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의 취재 기록-21] 음성군에 이어 괴산군도 ‘판소리 명창 발굴사업’ 시동

[10년간의 취재 기록-21] 음성군에 이어 괴산군도 ‘판소리 명창 발굴사업’ 시동

이차영 괴산군수, “김제철·최낭청 판소리 명창은 지역의 역사”…관련부서 지시
‘석화제’, 괴산명창 김제철이 처음 사용… “현재의 가야금 병창은 괴산서 시작”
괴산향토사연구회, “기록으로 남겨야할 역사”

  • 승인 2021-09-20 03:52
  • 손도언 기자손도언 기자
이차영 최종
이차영 괴산군수가 지난 15일 관련부서에 괴산지역 판소리 명창인 '김제철·최낭청 명창 발굴사업'을 지시했다. 이 군수는 이날 조동언 중고제 학자와 만나 괴산지역 인물역사 찾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판소리 석화제(가야금병창제와 비슷한 창조)의 가장 큰 특징은 '경쾌, 화사, 화평한' 느낌을 준다. 이같은 느낌은 전라도지역 판소리 동·서편제보다 충청지역 중고제에 더 가깝다는 게 국악학자들의 견해다.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인 전해옥 명창은 "석화제는 맑고 청아한 소리"라며 "현재 가야금 병창 전공자들이 가장 많이 구사하는 제(制)"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석화제는 누가 처음 사용했을까. 바로 충청지역 소리꾼인 김제철 판소리 명창이다. 노재명 국악학자는 "석화제는 순조~철종 무렵, 충청권 명창인 김제철과 신만엽이 처음 사용한 소리제로 알려졌다"고 말했다.

김제철의 출생지는 충청도 중에서도 '충북 괴산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고(故)김영진(청주대 인문학 교수) 전 충북도 문화재위원장은 2000년도 초반 김제철의 태생지를 '괴산군'이라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과 함께 인문학을 연구했던 동료 교수들도 이같은 내용을 서로 공유했다.

이창식 세명대학교 미디어문화학부(인문예술대 학장) 교수는 "(김 교수는)김제철 등 여러 명의 판소리 명창들이 충북에서 태어났다고 이야기 했다"며 "뜻을 함께한 인문학 교수들과 이런 점을 알리기 위해 학술세미나 등으로 연구해 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10여년 전, 이처럼 인문학 교수 등이 '충북 판소리 명창 찾기'에 나섰지만, 지금은 옛 일로 됐다"며 "자치단체와 학자 등이 지금이라도 충북 명창 찾기를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KakaoTalk_20210917_131708998
(왼쪽)정노식 저서 '조선창극사'(1940년) 충북 괴산·증평 명창 최낭청 관련 기록.<국악음반박물관 소장>
(오른쪽)전승이 끊어진 조선시대 판소리 무숙이타령 사설이 기록된 '게우사(戒友詞)' 희귀 문헌. 1890년 필사. 이 문헌에 '김졔철이 긔화요쵸'(김제철이 기화요초)라는 기록.<국악음반박물관 소장>
김제철이 괴산출신이라면 현재까지 전수돼 온 가야금병창은 전라도가 아닌 충북 괴산에서 시작된 것과 같다. 한마디로 가야금병창의 시작점이 괴산이라는 얘기다. 그러나 김제철에 대한 기록과 정보 등은 많지 않다는 게 큰 아쉬움이다.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괴산출신 명창은 또 있다. 바로 '최낭청'이다. 최낭청은 조선 전기 8명 중 한사람이다. 그의 특징은 '어전광대' 라는 점이다. 어전광대는 벼슬을 얻었고, 임금 앞에서 소리를 했던 명창이다. 조선시대 당시, 소리꾼이 최하위 계급인 점을 감안하면 그가 소리꾼 중에서도 엄청난 명창임을 알 수 있다.

최낭청의 기록은 조선창극사에서 엿볼 수 있다. 최낭청 역시, 많은 기록은 없지만 김제철보다 좀 더 구체적이다.

조선창극사를 보면 최낭청의 출생지는 조선창극사에서 '충청도 청안'으로 기록돼 있다. 충청도 청안은 현재의 괴산군 청안면을 의미한다. 무엇보다 괴산군 청안면은 당시 증평군과 같은 권역이다. 또 최낭청은 '충북 진천' 명창인 김봉학과 이동백 등과 연관성을 갖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충북 괴산군이 '김제철·최낭청 판소리 명창 발굴사업'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판소리 명창과 관련해 음성군에 이어 두번째 발굴사업이다.

이차영 괴산군수는 지난 15일 오전 군수실에서 조동언 중고제 국악학자(판소리 명창) 등과 만난 자리에서 "괴산출신 판소리 명창 찾기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군수는 "두 명창은 지역의 역사"라며 "그러나 두 명창에 대한 기록 등이 없어 아쉽지만, 기초부터 추적해 보겠다"고 설명했다.

괴산군은 이에 따라 김제철·최낭청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할 예정이다. 국악학자와 명창 등의 증언과 학계 보고된 기록 등으로 기초자료부터 찾아보겠다는 게 군의 계획이다. 기초자료가 수집된 이후, 학술세미나 등을 열어 두 명창에 대한 고증작업도 추진한다. 고증작업 등이 완료되면 명창 발굴사업도 확대될 전망이다.

이혜연 괴산군 문화체육관광과장은 "지역의 향토사학자들과 국악학자 등을 통해 (두명창) 발굴 사업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사)괴산향토사연구회도 도움을 주기로 했다. 김근수 괴산향토사연구회 고문은 "누군가는 기록해 놔야지, 괴산군의 역사가 되는 것"이라며 "두명의 명창이 괴산출신이라는 점은 모르고 있었지만, 이런 내용이 있다면 괴산향토사에서 협조할 수 있는 부분은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KakaoTalk_20210917_123620417
조동언 중고제 국악학자(판소리 명창)가 지난 15일 이차영 괴산군수와 만나 '김제철·최낭청 판소리 명창 발굴사업'에 대한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조동언 중고제 국악학자(판소리 명창)는 "김제철·최낭청 판소리 명창이 괴산출신이라는 점은 국악계에서 볼 때 큰 반전"이라며 "국악계도 발굴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라고 말했다.

노재명 국악학자는 "비옥한 땅에서 먹거리가 많이 나왔기 때문에 괴산지역이 풍류에 적합한 지역이어서 대 명창이 배출된 것 같다"고 말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화이글스의 도전이 끝나는 순간! 마지막 육성응원 최강한화 1
  2. 대전의 가을밤을 뜨겁게 달군 과학관 응원단장! 한화팬-대전시민여러분께 1
  3. 대전사랑메세나, 취약계층과 지역주민이 함께한 '더 노은로 작은음악회' 성료
  4. 샛별재가노인복지센터, 가을나들이 행사 진행
  5. 식장산부터 장동까지 평화견학…제8회 평화발자국 참가자 모집
  1. 대전과학기술대 여자 배드민턴부, 전국종별배드민턴대회 3위 쾌거
  2. 군의관과 간호장교 부부에서 시작, 을지재단 창립 69년 기념식
  3. 심사평가원 대전충청본부, 보건의료지원단 빅데이터 역량 교육
  4. 건양사이버대-대덕파트너스, 미래 인재 양성 위해 맞손
  5. 육군군수사령부, '미식별 선박 대응체계 고도화' 발표 32사단 최우수상 선정

헤드라인 뉴스


대전 부동산시장 "민간임대 비율 조정" 목소리 커져

대전 부동산시장 "민간임대 비율 조정" 목소리 커져

지방에서 미분양이 쏟아지는 등 부동산 한파가 심각한 가운데 지방 도시개발사업에서 천편일률적인 임대주택건설 의무 비율 조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전시는 이 같은 여론을 주시하면서 지역 부동산시장의 면밀한 분석을 통한 '조정'카드를 만지작 거리고 있어 주목된다. 민간임대주택의 장점과 수요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건설 경기 부양 등 지역경제 활성화까지 염두한 최대공약수 찾기에 나선 것이다. 최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9월까지 분양이 이뤄진 아파트 단지 청약 미달률은 1순위 기준 41.9%에 달했다. 반면 서울만 0%를..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공사`예타 통과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공사'예타 통과

대전의 숙원 사업인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충청과 호남의 축 병목 해소에 청신호가 켜졌다. 최근 대전시에 따르면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사업'은 10월 31일 기획재정부 제10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예비타당성조사 심의 결과 최종 통과했다. 이 사업은 총사업비 3522억 원 규모로 호남고속도로지선 서대전분기점~회덕분기점 구간(총 18.6㎞)이 4차로에서 6차로로 확장하는 사업이며 사업기간은 약 8년으로 계획하고 있다. 대전시와 지역 정치권은 이 구간을 '충청·호남을 잇는 병목지점'으로 지목하며..

대전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 체감 지수 상승 뒤 유지... 11월 전망지수도 `밝음`
대전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 체감 지수 상승 뒤 유지... 11월 전망지수도 '밝음'

대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이 느끼는 경기 체감 지수가 상승 곡선을 그린 뒤 유지하고 있다.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 등으로 반등한 지수가 우상향하고 있는 것인데, 11월 경기 상황을 내다보는 전망 지수도 올라서면서 경기가 나아질 것이란 희망을 내비친다. 2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표한 '소상공인시장 경기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의 10월 경기 체감 지수는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으로 상승한 이후 평행선을 유지 중이다. 경기 동향 조사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사업체 운영자의 체감 경기 파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