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충남 학자금대출 체납액 5년 새 3배 증가

  • 경제/과학
  • 금융/증권

대전·세종·충남 학자금대출 체납액 5년 새 3배 증가

2017년 15억 7700만→지난해 47억 9200만원으로
세종은 2600만 원→3억 9600만 원 1400% 이상↑

  • 승인 2023-09-18 17:17
  • 수정 2023-10-21 21:49
  • 신문게재 2023-09-19 4면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스크린샷 2023-09-18 151828
대전 지역 학자금 체납액과 건수 현황. 사진=국세통계포털
최근 5년 사이 대전과 세종, 충남지역에서 취업 후 학자금 상환 체납액이 3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취업 후 학자금 상환 체납액은 47억 9200만 원으로 2017년(15억 7700만 원)보다 203.86% 늘어났다. 체납 건수도 2017년 1688건에서 2022년 4360건으로 158.29% 급증했다.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은 대학생에게 학자금을 대출하고 그 원리금은 소득이 발생한 후에 소득 수준에 따라 상환하도록 해 경제적 여건에 관계없이 누구나 원하는 고등교육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연도 말 기준으로 학자금 상환 납기가 됐는데도 내지 못한 미정리체납금액은 대전·충남·세종 지역에서 32억 9800만 원으로 파악됐다.



미정리체납액이 9억 2500만 원이었던 2017년과 비교했을 때 256.54% 불어난 것이다. 지난해 미정리체납 건수는 2017년과 비교했을 때 198.17% 많아진 2773건에 달했다.

지역별로 구분하면 대전이 체납액과 체납건수가 월등히 많았다.

지난해 기준으로 체납금액을 보면, 대전이 22억 8600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충남 21억 1000만 원, 세종은 3억 9600만 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체납 건수는 대전은 2118건, 충남 1934건, 세종은 308건이었다.

학자금 체납액은 세종에서 15배 이상 가파르게 증가했다. 세종의 체납금액은 2017년 2600만 원에서 2022년 3억 9600만 원으로 1423.08% 증가했다.

대전의 체납금액도 2017년 6억 3900만 원에서 2022년 22억 8600만 원으로 257.74% 뛰었다.

같은 기간 충남은 9억 1200만 원에서 21억 1000만 원으로 131.36% 늘었다.

체납 건수는 같은 기간 대전에선 706건에서 2118건으로 200%, 충남은 937건에서 1934건으로 106.4%, 세종은 584.44% 늘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4.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5.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1.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4.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5.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