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판소리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판소리

김병곤 대전시립연정국악단 지도위원

  • 승인 2023-06-28 09:29
  • 심효준 기자심효준 기자
2023050301000234000009371
김병곤 지도위원.
우리 민속예술 중에는 독특한 '판'이라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 판은 민속예술의 공연장에서 쓰이는 용어이며 행위예술의 표현적 개념이다. 우리에게 익숙한 민속악적 용어의 '판'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예를 들어 씨름판과 굿판, 난장판, 소리판, 춤판, 농악판 등 다양한 판들이 있다.

민속악적 용어의 '판'은 특수한 목적으로 행위가 되는 공간으로 공연예술이 발달하기 이전 민속예술의 무대는 마당이나 마을의 큰 광장 또는 학교 운동장에서 행위가 이뤄졌다.

'판소리' 또한 판에서 소리를 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과 작품의 완성도를 나타내는 의미의 판을 짠다는 의미도 포함돼 있다.

판소리는 17세기부터 등장한 한국의 전통음악으로 한 사람의 창자가 소리와 아니리(대사), 너름새(몸동작)를 하면서 긴 이야기를 연극적 요소와 스토리를 풀어가는 형식으로 고수(북치는 사람)가 장단을 맞추어 추임새를 하며 소리 길을 함께하는 공연이다.



소리판을 만들어가는 요소로는 소리꾼, 고수, 그리고 청중이 함께 있다. 판소리는 관객과 함께하는 공연으로 공연 중간에 흥이 나면 얼~쑤, 좋~다, 잘한다~ 등을 외치는데 이를 추임새라고 부른다. 이는 소리꾼이 청중에게 이야기를 전달만 하는 일방적인 음악 예술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판소리는 서양의 오페라와 유사한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오페라는 연기조차도 노래를 통해서 하고, 받쳐주는 음악이 서양 클래식 음악이며 관객이 조용히 감상한다는 점에서 판소리와 대조적이다. 판소리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듯한 부분과 창을 하는 부분이 나뉘어져 있으며, 고수의 북소리와 추임새를 제외하고는 별도의 음악이 없으며, 관객이 같이 추임새를 넣어주는 등 관중이 같이 참여하는 형태였다는 차이점이 있다.

판소리는 호남지방에서 그 예술적 형식이 정착되었으며, 양반이 아닌 일반 하층민을 대상으로 시작된 예술 문화다. 18세기에 들어 판소리는 양반에게 받아들여지기 시작했고 조선 전국에서 사랑받는 문화가 되어 현재까지 전해내려져 오고 있다.[

판소리는 국가무형문화재와 시·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전승 발전되고 있으며, 우리 민족의 '희노애락'을 함께해온 무형유산 걸작으로 독창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아 2003년 11월 7일 유네스코 제2차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선정됐고, 2008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어있다.

판소리는 12마당 즉 춘향가와 심청가, 수궁가, 흥보가, 적벽가, 배비장타령, 변강쇠타령, 장끼타령, 옹고집타령, 무숙이타령, 강릉매화타령, 가짜신선타령이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충, 효, 의리, 정절 등의 가치관이 담긴 5마당(수궁가, 심청가, 적벽가, 춘향가, 흥부가)으로 정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판소리의 기본선율은 계면조·우조·평조·경드름·설렁제 등 여러 조(調)가 있다. 슬픈 애환을 담아낸 계면조, 밝고 화평한 느낌을 주는 평조, 웅장한 느낌을 주는 우조, 경쾌한 느낌을 주는 경드름, 씩씩한 느낌을 주는 설렁제, 그 밖에 추천목·강산제·석화제·메나리조 등 슬프고 즐거운 여러 조가 있다.

판소리의 유파가 생긴 지역으로는 전라도와 충청도 서부, 경기도 남부에 이르는 넓은 지역으로, 지역적 특성과 전승 계보에 따라 여러 유파가 생겼다. 충청도와 경기 일부의 중고제(中高制), 전라도 동북지역의 동편제(東便制), 전라도 서남지역의 서편제(西便制)로 크게 구분하고, 유파에 따라 발전한 여러 유파들이 전승되고 있다.

판소리에 쓰이는 장단은 느린 장단인 진양, 보통 빠른 중모리, 조금 빠른 중중모리, 빠른 자진모리, 매우 빠른 휘모리등 여러 장단들이 소리길을 함께해 극 중에 나타나는 여러 사설의 긴장과 이완을 표현하고 있다.

판소리는 역사성 만큼이나 음악적 구성과 사설이 잘 짜여진 작품이다. 처음 접하면 한자어가 많이 나와서 사설(가사)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음악은 만국공통어이기에 춘향가의 사랑가 한 대목이라도 접하면서 우리 소리와 친해지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 바람을 갖는다.

/김병곤 대전시립연정국악단 지도위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