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3] '순천만+태화강' 장점...세종시 중앙녹지공간으로

  • 정치/행정
  • 세종

[시리즈3] '순천만+태화강' 장점...세종시 중앙녹지공간으로

2023년 국제정원박람회 성공 개최한 '순천'...2028년 후속 개최를 앞둔 '울산'
국가정원 1,2호를 토대로 정원도시 면모...후발주자 세종시의 롤모델
2026 박람회 찍고 국가정원 승인 주목...금강과 중앙공원 '사회적 합의'가 관건

  • 승인 2024-05-30 17:43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토지이용계획
세종시 중앙녹지공간의 잠재력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구역도. 사진=중도일보 DB.
세종시 중앙녹지공간은 '전남 순천만(2015년 1호)'과 '울산 태화강(2019년 2호)'에 이어 미래 국가정원 대열에 들어서고, 정원 관광의 메카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까. 연평균 1000만 명 안팎의 방문객으로 전 세계적 명소가 된 싱가포르 '가든스바이더베이(2012년)'도 넘어서야 할 대상이다.

중도일보는 울산 태화강을 중심으로 한 국내·외 사례 조명을 통해 중앙녹지공간과 금강에 접목할 요소들을 찾아봤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1.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가보니...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미래는



2. 죽음의 '6급수'에서 생명의 '1급수'로 탈바꿈한 태화강이 금강에 말하다

3. '순천만+태화강' 장점, 세종시 '중앙녹지공간'으로...사회적 합의 관건

KakaoTalk_20221114_103004037_07
세종시 중앙녹지공간 야경. 불빛의 중심지는 중앙공원 1단계다. 사진=이희택 기자.
국가정원 1호 순천만과 2호 태화강의 뒤를 따르고 있는 세종시 '중앙녹지공간'. 잠재력과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가는 길이 쉽지만은 않다.

2030년 세종시 완성기까지 지방정원부터 국가정원으로 등록하는 절차를 기본적으로 밟아야 하고, 2026년 국제정원도시박람회 성공 개최는 중요한 관문으로 남아 있다. 중앙·지방 할 것 없이 재정난에 직면한 상황에서 '예산안 확보'도 숙제로 남겨져 있고, 지역 기업과 기관·단체, 시민사회의 자발적 참여 인식 전환도 매우 중요해졌다.

그런 의미에서 세종시에 앞서 정원도시의 길을 걷고 있는 전남도(순천만)와 울산시(태화강)를 잘 벤치마킹할 필요성이 있다. 옥석을 고르고 구슬을 잘 꿸 수 있다면, 제3의 정원관광 도시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모은다.

무엇보다 면적과 제반 인프라 면에서 잠재력이 순천만과 태화강 정원 못잖다.

세종시 중앙녹지공간은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7만 9494㎡ ▲세종호수공원 69만 5000㎡ ▲중앙공원 1단계(체육시설과 수목, 잔디광장) 52만 6000㎡ ▲중앙공원 2단계(현재 논과 금개구리 보전구역) 87만 5000㎡까지 정원 관련 부지 규모만 282만 5194㎡에 달한다. 인근 국립박물관단지(19만 9000㎡)와 국회 세종의사당 예정지(63만 1000㎡)에다 전월산과 한국전통문화체험원, 광활한 금강 수변과 합강변까지 연결하면 면적은 365만 5194㎡ 플러스 알파에 이른다.

전남은 순천만 국가정원(92만 6000㎡)과 순천만 습지(100만㎡)를 합한 194만㎡, 울산은 태화강 국가정원 83만 5000㎡ 규모다.

더욱이 세종시는 국립세종수목원(65만㎡)이란 기본 정원 인프라를 확보해뒀다. 전통정원과 분재전시관, 어린이정원, 생활정원, 희귀특산식물 전시 온실, 단풍정원, 치산녹화원, 무궁화원, 치유정원, 후계목정원, 숲정원, 감각정원, 사계절꽃길 등의 공간 명칭이 이를 보여준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8만 8279㎡)도 세계 최대 규모로 3.6km 구간 개방을 이미 시작했다.

관건은 지방정원 및 국가정원 지정은 물론이고, 국제정원도시박람회의 주무대가 될 중앙공원에 어떤 '정원 콘텐츠'를 구현하느냐로 모아진다. 순천만과 태화강이 바로 이의 모델이 돼야 하는 배경이다.

▲순천의 '동문·서문·남문 도시 권역과 습지 권역별 정원'과 울산의 '6개 주제 20개 정원' ▲순천의 '동천'과 울산의 '태화강', 세종의 '금강' ▲순천의 '출렁다리와 물위의 수상정원, 수변 산책로, 맨발 걷기길, 차량·보행 교량, 보행 전용 꿈의다리', 울산의 '은하수 다리와 십리대밭교, 실개천, 맨발 걷기길, 보존형 삼호(생태)지구', 세종의 '이응다리와 중앙공원 2단계 금개구리 보전구역, 수목원의 청류지원' ▲순천의 '둔덕 형태의 전망 공간 3곳', 울산의 '태화강 전망대', 세종의 '도시전망대와 사계절 전시온실, 이응다리 전망대 3곳' ▲순천은 '동천의 인공보와 유람선'과 울산의 미래 '드래곤보트', 세종의 '친수 시설' ▲순천의 '스카이큐브(PRT)와 내부 셔틀', 울산의 '셔틀 관람차' 등이 오버랩 산물이자 벤치마킹 공간들로 다가온다.

세계적 정원 명소는 싱가포르의 '가든스바이더베이'의 경우, 중앙녹지공간의 1/3이 안되는 부지에 3만 200㎡ 규모의 화훼돔(온실정원)부터 200여 종 슈퍼트리, 클라우드 포레스트(인공 폭포), 50m 높이의 레스토랑 등의 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금강 세종보 가동'과 '금강의 친수 인프라 강화', '중앙공원 2단계 부지 활용안'을 둘러싼 시민사회 이견을 더욱 좁혀 나가고, 그 안에서 최적의 사회적 합의안을 도출하는 과정도 세종시에게 던져진 핵심 과제로 다가온다.

시 관계자는 "순천만과 태화강, 가든스바이더베이뿐만 아니라 동네별 민간 정원 명소 등도 벤치마킹 대상"이라며 "2026년 박람회를 시작으로 장기적 안목으로 정원도시를 만들어간다면, 세종시의 또 다른 성장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끝>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KakaoTalk_20240530_173832578
시민사회단체는 세종보 가동에 강력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고, 환경부와 세종시는 6월 중으로 재가동을 예고하는 등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사진은 30일 세종보 인근에서 진행된 기자회견 모습. 사진=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30517_184744992_22
순천만 국가정원을 가로지르는 동천과 유람선. 사진=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30517_185345560_10
순천만 국가정원 서문 입구. 사진=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40528_114109831_11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모습. 사진=이희택 기자.
태화강
울산 태화강 모습. 사진=이희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 동래구, 제3회 온천천 빛 축제 개최
  2. 세종시 '이응다리+중앙공원'서 빛의 향연...22일 개막
  3. 상명대 간호학과, 나이팅게일 선서식 개최
  4. 천안시보건소, '생명존중 안심마을' 4곳 지정
  5. 한기대 STEP, '열정 가득' 온라인 서포터즈 3기 출범
  1. 나사렛대, 기아자동차 정주훈 상무 초청 '경영인의 날' 성료
  2. 우송정보대 간호학과, 재학생 위한 '취업 멘토링 프로그램' 개최
  3. 김포시농기계임대사업소, 노후농기계 불용품 매각
  4. 천안 벽산 블루밍 파크포레, 사업계획 승인 및 도급계약 모두 마쳐
  5. 한기대, 충남경제정책 경연대회 우수상·장려상

헤드라인 뉴스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방산기업들이 동유럽 시장에서 1521만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 성과를 올렸다. 한화로는 223억 4195만 원에 달한다. 21일 대전테크노파크에 따르면 지난 13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방위산업 기술 비즈니스 교류'에서 대전 지역 7개 방산·드론 기업이 이같은 결과를 냈다. 이번 상담회는 대전TP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으로 방산 사절단을 파견해 진행한 1대 1 비즈니스 상담회로, 폴란드 바르샤바 현지에서 개최됐다. 폴란드는 최근 동북 지역 국경 안보 강화에 나서며 국방예산을 확대하고 군 현대화를 추진하고..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가 내년부터 3·8민주기념관을 직접 운영하며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민주주의 교육프로그램 신설을 준비한다. 20일 대전시와 (사)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4일 개관한 중구 선화동 3·8민주의거기념관을 그동안 대전시가 직접 운영하던 것에서 기념사업회에 운영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내년 1월 전환된다. 3·8민주의거기념관은 1960년 3월 8일 대전에서 시작된 고등학생들의 민주화 시위로, 당시 이승만 정부의 부정부패와 불의에 항거하며 민주주의를 위해 나섰던 학생들의 용기와 희생을 상징하는..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연일 계속되는 초겨울 추위 속에서도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는 봄을 미리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사장 심상택)은 11월 22일부터 2026년 3월 1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 제라늄 품종 전시회 '우린, 지금부터 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제라늄전문협회와 협업해 진행되며, 약 350종의 제라늄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제라늄은 남아프리카가 원산지로, 화려한 꽃과 쉬운 관리로 한국 베란다 정원에 적합한 식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도 꽃을 피워 봄을 미리 준비하는 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