지(282세대), 목동 모아엘가 그랑데(316세대) 등이다.

이에 대전시 관계자는 "예정된 분양 공급물량 지연은 코로나19 영향을 첫 번째로 꼽을 수 있다. 지역은 정비사업 물량이 많은데, 분양까지 가기 위해서는 관리처분 등 절차를 진행해야 하지만, 총회 등 일정이 연기돼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며 "또 고분양가 관리지역으로 묶이면서 후분양 검토를 들어간 조합도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역대 최대 주택공급이라는 말을 무색하게 할 정도였던 분양은 하반기 그나마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

상반기 분양을 예고한 건설사들이 해를 넘기지 않으려 이달부터 공급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예정된 분양물량은 1만2342세대(8곳)다. 대부분 상반기 지연된 물량이다.

먼저 지난 3월 계획한 대덕구 신탄진에 공급하는 '동일스위트 2차(655세대)'와 올해 대전시 계획에 없던 '힐스테이트 도안 퍼스트' 오피스텔(433세대)는 이달 분양에 들어간다. 지난 6월 예정된 대전 첫 공공지원 민간임대 아파트인 대전 용산지구 '호반써밋 그랜드파크'(1791세대)도 분양에 들어갔다.

여기에 '천동 3구역(3463세대)'은 8월 원주민 분양을 시작으로 9~10월 사이 일반분양에 들어갈 전망이다.

연내 분양을 목표로 분주한 건설사들도 있다.

동구 '대성동 개발사업(934세대)'은 현재 착공 수리를 접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만간 분양 계획 등 일정을 확정한 것으로 보인다.

대덕구 '회덕조합(745세대)'과 올해 분양 최대어로 기대를 모으는 '서구 용문동 1·2·3구역(2763세대)', '도마변동 11구역(1558세대)'도 하반기 분양에 관심을 끈다.

하반기 계획대로 물량이 공급되면 대전시가 올해 발표한 3만 4946세대 중 43.59% 수준인 1만5234세대 분양된다.

대전시 관계자는 "당초 계획한 물량보다 공급이 많지 않다. 최초 분양 계획을 세울 때 자치구와 시행자에 연락해 파악했는데, 결과에는 미치지 못했다"며 "하반기 원활한 공급을 위해 상반기 지연된 물량에 대해 통합심의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물량을 공급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병주 기자 can790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2.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3.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4.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5.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헤드라인 뉴스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년 충청권 4개 시·도가 개최하는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U대회)를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의 엔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물론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고, 특히 4개 시·도의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비롯해 산업과 관광 등 특성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국회의원 주최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2027 충청 U대회 성공..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