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는 조선시대에도 존재했다. 『조선왕조실록』과 최초의 백과사전인 『오주연문장전산고』등의 기록에 의하면 담배는 16세기 말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일본에 의해 전래되었다. 담배가 처음 유입되었을 때는 기침이나 가래, 콧병에 좋다고 알려져 큰 인기를 끌게 된다. 당시 담배의 명칭으로는 남쪽에서 전래되어 온 신비스러운 풀이라하여 '남령초(南靈草)'라고 불리었다. 이 외에도 연기나는 풀, 즉 '연초(煙草)'로도 불리었는데, 이는 지금까지도 사용되는 용어이다.
담배는 그 중독성이 강했던 탓인지 급속도로 전파되었다. 17세기 초에는 담배를 본격적으로 재배하면서 농민들에게 경제적으로나 상업적으로 큰 도움을 주었다. 조선시대 담배 제조 과정은 그림으로도 남아있다. (그림 1). 넓은 담배 잎의 뼈다귀를 추려낸 다음 작두판에 눌러서 썰어내고 있는 광경이다. 담배는 국내 수요뿐만 아니라 청나라로 공급이 가능할 정도였다.
(그림 1) 단원 김홍도, <담배썰기>, 《풍속도첩》,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그림 2) 기산 김준근, <풍속도>,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
조선 시대는 신분제도에 얽매여 있던 시기였다. 따라서 담뱃대의 길이도 신분에 따른 제약이 존재하였다. 먼저 조선시대의 담뱃대는 담뱃잎을 넣고 불을 붙이는 곳인 태통과 연기를 빠는 부위인 물부리, 그리고 이둘을 연결하는 설대로 구성되어있다. 담뱃대는 전체길이로 그 명칭이 달라진다. 50∼60cm의 담뱃대는 장죽(長竹)이라 부르며, 설대가 길기 때문에 하인이 불을 붙여줘야 했다. 따라서 긴 담뱃대는 양반의 권위를 상징하는 것이었다. 설대가 없거나 짧은 것은 평민이 사용했으며 이를 곰방대(短竹)라고 부른다. 평민의 담뱃대보다 매우 짧은 것은 단죽(短竹)이라 하며 천민이 사용했다. (그림 3).
(그림 3) 단원 김홍도 作 (左) 양반의 담뱃대 표현 <타작>, 《풍속도첩》, 종이 위에 엷은 색, 28.0x23.9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右) 평민의 담뱃대 표현 <장터길>, 《풍속도첩》, 종이 위에 엷은 색, 28.0x23.9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현시대는 비싼 연초나 전자담배 기기를 사용한다고 해서 그 사람이 풍요로운 삶을 산다고 여기지 않는다. 오히려 흡연자들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다. 보건복지부의 금연캠페인 슬로건 중 하나인 '나는 네가 노담이면 좋겠어'의 광고에는 어린 학생들이 등장한다.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 혹은 멋있어 보이고 싶기 때문에 시작한 청소년을 겨냥한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담배는 백해무익하다. 국가에서 다양한 정책을 수렴하여, 이제는 금연의 시대로 나아가야 할 때이다.
최정민/평론가
최정민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