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의 취재기록-64]제천 '속수승평계' 연습장소, KBS청주방송국 50년전 '흑백 영상'서 발견

[10년간의 취재기록-64]제천 '속수승평계' 연습장소, KBS청주방송국 50년전 '흑백 영상'서 발견

‘8초짜리 영상’…KBS, 제천 청풍 수해지역 촬영하면서 연습장소도 함께 촬영
속수승평계 첫 증언자의 손 그림, '제천 고서 사진.KBS 영상'과 일치
'학술적 가치 높다'…국악학계, 3차원 영상 구연도 가능

  • 승인 2023-08-16 23:13
  • 손도언 기자손도언 기자
KakaoTalk_20230816_220849524
1918년 국악단체인 속수승평계 단원들이 연습했던 실제 장소(빨간색 부분). KBS 청주방송국은 50년 전인 1972년 7월 31일 항공기로 수해 현장인 제천시 청풍지역을 샅샅이 훑다시피 전방위적으로 촬영했다. KBS 수해 영상 속에는 속수승평계 연습장소도 함께 촬영됐다. <영상자료 제공=KBS청주방송국>
제천 청풍승평계(1893년 창단) 후속 국악단체인 속수(續修)승평계(1918년) 연습장소가 생생한 '현장 영상'으로 발견돼 또 다른 관심을 받고 있다. 영상 속 연습장소는 속수승평계 첫 증언자의 '손 지도', 그리고 고서적에 기록된 '스틸사진'과 100% 일치했다.

전설 속 제천 국악단체를 추적 중인 본보 취재팀은 지난 14일 KBS 청주방송국 자료 협조를 요청했다. 1985년 충주댐 건설로 인해 물속에 잠기기 이전의 제천시 '청풍지역 영상 원본'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KBS 문을 두드렸는데, 다행히 역사 속 한 장면이 그 모습, 그대로 촬영됐다. KBS 청주방송국 아카이브(archive)검색결과 1985년 충주댐 건설로 인해 물속에 잠기기 이전 모습이 KBS 항공촬영에 의해 생생하게 남아 있었다. 특히 KBS 영상에는 속수승평계 연습장소도 함께 촬영됐다. KBS 항공촬영에 연습장소가 그대로 찍힌 것이다. KBS 관계자와 함께 항공촬영을 검색한 지 약 5시간만이다.



2022012501001716700056531
'1918년 국악단체인 속수승평계 단원들이 연습했던 실제 장소(빨간색 부분)'…연습 장소는 제천시 청풍면 읍하리다.사진 중간 부분에 '팔영루(지서 옆에 위치·조선시대 건축물, 충북도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가 보인다.이장용 선생은 초등학교 고학년 때, 팔영루 옆에 살았는데, 팔영루와 속수승평계 연습장소를 지나서 등·하교 했다고 한다. 이 사진은 2022년 1월 21일 '청풍부읍지사료집성' 기록을 카메라로 촬영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KBS 청주방송국은 1972년 7월 31일 항공기로 제천시 청풍지역을 촬영했다. 당시 청풍지역은 큰 수해가 발생했고, KBS 청주방송국은 촬영 장비를 단 헬기를 띄워, '청풍지역 수해현장'을 샅샅이 훑다시피 전방위적으로 촬영했다. 본보 취재팀은 수많은 청풍지역 수해 영상 속에서 약 '8초'짜리 영상을 주목했다. 8초짜리 영상은 청풍지역 팔영루에서 마을 입구를 촬영했다. 영상 카메라 촬영기법인 '팬(Pan)', 그러니까 카메라 앵글을 우에서 좌로 움직이면서 촬영된 KBS 영상 속에 연습장소가 그대로 찍힌 것이다.

KBS 영상에 따르면 팔영루에서 내려다 본 마을의 지붕자재는 초가와 기와, 스레트 등으로 구성됐다. 초가집 세대에서 스레트 등의 세대로 옮겨가는 시점으로 보여진다. 영상 속 담벼락은 돌담으로 쌓아졌다. 마을, 중심부 도로는 흙길이다. 도로에는 자전거를 타고 가는 주민들과 또다른 마을 주민들이 어느 집, 대문 앞에서 옹기종기 모여 있다. 속수승평계 연습장소로 보여지는 스레트 집(KBS 영상 속 오른쪽 2번째 집)의 재질과 형태는 '청풍부읍지사료집성' 책자에 실린 스틸사진(1980~90년대 추정)과 일치했다. 따라서 연습장소는 수몰 직전까지 같은 형태의 모습으로 물속에 잠긴 것으로 추정된다. 영상 속 오른쪽 첫 번째 집은 초가집으로 돼 있는데, 청풍부읍지사료집성 책자에 실린 스틸사진 스레트 집보다 더 오래됐음을 엿볼 수 있다.



2023011401001030300039161
'이장용 선생(90·제천시·국악단체인 속수승평계 첫 증언자)이 기억으로 직접 그린 속수승평계(1918년) 연습장소(빨간색 부분)'. 그가 그린 연습장소 손그림은 이건영 속수승평계 서열 3위의 간부급 단원 집으로 추정된다. 이건영의 4대 후손은 "증조할아버지 집에 가야금 등이 있었고 사람들이 수시로 와, 연습했다"고 첫 증언했다. 손그림은 2022년 1월 12일 이장용 선생 자택에서 촬영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KBS 속수승평계 연습장소 흑백 영상은 본보 취재팀이 확인한 2022년 1월 12일 이장용(90) 제천시·속수승평계 첫 증언자가 자택에서 흰 도화지에 직접 그린 속수승평계 연습장소와 일치했다. 뿐만 아니라 열흘 뒤인 1월 21일에 확인한 '청풍부읍지사료집성' 책자에 실린 스틸사진과도 정확하게 일치했다. 결국 '손 지도, 스틸사진, 흑백 영상' 등의 발견으로 속수승평계 연습장소는 실제로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재명 국악음반박물관장은 "속수승평계 국악단체 연습장소가 촬영된 KBS 흑백 영상을 주목하고 있다"며 "그동안 이장용 어르신의 손그림과 사진 등 평면적인 연습장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번 KBS영상이 확보되면서 입체적인 상황, 그리고 3차원 영상까지 구연할 수 있게 돼 학술자료로 큰 가치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KBS 청주방송국 관계자는 "청풍승평계와 속수승평계는 제천, 충북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역사"라며 "역사 속 제천 국악단체를 찾는데, KBS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1.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2.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3.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4. 홀트대전한부모가족복지상담소, 대전아동기관단체와 협약
  5. 온새미로 봉사단과 함께하는 사랑의 소규모 집수리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