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 신용카드 사용액 역대 최고치 ‘기록’

  • 경제/과학
  • 금융/증권

대전·충남 신용카드 사용액 역대 최고치 ‘기록’

  • 승인 2017-08-07 17:00
  • 신문게재 2017-08-08 7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5월 황금연휴와 미세먼지에 백화점 마트 등서 지갑 열려

삶의 윤택한 질 보여주는 레저 등에서도 사용액 올라




대전·충남 신용카드 사용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무더위와 미세먼지, 황금연휴 덕분에 백화점과 마트 등에서 지갑이 열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7일 한국은행에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5월 대전·충남에서 사용된 신용카드 결제액은 총 1조 8726억원으로, 전월(1조 7682억 3000만원)보다 1043억 7000만원 올랐다. 지역별로는 대전이 4월 8240억 2000만원에서 5월 8552억 4000만원으로, 충남도 9442억 1000만원에서 1조 173억 6000만원으로 각각 312억 2000만원, 731억 5000만원 증가했다. 이는 한국은행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9년 12월 이후 최고액이다. 충남의 신용카드 사용액이 1조원을 돌파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우선 저렴한 소비가 줄을 이었다.

지역의 할인점 신용카드 사용액은 대전이 597억 1000만원에서 716억 7000만원으로 119억 6000만원 상승했다. 이 기간 충남은 675억원에서 799억 8000만원으로 104억 8000만원 올랐다.

또 고온현상과 미세먼지 영향으로 공기청정기 등 가전판매점 제품이 많이 팔리면서 백화점 부문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전은 5월 329억 5000만원으로, 전월(270억원)보다 59억 5000만원 증가했다. 이 기간 충남도 103억 1000만원에서 123억 7000만원으로, 20억 6000만원 상승했다.

여름을 대비한 의류 소비도 많았다. 대전의 의류 및 직물업체 신용카드액은 4월 227억 9000만원에서 5월 234억 5000만원으로 6억 6000만원, 충남은 충남은 265억 5000만원에서 291억 3000만원으로 25억 8000만원 각각 증가했다.

5월 황금연휴에 외식을 즐기는 이들이 증가하면서 일반음식점 카드사용액도 정점을 찍었다.

대전은 5월 1249억 1000만원으로, 전월(1152억 3000만원)보다 96억 8000만원 늘었으며, 같은 기간 충남도 1599억 8000만원에서 1782억 5000만원으로 182억 7000만원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윤택한 삶의 질을 결정짓는 레저용품·레저시설에서도 지갑을 연 지역민이 많았다.

대전은 4월 178억 6000만원에서 5월 194억 3000만원으로, 충남은 249억원에서 278억원으로 각각 15억 7000만원, 29억원 신용카드를 긁은 금액이 늘었다. 경기에 영향을 많이 받는 골프장도 대전은 4월보다 1억 8000만원 증가한 16억 9000만원으로 집계됐으며, 충남도 27억 5000만원 오른 132억 2000만원으로 나타났다.

교육에도 신용카드 지출이 많았다. 학원에서 사용한 신용카드 사용액은 대전이 4월 213억 1000만원에서 5월 222억 3000만원으로, 충남은 294억 7000만원에서 325억 6000만원으로 각 9억 2000만원, 30억 9000만원 금액이 늘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2.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3.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4. ‘몸짱을 위해’
  5. 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 지역 노사 엇갈린 반응… 노동계 "실망·우려" vs 경영계 "절충·수용"
  1. 대전상의-대전조달청, 공공조달제도 설명회 성료
  2.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3.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4.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5.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