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 충청, 판을 바꾸자⑧] 충남 지방소멸 머지않았다... 도내 균형발전 특효약 '필요'

  • 정치/행정
  • 충남/내포

[파워 충청, 판을 바꾸자⑧] 충남 지방소멸 머지않았다... 도내 균형발전 특효약 '필요'

8. 충남, 지방소멸 위험 적색신호

  • 승인 2021-09-15 17:58
  • 수정 2021-09-15 19:18
  • 신문게재 2021-09-16 1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파워 충청 판을 바꾸자

 

 

 

10개 시군은 인구소멸 위험... 서천, 청양 등은 고위험

출생자보다 사망자가 많은 지역 15개 시군 중 11곳

전국적 균형발전 기조 도내에도 적용해 지원 필요

 

 

'출생 186명, 사망 897명', '출생 169명, 사망 727명', '출생 104명, 사망 457명'.

충남 지방소멸 고위험지수로 분류된 부여·서천·청양군의 2019년 한해 출생과 사망을 보여주는 지표다. 사망자가 출생자를 뛰어넘는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이 상황이 계속되면 자연스레 지역 소멸로 이어지게 된다. 전국적 균형발전 기조를 지역에 적용해 도 차원에서 이들 지역에 대한 '특효약'을 처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15일 충남도와 한국고용정보원 등에 따르면 지난 2020년 5월 기준 충남 15개 시·군 중 공주와 보령, 논산, 금산, 부여, 서천, 청양, 홍성, 예산, 태안 등 10개 시·군이 인구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이중 서천과 청양, 부여는 '고위험지역'이다. 지방소멸 고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 인구에 65세 이상 인구를 나눈 값으로, 0.2~0.5는 소멸위험지역, 0.2미만은 고위험군으로 나눈다. 고위험 지역인 서천은 2020년 기준 말 기준 20~39세 여성 인구가 3156명인데 반해 65세 이상 인구는 1만 8988명으로, 소멸지수가 0.17로 나타났다. 청양은 2007명 대비 1만 1059명으로 0.18, 부여는 4307명 대비 2만 2683명으로 0.19의 수치다.

인구수로 따져보면 그 수치는 더욱 심각해진다. 올 3월 기준 서천은 5만 1361명으로, 최근 5년 중 도의 인구가 가장 많았던 2018년 12월 기준 5만 3922보다 2561명 감소했다. 이 기간 청양은 3만 2296명에서 3만 625명으로, 부여는 6만 8078명에서 6만 4626명으로 3254명 줄었다. 만 단위 숫자 붕괴 우려마저 나온다.



충남 도내 마을인 행정리 소멸위험이 최근 5년간 크게 증가하다는 분석도 있다. 충남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충남 행정리 마을의 지방소멸지수와 마을 차원의 대응전략'을 보면 충남지역 행정리 마을의 지방소멸지수가 2015년 51.2%(전체 4317곳 중 2211곳)에서 2020년 71.1%(전체 4392곳 중 3123곳)로 약 20%p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 보면, 지난해 기준 소멸고위험 행정리는 서천이 88.6%(전체 315곳 중 279곳)로 가장 높게 집계됐다. 이어 부여 84.2%(전체 436곳 중 367곳), 보령 81.3%(전체 235곳 중 191곳) 등의 순이다.

반면, 충남 북부권은 상황이 다르다. 출생이 사망자보다 많다. 인구가 증가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2019년 한해 기준 천안은 출생 4834명, 사망 2821명 , 아산은 출생 2362명, 사망 1747명이다. 당진은 출생 1247명, 사망 1183명, 서산 출생 1193명, 사망 1109명이다. 15개 시·군 중에서 이들 4개 시·군을 제외하고 나머지 11개 시·군이 사망자가 출생자를 앞지른다.

때문에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복지와 교육, 문화 등 다양한 규제 완화와 사회 기반시설 확충, 지역고용창출 등 파격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골자다.

전익현(민주·서천1) 충남도의회 제1부의장은 "천안과 아산, 당진 등은 자체적 생산발전을 하는 데 반해, 그렇지 못한 지방소멸 고위험지역은 상대적으로 떨어져 균형발전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행복주택과 출산장려금 등의 정책도 좋지만, 청년이 빠져나가지 않고 일자리를 구해 앞으로 쭉 살아갈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주는 종합적 특별지원조례가 있어야 지역 내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내포=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 사직야구장 재건축 국비 확보, 2031년 완공 목표
  2.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3.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4차전 LG 트윈스에 패배
  4. 몸집 커지는 대학 라이즈 사업… 행정 인프라는 미비
  5.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3.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4.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5. 대전YWCA 후원의 밤 지역사회에 사랑과 희망 전해

헤드라인 뉴스


대전시 "트램 공법 위법 아냐… 예산 절감 효과 분명"

대전시 "트램 공법 위법 아냐… 예산 절감 효과 분명"

대전시가 도시철도 2호선 트램 복공판 공사 계약 과정에서 입찰 부정이 있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즉각 반박했다. 복공판 공사 기법이 예산 절감 등의 이유로 필요했고, 업체 선정 과정 역시 관련 규제에 따라 적법하게 진행됐다는 것이다. 30일 최종수 대전시 도시철도건설국장은 시청 기자실을 찾아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 동구)이 제기한 복공판 공사 업체 부정 입찰 의혹 등에 "업체 선정은 대전시가 요청한 조건을 맞춘 업체를 대상으로 역량을 충분히 검토해 선정했다"라며 "사업 내용을 잘 못 이해해 생긴 일이다. 이번 의혹에 유감을..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