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가 전하는 지역이야기] 1. 대전역

  • 경제/과학
  • 공사·공단

[철도가 전하는 지역이야기] 1. 대전역

경부선과 호남선 분기점에 위치한 '대전역'
1958년 전쟁으로 무너진 철도역 가운데 가장 먼저 다시 세워져
많은 이야기를 담고있는 대전역…가락국수, 대전부루스 등 다양

  • 승인 2021-02-03 15:03
  • 신문게재 2021-02-04 11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대전역_1
대전역 모습. 국가철도공단 제공
대전역_2
대전역 모습. 국가철도공단 제공
대한민국의 철도 중심축이라고도 불리는 대전역. 경부선과 호남선의 분기점이자 한국전쟁 임시 수도였던 대전의 중심이었다. 대전역은 애초 철도 계획이 없었던 곳이었다. 그러나 계획에 없던 곳에 놓인 철도가 대전을 열었고, 수도권과 영·호남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심장이 됐다. 심장인 대전역을 통해 혈류는 서울과 수도권으로, 영남과 호남, 강원으로 흘렀다. 대전역은 대한민국 역사에서 그런 존재다. 한겨레의 힘으로 일제강점기를 떨쳐내고 한반도에 새로운 역사의 불을 지핀 대전역, 중도일보는 매주 목요일자 지면에 그의 이야기를 담을 예정이다. <편집자 주>

▲명실상부 철도의 중심

대전역은 1095년 1월 1일 경부선 철도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했다. 경부선과 호남선의 분기점이 되면서 철도교통의 중심으로 급부상한다. 1928년 현재의 대전역 위치에 두 개의 둥근 돔을 갖춘 서구식 역사를 신축했지만, 아쉽게도 한국전쟁으로 소실된다.

하지만 958년 무너진 철도역 가운데 가장 먼저 다시 세워진다. 2004년 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새 역사가 건설되고, 2017년 증축공사를 거치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역 동편에 있는 28층 쌍둥이 빌딩인 철도기관 공동 사옥은 현대화된 대전역과 함께 명실상부 대한민국 철도 중심의 위용을 보여주고 있다.



2019072101001919300086261
중도일보DB
▲대전역 인근에서 경험하는 근·현대철도기행

대전역을 기점으로 많은 역사를 경험할 수 있는 장소가 있다. 먼저 대전역 호국 철도 공원이 있다. 대전역 동광장에는 한국전쟁 당시 나라를 구하기 위해 사선으로 뛰어들었던 철도역사 동상이 자리하고 있다. 북한군에 포위된 미 제24단장인 윌리엄 F 딘 소장을 구출하기 위해 기차에 올랐던 김재현 기관사와 황남호 보조기관사, 현재영 보조기관사의 모습을 형상화한 동상이다. 대전역 광장 바로 앞에 위치한 목조 철도공사 대전지역사무소 보급창고도 볼거리 중 하나다. 이는 근대 목조 건축물로 한국전쟁 이후 창고 건축물의 특징을 알 수 있으며, 희소가치가 높아 등록문화재 168호로 지정됐다.

소제동 철도 관사촌도 빼놓을 수 없다. 대전 동구 소제동에 있는 철도 관사촌은 일제강점기 일본 철도기술자들이 모여 살던 곳이다. 해방 이후 일반인들에게 나눠줘 대전 주민들의 일상을 함께하는 삶의 터전이 됐는데, 아직도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를 여행하는 느낌을 주는 곳이다. 마지막으로 국가철도공단 사옥의 최첨단 전시관에선 대한민국의 철도와 철도건설기술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2020060701000573700020851
중도일보DB
▲철도의 도시에 깃든 사연과 추억

대전이란 지명은 한밭을 한자로 표기한 것으로 크고 넓은 들을 뜻한다. 넓은 들에는 사람이 모이고, 사람들은 변화를 만들어낸다. 이처럼 사람들이 모이고, 또 그만큼의 이야기가 있는 곳이 바로 철도역이다. 과거 호남선 이용 승객들은 대전역에서 기관차가 방향을 바꾸는 동안 잠시 열차에 내려 간단한 요기를 했는데, 이것이 대전 명물 가락국수의 시작이다.

대중가요 '대전부루스'는 대전발 새벽 열차를 두고 이별을 안타까워하는 연인의 모습을 담고 있다. 열차승무원으로 근무했던 작사가가 대전역에서 직접 목격한 이별 장면에서 영감을 받아 완성한 노래다. 도시 곳곳에 철도 이야기가 깃들어 있는 대전은 철도가 만든 철도의 도시다.


정리=김소희 기자
2020080501000464000017121
중도일보DB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제천서 실종된 40대 남성… 여전히 행방묘연
  2. 일상 속 위험, 예방이 먼저!
  3. 21년 만의 행정수도 재추진...3가지 관문 통과가 관건
  4. 이장우 "3대하천 준설 덕에…더는 물난리로 불편 없도록"
  5. 천안시의회 노종관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건축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본회의 통과
  1. 원모어아이 v2.0, 조달청 혁신제품 선정...기술력 입증
  2. 국세청, 집중호우 피해 납세자에 세정지원 강화
  3. 지역 어르신들에게 삼계탕 선물
  4. 매월 22일 '소등의 날' 실천...세종시민이 탄소중립 선도
  5. 세종음악창작소 '디깅라이브세종' 하반기 공연 개봉박두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62.7% 충청서 기선제압 …與 당권주자들 해수부 논란엔 `침묵`

정청래 62.7% 충청서 기선제압 …與 당권주자들 해수부 논란엔 '침묵'

더불어민주당 8·2 전당대회 첫 지역 순회 경선인 충청권 권리당원 선거인단 투표에서 정청래 후보가 62.77%의 득표율로 중원을 민심을 잡으면서 기선을 제압했다. 그러나 정작 충청권 강력 반발하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논란에 대해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등 세 명의 후보 모두 한마디도 하지 않아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비판이 거세다. 19일 민주당에 따르면, 충청권 권리당원 투표 결과 정청래 후보가 3만 5142표(62.77%)를 획득하며 2만 846표(37.23%)를 얻은 박찬대 의원을 큰 격차로 제쳤다. 투표에는 전체 권리당..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올해로 10회를 맞은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KITS:Korea International Tourism Show)가 18일부터 21일까지 나흘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7홀에서 열린다.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와 KITS조직위원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전시산업원이 주관하는 이번 박람회는 국내외 관광업계 정보 제공의 장과 관광객 유치 도모를 위한 비즈니스의 장을 마련해 상호 교류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KITS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역별 특색을 살린 여행 콘텐츠와 국제 관광도시 및 국가 홍보, 국내외 관광 콘텐츠 간 네트워..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