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공론] 조선시대에는 '담배'에도 계급을 나누었다

  • 오피니언
  • 문예공론

[문예공론] 조선시대에는 '담배'에도 계급을 나누었다

최정민/평론가

  • 승인 2024-08-06 19:15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사회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흡연. 주거 공간 내 흡연, 길거리 흡연 등으로 비흡연자들은 흡연자를 법적으로 강력히 처벌하길 원한다. 흡연은 건강에도 좋지 않다는 것이 의학적으로 밝혀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금연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담배는 수세기 동안 사람들이 일상에서 즐겨온 기호품인 것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담배는 조선시대에도 존재했다. 『조선왕조실록』과 최초의 백과사전인 『오주연문장전산고』등의 기록에 의하면 담배는 16세기 말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일본에 의해 전래되었다. 담배가 처음 유입되었을 때는 기침이나 가래, 콧병에 좋다고 알려져 큰 인기를 끌게 된다. 당시 담배의 명칭으로는 남쪽에서 전래되어 온 신비스러운 풀이라하여 '남령초(南靈草)'라고 불리었다. 이 외에도 연기나는 풀, 즉 '연초(煙草)'로도 불리었는데, 이는 지금까지도 사용되는 용어이다.

담배는 그 중독성이 강했던 탓인지 급속도로 전파되었다. 17세기 초에는 담배를 본격적으로 재배하면서 농민들에게 경제적으로나 상업적으로 큰 도움을 주었다. 조선시대 담배 제조 과정은 그림으로도 남아있다. (그림 1). 넓은 담배 잎의 뼈다귀를 추려낸 다음 작두판에 눌러서 썰어내고 있는 광경이다. 담배는 국내 수요뿐만 아니라 청나라로 공급이 가능할 정도였다.

1
(그림 1) 단원 김홍도, <담배썰기>, 《풍속도첩》,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하멜표류기의 부록인 조선국기에 따르면 '아이들도 4, 5세만 되면 담배를 피우며 남녀노소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이 없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기산 김준근의 <풍속도>에서는 어린 여인이 담뱃대를 입에 물고 월천꾼(사람을 업어서 물을 건네주던 직업)에게 업혀 이동하는 모습이 담겨있다. (그림 2). 즉 담배는 신분을 막론하고 남녀노소 즐기는 조선시대 기호품이었던 셈이다.



2
(그림 2) 기산 김준근, <풍속도>,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담배를 즐겼던 조선의 왕이 있다. 바로 정조대왕이다. 정조(正祖, 재위 1776∼1800년)는 1796년 규장각 문신들에게 시험문제로 '담배의 이로움을 적으라'는 문제를 내기도 했다고 하니 그의 담배 사랑이 지극했음을 알 수 있다. 담배가 무분별하게 확산되자 담배 예절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18세기 말 『경도잡지』에 따르면 '비천한 자는 존귀한 사람 앞에서 담배를 피우지 못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즉 평민이나 천민은 양반 앞에서 담배를 피우면 안되었다. 더불어 어린아이들이 스스럼 없이 어른들과 함께 담배를 피우는 것은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게 되었다.

조선 시대는 신분제도에 얽매여 있던 시기였다. 따라서 담뱃대의 길이도 신분에 따른 제약이 존재하였다. 먼저 조선시대의 담뱃대는 담뱃잎을 넣고 불을 붙이는 곳인 태통과 연기를 빠는 부위인 물부리, 그리고 이둘을 연결하는 설대로 구성되어있다. 담뱃대는 전체길이로 그 명칭이 달라진다. 50∼60cm의 담뱃대는 장죽(長竹)이라 부르며, 설대가 길기 때문에 하인이 불을 붙여줘야 했다. 따라서 긴 담뱃대는 양반의 권위를 상징하는 것이었다. 설대가 없거나 짧은 것은 평민이 사용했으며 이를 곰방대(短竹)라고 부른다. 평민의 담뱃대보다 매우 짧은 것은 단죽(短竹)이라 하며 천민이 사용했다. (그림 3).

3
(그림 3) 단원 김홍도 作 (左) 양반의 담뱃대 표현 <타작>, 《풍속도첩》, 종이 위에 엷은 색, 28.0x23.9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右) 평민의 담뱃대 표현 <장터길>, 《풍속도첩》, 종이 위에 엷은 색, 28.0x23.9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화경독기』에 따르면 '전국에 걸쳐 다투어 사치하는 자들이 백통이나 오동(烏銅)으로 담뱃대를 만들뿐더러 금은으로 치장함으로써 쓸데없이 막대한 비용을 허비한다'라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의 담배는 신분에 상관없이 필 수 있었지만, 그 속에서도 자신의 신분을 표출하는 하나의 수단이자 사치품이었다.

현시대는 비싼 연초나 전자담배 기기를 사용한다고 해서 그 사람이 풍요로운 삶을 산다고 여기지 않는다. 오히려 흡연자들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다. 보건복지부의 금연캠페인 슬로건 중 하나인 '나는 네가 노담이면 좋겠어'의 광고에는 어린 학생들이 등장한다.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 혹은 멋있어 보이고 싶기 때문에 시작한 청소년을 겨냥한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담배는 백해무익하다. 국가에서 다양한 정책을 수렴하여, 이제는 금연의 시대로 나아가야 할 때이다.

최정민/평론가

4ac5c31814192690f10bdff4a6c06833f82bff74 (2)
최정민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국내 최초·최대 친환경 수산단지 만든다"… 충남도, 당진시 발전 약속
  2. 이 대통령, 세종시 '복숭아 농가' 방문...청년 농업 미래 조망
  3. 논란의 금속보호대 대전교도소 1년간 122회 사용… 기록누락 등 부실도
  4. "착하고 성실한 학생이었는데"…고 이재석 경사 대전대 동문·교수 추모 행렬
  5. 고교학점제 취지 역행…충청권 고교 사교육업체 상담 받기 위해 고액 지불
  1. 이철수 폴리텍 이사장, 대전캠퍼스서 ‘청춘 특강’… 학생 요청으로 성사
  2.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대전충청본부, 치매안심센터 찾아 봉사활동
  4. 서울대 10개 만들기·탑티어 교수 정년 예외…교육부 새 국정과제 본격 추진
  5. [대입+]] 2026 수시 충청권 의대 지원자 46% 감소… 역대 최저치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5년간 11조 투입해 서해안 수소벨트 구축

충남도 5년간 11조 투입해 서해안 수소벨트 구축

충남도가 석탄화력발전소 밀집 지역인 서해안 일원에 친환경 수소산업 벨트를 구축한다. 도는 수소 생산부터 저장, 활용까지 국내 최대 수소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해 글로벌 수소 허브로 탈바꿈시킨다는 목표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서산 베니키아호텔에서 열린 '제7회 수소에너지 국제포럼'에서 19개 기관·단체·대학·기업과 업무협약을 맺고, 서해안 수소산업 벨트 구축 본격 추진을 선언했다. 이날 포럼에는 김 지사와 제프 로빈슨 주한 호주 대사, 니쉬 칸트 씽 주한 인도 대리 대사, 예스퍼 쿠누센 주한 덴마크 에너지 참사관 등 500여 명이 참석..

불꽃야구, 한밭야구장에서 직관 경기 열린다
불꽃야구, 한밭야구장에서 직관 경기 열린다

리얼 야구 예능 '불꽃야구'가 대전 한밭야구장(대전 FIGHTERS PARK)에서 21일 오후 5시 직관 경기를 갖는다. 18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한밭야구장을 불꽃야구 촬영·경기 공간으로 활용하기로 한 협약 이후 시민에게 개방되는 첫 무대다. '불꽃야구'는 레전드 선수들이 꾸린 '불꽃 파이터즈'와 전국 최강 고교야구팀의 맞대결이라는 예능·스포츠 융합 콘텐츠로 주목받고 있다. 21일 경기는 수원 유신고와 경기를 갖는다. 유신고는 2025년 황금사자기 준우승, 봉황대기 4강에 오른 강호로, 현역 못지않은 전직 프로선수들과의..

추석 앞두고 대전 전통시장 찾은 충청권 경제단체장들 "지역경제 숨통 틔운다"
추석 앞두고 대전 전통시장 찾은 충청권 경제단체장들 "지역경제 숨통 틔운다"

충청권 경제 단체들이 추석을 앞두고 대전지역 전통시장을 찾았다. 내수 침체로 활력을 잃은 지역경제에 숨통을 틔우기 위한 캠페인을 위해서다. 특히 이번 캠페인에는 이상천 대전세종중소벤처기업청장이 취임 직후 첫 공식일정으로 민생현장을 찾아 눈길을 끌었다. 대전세종충남경제단체협의회(회장 정태희)는 지난 17일 오전 대전 서구 한민시장에서 '지역경제 활성화 캠페인'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이상천 중기청장을 비롯해 정태희 회장(대전상의 회장), 김석규 대전충남경영자총협회장, 송현옥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대전지회장, 김왕환 한국무역협회 대전세종충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준비 만전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준비 만전

  • 2025 적십자 희망나눔 바자회 2025 적십자 희망나눔 바자회

  • 방사능 유출 가정 화랑훈련 방사능 유출 가정 화랑훈련

  •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