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논단] 대한민국, 메가스포츠이벤트 부재는 인재[人災]

  • 오피니언
  • 월요논단

[월요논단] 대한민국, 메가스포츠이벤트 부재는 인재[人災]

정문현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교수

  • 승인 2023-07-23 08:25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232323
정문현 교수
코로나19로 침체된 경기가 살아나기도 전에 세계가 홍수와 극단 폭염 등으로 난리가 나고 있다. 캐나다와 미국의 인접 지역 기온이 54도까지 올라갔으며 중국에서는 몇 시간 만에 수개월 치의 비가 내려 대홍수를 일으켰고 유럽 일부 지역도 마찬가지다. 남아메리카 아열대 지역은 연속된 가뭄으로 매우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세계적인 경제불황과 미국발 금융위기 대공황 경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3차 세계대전의 위협 등등 전 세계의 산업 환경적 요인이 어느 때보다 불안하고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자원이 없어 원자재를 수입해야 하고 이를 통해 국민의 생계와 생존을 위해 저렴한 에너지를 공급해 주어야 할 국가적 책임이 막중한 시기에 한전과 원전 문제로 고공 상승 중인 전기요금은 국민을 하루하루 불안 속에 살아가게 하고 있다.

기온이 높거나 매우 춥거나 많은 눈비가 오면 국가와 국민은 에너지를 사용해 안전한 생활을 영위하려 한다. 전기요금 사태는 재난일까? 인재일까? 홍수나 산사태와 같은 재난 등으로 인명사고가 발생할 때 우리는 이런 사고들이 책임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의 안일한 대응으로 일어난 인재라는 상황을 자주 접하게 된다. 부실 임시시설 설치, 불법 구조물 설치, 통제 불이행, 안전조치 늦장 대응, 건축물 철근 빼먹기, 각종 소홀과 태만 등으로 대한민국엔 인재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다.

대표적인 인재사고로 32명이 사망한 성수대교 붕괴(1994년), 1,500여 명이 매몰돼 502명이 사망한 삼풍백화점 붕괴사고(1995년), 192명이 사망한 대구 지하철 참사(2003년), 17명이 사망한 우면산 산사태(2011년), 304명이 사망한 세월호 참사(2014년) 등이 있다. 하지만 330명이 사망한 부산 창경호 침몰 사고(1953년), 326명이 사망한 여수 남영호 사망 사고(1970년), 292명이 사망한 부안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1993년), 199명이 사망한 서울 대연각호텔 화재사건(1971년), 159명이 사망한 YTL30호 침몰 사건(1974년), 159명이 사망한 서울 이태원 압사사건(2022년) 등 대형사고들이 더 있었다는 걸 망각하고 살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인재로 발생하는 국가재난 상황이 스포츠 현장에도 발생하고 있다. 1986년부터 서울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 2002한일월드컵,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2014 인천 아시안게임,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끝으로 향후 우리나라에서 개최 예정인 메가 스포츠이벤트는 없다. 2038년 하계아시안게임 유치신청서를 낸 대구-광주가 유치에 성공하더라도 2018 평창올림픽 후 20년 만이 될 것이고 유치에 실패하게 된다면 적어도 30년간 대한민국에서 개최되는 메가 스포츠이벤트는 없다고 봐야 한다. 실로 스포츠 참사가 아닐 수 없다.

지구촌에는 4년마다 개최되는 올림픽 중간에 대륙별 종합스포츠대회인 유러피언 게임, 아시안게임, 아프리칸게임, 퍼시픽게임, 팬아프리칸 게임이 개최되고 있다. 국가마다 대회를 유치해 자국의 발전과 경기력 향상, 경제적 부를 창출하려고 애를 쓰고 있는데 적어도 지난 10여년간 대한민국 정부는 열심히 노력하지 않았다. 메가 스포츠이벤트 유치 신청은 적어도 개최년도 7~10년 전에 진행된다.

대한민국은 그동안 수많은 스포츠 인프라를 구축해왔고 대형 스포츠시설들을 활용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왜? 누가? 10여 년간 이런 노력을 방기(放棄)했는지? 그 책임이 역대 정권과 문화체육관광부에 있는 건 아닌지 묻고 싶다. 사실 2027 충청권 세계대학경기대회는 메가 스포츠이벤트에 해당하지 못하는 작은 규모의 스포츠대회다. 이제라도 정신을 좀 추스르고 정상적인 스포츠행정을 해보자.

할 일 많은 대한민국 스포츠행정 수장에 장미란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을 등판시켜 걱정 반 우려 반의 논란이 있는 게 사실이다. 침체된 엘리트 스포츠 육성 체계를 잘 정비해내고 국제스포츠대회 유치 재난 상황을 잘 해결해 나가는 행정을 펼치길 무거운 마음으로 기대해 본다.

/정문현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5 국감] "출연연 이직 대책 마련 시급… 연봉보단 정년 문제"
  2. 밀양시 홍보대사, 활동 저조 논란
  3. 응원하다 쓰러져도 행복합니다. 한화가 반드시 한국시리즈 가야 하는 이유
  4. "대전 컨택센터 상담사님들, 올 한해 수고 많으셨습니다"
  5.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1.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여성 장애인들 대상 가을 나들이
  2. 김태흠 충남도지사, 일본 오사카서 충남 세일즈 활동
  3. "행정당국 절차 위법" vs "품질, 안전 이상없어"
  4. 박경호 "내년 지선, 앞장서 뛸 것"…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도전장
  5.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헤드라인 뉴스


대전시 국감서 `0시 축제` 예산 둘러싸고 격돌

대전시 국감서 '0시 축제' 예산 둘러싸고 격돌

2년 연속 200만 명이 다녀간 대전시 '0시 축제' 운영 재정을 둘러싸고 여당 의원과 보수야당 소속인 이장우 대전시장이 24일 뜨겁게 격돌했다. 이날 대전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대전시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일각에선 민간 기부금까지 동원 우회 재정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맞서 국민의힘 광역단체장인 이 시장은 자발적 기부일 뿐 강요는 아니라고 해명하면서 여당 주장에 대해 정면 반박했다. 민주당 한병도 의원(익산을)에 따르면 3년간 0시 축제에 투입된 시비만 124억 7000만 원, 외부 협찬 및 기부금까지 포함..

[갤럽] 충청권 정당 지지도… `더불어민주당 51%, 국민의힘 29%`
[갤럽] 충청권 정당 지지도… '더불어민주당 51%, 국민의힘 29%'

충청권에서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서는 여론조사 결과가 24일 나왔다. 한국갤럽이 21~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정당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대전·세종·충청에서 더불어민주당은 51%, 국민의힘은 29%를 기록했다. 이어 개혁신당 4%, 조국혁신당 2%, 진보당 1%로 나타났다. 무당층은 14%에 달했다. 전국 평균으론 더불어민주당 43%, 국민의힘 25%, 조국혁신당 3%, 개혁신당 2%, 진보당 1%, 기본소득당 0.2%, 사회민주당 0.1%, 무당층 25%로 조사됐다. 충청권에서 이재명 대통령 직무수..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태적 가치를 고스란히 간직한 충남도의 명산과 습지가 지친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는 힐링 여행지로 주목받고 있다. 청양 칠갑산을 비롯해 예산 덕산, 공주 계룡산, 논산 대둔산, 금산 천내습지까지 각 지역은 저마다의 자연환경과 생태적 특성을 간직하며 도민과 관광객에게 쉼과 배움의 공간을 제공한다. 가을빛으로 물든 충남의 생태명소를 알아본다.<편집자 주> ▲청양 칠갑산= 해발 561m 높이의 칠갑산은 크고 작은 봉우리와 계곡을 지닌 명산으로 자연 그대로의 울창한 숲을 지니고 있다. 칠갑산 가을 단풍은 백미로 손꼽는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