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E-PORT:친환경보고서] 휴지는 휴지통에, 폐의약품은 수거함에

  • 사회/교육
  • 환경/교통

[REE-PORT:친환경보고서] 휴지는 휴지통에, 폐의약품은 수거함에

  • 승인 2021-10-01 10:06
  • 수정 2021-10-04 13:04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컷-친환경

 

 

 

 

유통기한이 지난 약들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많은 사람들이 폐의약품을 버리는 방법을 몰라 일반쓰레기로 버리고 있어 자신도 모르는 사이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 올바른 처리 방법만 알아도 환경을 지킬 수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이다.

 

약-1
미리 준비한 폐의약품 포장지를 종류별로 분리했다. 김지윤 기자

그래서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폐의약품을 처리하는 방법을 찾고 실천해 봤다. 가장 먼저 집에 있는 유통기한이 지나 섭취할 수 없는 약이 있는지 찾아봤다. 병원에서 처방한 약은 대부분 다 먹었기 때문에, 종이 박스에 들어있는 약국에서 구매한 약들이 전부였다.

원래 약을 잘 먹지 않는 편이라 알약 형태로 된 약 3개와 캡슐 형태로 된 약 1개 총 4개를 발견했다. 이후 이 약들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방법을 찾기 위해 지인인 약사님께 전화를 했다.

"약은 종류별로 한 곳아 모아서 수거해주는 곳 찾아 가져다 주면 됩니다"라는 간단한 대답을 듣고 바로 실행에 옮겼다.

 

약-2
약의 종류별로 분리를 했다. 김지윤기자

약을 포장지 안에 들어있는 약들을 빼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았다. 손가락으로 톡톡 눌러주면 약들은 쉽게 포장지에서 떨어졌다.

다만 약이 담긴 합성소재의 포장용기가 문제였다. 플라스틱으로 만든 용기 위에 얇은 알류미늄 포장지가 서로 달라 붙어 있었는데 손톱으로 긁어도 쉽게 떼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하마터면 알류미늄 포장지를 뜯다가 손톱이 나갈뻔 했다. 약을 포장지에서 분리하는 것은 1분도 채 안걸렸지만, 포장지를 분리하는 시간은 20배가 넘게 걸렸다.



겨우 포장지 하나를 처리하고 다른 두개의 약들을 분리하는 과정도 비슷했다. 안쓰는 플라스틱 통에 모은 약들은 한 곳에 모아두고, 이제 다시 포장용기와의 싸움이었다. 손톱과 칼로 어떻게든 알류미늄을 뜯어내려고 고군분투를 했지만 도저히 떼지지 않는 것도 있어 어쩔 수 없이 분류를 하지 못하고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했다.그렇게 한참을 포장지와 싸움을 하고 나니 왼쪽 검지 손가락의 손톱이 갈라지고 깨져 있었다.

만약 네일을 한 상태였으면 속상할 뻔 했다. 알약 형태의 약들은 분류하고 그 다음 차례는 캡슐 형태의 약을 분류 할 차례였다.

캡슐 모양의 약은 안에 있는 가루를 따로 빼서 한 곳에 모아서 따로 버려야 했다. 캡슐은 생각보다 쉽게 분리가 됐다. 너무 쉽게 분리가 된 나머지 힘 조절을 못해 안에 있는 가루가 '펑'하고 터져 호흡기를 자극했다.
 


쓴 약이 코와 눈에 들어와 세수를 해야 하며 쌩 고생이었다. 한 번 쓴 맛을 봤던 경험을 뒤로하고, 그 뒤부터는 살짝만 힘을 줘 가루가 날리지 않도록 조심해서 분리했다. 그렇게 조심스럽게 가루를 준비한 작은 통에 모아 놓고 보니 색이 노란 강황가루 같기도 했다.

약을 분리하고, 한 곳에 잘 모아뒀다면 폐의약품을 수거해 주는 곳을 찾아 방문하기만 하면 됐다.

약국과 동사무소 두 곳에서 약을 수거하지만, 일일이 전화를 해서 약국에 확인하는 것 보다 근처 동사무소에 수거함이 있는 지 검색하는 게 더 빨라 동사무소를 선택했다.

'혹여 없다고 그러면 어떻게 하지?'라며 긴장된 마음으로 해당 동사무소에 전화를 했다. 조심스럽게 "아직도 폐의약품을 수거해 주나요?"라고 물어보니 "네, 약 가지고 오시면 돼요"라는 대답을 받았다. 다행히 집 앞에서도 수거를 해주다니. 전화를 끊은 후 바로 분류한 약을 챙겨 해당 동사무소에 방문했다.

 

 

약폐기함
동사무소에 놓여져 있는 폐의약품 수거함. 김지윤기자

빨간 캡슐약 모양의 작은 수거함이 있었는데, 이미 주민들이 버리고 간 약들로 가득 차 있어 약을 버릴 공간이 없을 정도였다. 뒤에서 지켜보던 관계자가 "요즘 수거함에 약을 버리고 가는 사람이 많이 늘어서 항상 비워야 해요"라며 수거함을 정리했고, 비워진 수거함에 챙겨온 약을 넣을 수 있었다.

폐의약품을 따로 분류하고 수거함에 넣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았다. 많은 힘이 들지도 않았고, 모든 동네에 수거함이 있기 때문에 확인전화 한번만 하면 운이 좋으면 집에서 1분 거리에서도 버릴 수 있다.

다만 서로 달라붙은 포장지들을 분리하는 것은 꽤 불편했다. 얇은 알류미늄 덮개가 쉽게 떼어지지 않아, 사실상 약을 분리하는 것 보다 포장지를 분리하는 게 더 힘들었다.

약 보관을 위해 공기 주입을 막기 위해 어쩔 수 없다곤 하지만, '쉽게 떼어지는 소재를 사용해야 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그래도 약을 모아서 가져다 주기만 하면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니 얼마나 쉬운가. 환경을 지키기 위해서 이런 귀찮음은 감수할 수 있지 않을까.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국마사회, 미리보는 챔피언 결정 ‘대통령배·그랑프리’ 빅매치
  2. 고양시 일산서구, 2025년 교통유발부담금 40억 원 부과
  3. 천안시, '1사1그룹홈 한마음 대회' 개최
  4. 천안시도서관본부, 11월 1일 북페스티벌 개최
  5. 천안법원, 주정차위반 불복 공무원 협박한 70대 남성 '징역 8월'
  1. 한기대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6학년도 전기 대학원생 모집
  2. 천안시복지재단, 어린이 나눔 활동으로 따뜻한 마음 전해
  3. [문예공론] 한글날에 드리는 마음
  4. 자전거로 '세종 국회·대통령실' 부지 찍고 경품 타자
  5. 걷거나 달리거나 '국회·대통령실' 한바퀴...상품은 덤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13일 막이 오르는 가운데 산적한 충청 현안 관철을 위한 골든 타임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전 충남 행정통합 및 공공기관 2차 이전 등 560만 충청인 염원이 본궤도에 오르도록 동력을 공급해야 하는 것이다. 국감 증인대에 서는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태흠 충남지사 뿐만 아니라 충청 여야 28명 의원의 초당적인 협력과 이슈파이팅이 시급해 보인다. 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국감은 내년 6월 지방선거 앞 더불어민주당의 윤석열 정부 내란청산, 국민의힘의 이재명 정..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 준비에 속도를 내면서 지역 정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선에 나설 후보 자격 심사 규정 준비부터 컷오프(공천 배제)와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 적용 여부 등 공천룰이 어떻게 구체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은 일찍이 지방선거기획단을 꾸린 뒤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후보 자격 심사 규정을 정비 중인데, 인위적인 컷오프는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청래 대표는 8·2 전당대회 과정에서 억울한 공천 배제를 막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때문에 애초 범죄 경력자 등 부..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대전 제과점이 지속적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대전 대표 제과점인 성심당이 전국적으로 주목받으면서 빵의 도시로 급부상한 데 따른 영향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국세통계포털 사업자현황에 따르면 8월 기준 대전의 제과점 수는 663곳으로, 1년 전(632곳)보다 31곳 늘어났다. 대전 제과점 수는 최근 5년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8월 538곳에서 2021년 8월 594곳, 2022년 8월 637곳, 2023년 8월 642곳, 2024년 8월 632곳으로 매년 단 한 차례도 빠지지 않고 늘고 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