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공론] 조선시대에는 '담배'에도 계급을 나누었다

  • 오피니언
  • 문예공론

[문예공론] 조선시대에는 '담배'에도 계급을 나누었다

최정민/평론가

  • 승인 2024-08-06 19:15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사회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흡연. 주거 공간 내 흡연, 길거리 흡연 등으로 비흡연자들은 흡연자를 법적으로 강력히 처벌하길 원한다. 흡연은 건강에도 좋지 않다는 것이 의학적으로 밝혀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금연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담배는 수세기 동안 사람들이 일상에서 즐겨온 기호품인 것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담배는 조선시대에도 존재했다. 『조선왕조실록』과 최초의 백과사전인 『오주연문장전산고』등의 기록에 의하면 담배는 16세기 말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일본에 의해 전래되었다. 담배가 처음 유입되었을 때는 기침이나 가래, 콧병에 좋다고 알려져 큰 인기를 끌게 된다. 당시 담배의 명칭으로는 남쪽에서 전래되어 온 신비스러운 풀이라하여 '남령초(南靈草)'라고 불리었다. 이 외에도 연기나는 풀, 즉 '연초(煙草)'로도 불리었는데, 이는 지금까지도 사용되는 용어이다.

담배는 그 중독성이 강했던 탓인지 급속도로 전파되었다. 17세기 초에는 담배를 본격적으로 재배하면서 농민들에게 경제적으로나 상업적으로 큰 도움을 주었다. 조선시대 담배 제조 과정은 그림으로도 남아있다. (그림 1). 넓은 담배 잎의 뼈다귀를 추려낸 다음 작두판에 눌러서 썰어내고 있는 광경이다. 담배는 국내 수요뿐만 아니라 청나라로 공급이 가능할 정도였다.

1
(그림 1) 단원 김홍도, <담배썰기>, 《풍속도첩》,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하멜표류기의 부록인 조선국기에 따르면 '아이들도 4, 5세만 되면 담배를 피우며 남녀노소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이 없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기산 김준근의 <풍속도>에서는 어린 여인이 담뱃대를 입에 물고 월천꾼(사람을 업어서 물을 건네주던 직업)에게 업혀 이동하는 모습이 담겨있다. (그림 2). 즉 담배는 신분을 막론하고 남녀노소 즐기는 조선시대 기호품이었던 셈이다.



2
(그림 2) 기산 김준근, <풍속도>,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담배를 즐겼던 조선의 왕이 있다. 바로 정조대왕이다. 정조(正祖, 재위 1776∼1800년)는 1796년 규장각 문신들에게 시험문제로 '담배의 이로움을 적으라'는 문제를 내기도 했다고 하니 그의 담배 사랑이 지극했음을 알 수 있다. 담배가 무분별하게 확산되자 담배 예절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18세기 말 『경도잡지』에 따르면 '비천한 자는 존귀한 사람 앞에서 담배를 피우지 못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즉 평민이나 천민은 양반 앞에서 담배를 피우면 안되었다. 더불어 어린아이들이 스스럼 없이 어른들과 함께 담배를 피우는 것은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게 되었다.

조선 시대는 신분제도에 얽매여 있던 시기였다. 따라서 담뱃대의 길이도 신분에 따른 제약이 존재하였다. 먼저 조선시대의 담뱃대는 담뱃잎을 넣고 불을 붙이는 곳인 태통과 연기를 빠는 부위인 물부리, 그리고 이둘을 연결하는 설대로 구성되어있다. 담뱃대는 전체길이로 그 명칭이 달라진다. 50∼60cm의 담뱃대는 장죽(長竹)이라 부르며, 설대가 길기 때문에 하인이 불을 붙여줘야 했다. 따라서 긴 담뱃대는 양반의 권위를 상징하는 것이었다. 설대가 없거나 짧은 것은 평민이 사용했으며 이를 곰방대(短竹)라고 부른다. 평민의 담뱃대보다 매우 짧은 것은 단죽(短竹)이라 하며 천민이 사용했다. (그림 3).

3
(그림 3) 단원 김홍도 作 (左) 양반의 담뱃대 표현 <타작>, 《풍속도첩》, 종이 위에 엷은 색, 28.0x23.9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右) 평민의 담뱃대 표현 <장터길>, 《풍속도첩》, 종이 위에 엷은 색, 28.0x23.9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화경독기』에 따르면 '전국에 걸쳐 다투어 사치하는 자들이 백통이나 오동(烏銅)으로 담뱃대를 만들뿐더러 금은으로 치장함으로써 쓸데없이 막대한 비용을 허비한다'라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의 담배는 신분에 상관없이 필 수 있었지만, 그 속에서도 자신의 신분을 표출하는 하나의 수단이자 사치품이었다.

현시대는 비싼 연초나 전자담배 기기를 사용한다고 해서 그 사람이 풍요로운 삶을 산다고 여기지 않는다. 오히려 흡연자들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다. 보건복지부의 금연캠페인 슬로건 중 하나인 '나는 네가 노담이면 좋겠어'의 광고에는 어린 학생들이 등장한다.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 혹은 멋있어 보이고 싶기 때문에 시작한 청소년을 겨냥한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담배는 백해무익하다. 국가에서 다양한 정책을 수렴하여, 이제는 금연의 시대로 나아가야 할 때이다.

최정민/평론가

4ac5c31814192690f10bdff4a6c06833f82bff74 (2)
최정민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문화동 국방부 땅 매각 검토될듯…꽃마을엔 대체부지 확보 요청도
  2. 李정부, 해수부 논란에 행정수도 완성 진정성 의문
  3. 지역정책포럼 '이재명 정부 출범과 지역과제' 잡담회 개최
  4. 여름휴가와 미래 정착지 '어촌' 매력...직접 눈으로 본다
  5.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1. [월요논단] 대전 야구.축구, 흥행은 성공, 결과는 불만
  2. 대전교육청 리박스쿨 관련 단체 민간자격증 소지자 16명 확인
  3. [홍석환의 3분 경영] 잘할 수 있다는 믿음
  4. [편집국에서] 안전 이별 했어?
  5. [오늘과내일] 대전 칼국수와 나가사키 짬뽕의 인문학적 교류 가능성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해수부 논란에 행정수도 완성 진정성 의문

李정부, 해수부 논란에 행정수도 완성 진정성 의문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며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충청권 대표 공약이었던 행정수도 완성 의지에 의문부호가 달리고 있다. 집권 초부터 PK 챙기기에 나서면서 충청권 대표 대선 공약 이행에 대한 진정성은 실종된 것이 아니냐는 비판에 따른 것이다. 자칫 충청 홀대로 해석될 여지도 있는 대목인데 더 이상의 국론 분열을 막기 위해선 특별법 제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로드맵을 조속히 내놔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5일 본보 취재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 임기 내 국회 세종의사당..

대전시의회, 유성복합터미널 BRT 등 현장방문… "주요 사업지 현장방문 강화"
대전시의회, 유성복합터미널 BRT 등 현장방문… "주요 사업지 현장방문 강화"

대전시의회가 유성복합터미널 BRT 연결도로와 장대교차로 입체화 추진 예정지 등 주요 사업지를 찾아 현장점검을 벌였다. 산업건설위원회는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현장, 교육위원회는 서남부권 특수학교 설립 예정 부지를 찾았는데, 을 찾았는데, 이번 현장점검에 직접 나선 조원휘 의장은 "앞으로 민선 8기 주요 사업지에 대한 현장 중심의 의정활동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조 의장은 13일 유성구 일대 교통 현안 사업 현장을 찾았다. 먼저 유성복합터미널 BRT(간선급행버스체계) 건설 현장을 방문했다. 유성복합터미널 BRT 연결도로는 유성구..

프로야구 한화이글스 흥행에…주변 상권도 `신바람`
프로야구 한화이글스 흥행에…주변 상권도 '신바람'

올 시즌 프로야구 흥행에 힘입어 경기 당일 주변 상권들의 매출이 2배 가까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국 야구장 중 주변 상권 매출 증가율이 가장 높은 구장은 한화이글스의 홈구장인 대전 한화생명볼파크다. 15일 KB국민카드에 따르면 2022~2025년 한국프로야구(KBO) 리그 개막 후 70일간 야구 경기가 열린 날 전국 9개 구장 주변 상권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매출액은 2022년 대비 2023년 13%, 2024년 25%, 올해 31%로 각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용·체크카드로 결제한 141만 명의 데이터 5..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

  • ‘선생님 저 충치 없죠?’ ‘선생님 저 충치 없죠?’

  • ‘고향에 선물 보내요’ ‘고향에 선물 보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