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04강 물부충생(物腐蟲生)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04강 물부충생(物腐蟲生)

장상현/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4-11-05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 204강 물부충생(物腐蟲生) : 사물(事物)이 썩으면 벌레가 생긴다.

글 자 : 物(만물 물) 腐(썩을 부) 蟲(벌레 충) 生(날 생, 태어나다)

출 처 : 순자(荀子)의 권학문(勸學文). 소식(蘇軾 / 소동파)의 범증론(范增論)

비 유 : 불건전한 사회와 부패한 정치는 곧 범죄와 비리의 무대가 됨을 비유.



대한민국 국회(國會)는 지난 10월 7일부터 약 1개월간의 일정으로 국정감사(國政監査/이하 국감)를 실시했다.

예상한대로 국감(國監)장은 이전투구(泥田鬪狗/진흙탕의 개싸움)의 모습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국민들의 평안한 삶을 위한 점검(點檢), 평가(評價), 반성(反省)등 국감(國監) 본래의 취지와는 요원(遼遠)한 모습을 시종일관(始終一貫)연출하고 있었다.

필자는 애당초 그들의 목적이나 자질을 보아서 기대하지도 않았지만, 자당(自黨)의 정치적 목적 외에는 달리 이해하기 힘든 질의(質議), 고성, 욕설까지 난무하는 처절함까지 느껴져 씁쓸한 마음 달래기 어렵다

참으로 대한민국의 정치적 장래가 심히 걱정되는 장면을 TV를 통해 여과 없이 볼 수 있었는데, 오히려 그들에게서는 그런 모습을 자랑스러워하는 비열함까지 느낄 수 있었다. 이제는 완전히 부패되어 벌레가 생겨 더 구제할 방법을 찾을 수 없을 정도다.

우선 순자(荀子)의 권학문(勸學文)을 보자.

"모든 사물(事物)의 발단(發端)에는 반드시 그 기인(起因)이 있고, 사람에게 영예(榮譽)와 오욕(汚辱)이 오는 것은 반드시 그 사람의 덕망(德望)에 의한다. 고기가 썩으면 벌레가 생기고, 물고기가 마르면 좀이 생기며, 게을러서 자신을 돌보는 것을 잊어버리면 재앙(災殃)이 생기게 된다."

이는 군자가 처세에 신중해야 함과 권력자들의 부정부패를 경계하는 말이다.

천자국(天子國)인 주(周)나라가 천하통치(天下統治)의 역할을 못하면서 천하는 이른바 춘추전국(春秋戰國)의 혼란한 시대(BG770 ~ BC221)가 도래 되었다.

이 혼란을 종식시킨 진(秦)나라는 천하를 통일(統一)하고 최초로 황제(皇帝)라는 칭호를 사용한 진시황(秦始皇)이 역사(歷史)에 등장하게 된다. 그 진시황은 업적도 많지만 백성들을 고통 속으로 몰아넣고, 환관(宦官)의 부패(腐敗)한 정치파행(政治跛行)으로 결국은 창업(創業) 후 3대(三代)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당시 진(秦)나라가 망하기 전, 많은 고통 속에 삶을 살아온 백성들은 각처에서 우후죽순(雨後竹筍)처럼 봉기(蜂起)하였고, 결국에는 초(楚)나라 항우(項羽)와 한(漢)나라 유방(劉邦)이 최후의 패권(覇權)을 다투게 되었다.

이에 항우는 무용(武勇)이 대단하여 힘으로 유방을 몰아붙이면서 책사인 범증(范增)의 작전계획에 따라 거대한 세력으로 커져가는 반면, 유방은 무용으로는 항우를 능가할 수 없었으나 유능한 인재들을 수하에 두고 있었다. 이른바 장량(張良), 한신(韓信), 소하(蕭何), 진평(陳平)등의 보좌를 받으며 차근차근 그 실력을 쌓아가고 있었다.

이 때 항우의 책사인 범증은 유방의 세력이 날로 커지는 것을 보고 유방을 살해 할 기회를 잡았으나 항우의 지나친 자만심으로 인하여 다 잡은 기회를 놓치게 된다.

그 후 항우는 범증의 계책에 따라 유방을 한왕(漢王)에 봉하여 오지(奧地)인 한중(漢中) 땅으로 쫓아 버렸다. 한편 한중으로 들어간 유방은 명장 한신(韓信)을 얻고 다시 힘을 길러 항우의 관중(關中)을 급습하여 세를 확보한 후, 항우와 대치했다. 하지만 항우의 군대가 유방 군대의 보급로를 차단하자 유방의 군대는 식량이 떨어지고 말았다. 유방은 항우에게 강화를 요청했다. 범증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오히려 항우에게 권해 더욱 맹렬한 기세로 유방을 공격했다.

그러자 범증이 있는 한 강화가 성립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은 유방은 진평(陳平)의 계책에 따라 항우와 범증 사이를 이간(離間)시키는 데 성공한다. 소식(蘇軾/ 소동파)은 그의 저서 범증론에서 이를 두고 이렇게 노래했다.

"물건은 반드시 부패하니, 그 속에서 벌레가 생긴다(物必先腐也,而後蟲生之). 사람은 의심하기 시작하면 반드시 그 후에 상대를 모함한다(人必先疑也,而後讒入之)."

이에 항우의 어리석은 의심(疑心)이 범증을 버렸고, 결국 형세를 망치게 되었다.

여기서 나온 말이 바로 '물부충생(物腐蟲生)'이다. '모든 문제는 내부에서 비롯된다'는 뜻이기도 하다.

'물부충생(物腐蟲生)'이 중국에서 한때 크게 회자(膾炙)된 적이 있다.

최고 권력에 오른 시진핑(習近平)당시 공산당 총서기가 이 단어를 쓴 뒤부터다.

그는 고위 관리들이 참가한 집단학습에서 "물건은 썩으면 반드시 벌레가 생긴다"며 "부패가 드러나면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부패척결에 대한 결연한 의지를 표현한 것이다.

부패한 정치가 나라를 망하게 하는 지름길이라는 사실은 역사가 증명한다.

위정자(爲政者)들이 백성을 위할 때는 나라가 융성했고, 그들이 민생(民生)을 돌아보지 않고 권력투쟁에만 집중할 때 나라는 흔들리고 어지러워져 결국은 망했다.

見己之過 不見人之過 君子也(견기지과 불견인지과 군자야)

見人之過 不見己之過 小人也(견인지과 불견기지과 소인야)

자기의 허물만 보고 남의 허물을 보지 않는 이는 군자이고

남의 허물만 보고 자기의 허물을 보지 않는 이는 소인이다.

이제 곧 입동(立冬)을 시작으로 겨울을 맞이해야한다. 국민들의 여유로운 삶을 책임지는 정치권의 반성이 재삼 필요함을 느끼게 된다.

장상현/전 인문학 교수

장상현 교수님-수정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2.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3.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4.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5.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1.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2.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3.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4.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5.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헤드라인 뉴스


메가충청스퀘어 조성사업,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조성사업,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피해를 입은 수출기업에 연말까지 13조60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자금을 공급한다. 대전·세종·충남의 경우 대미 수출기업은 1317곳으로 지역 전체의 30.2%를 차지하는 만큼, 상당수 기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3일 관계부서 합동으로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美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미국과 관세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15% 수준으로 낮췄지만, 수출 하방 요인이 여전해 이번 지원대책을 마련했다.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 여력과 자금력이..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 9월 11일 개최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 9월 11일 개최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이 9월 11일 열린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은은 3일 오후 브리핑을 통해 “이재명 정부 출범 100일을 기념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해 7월 3일 취임 한 달 기자회견을 진행한 이후 70일 만에 열리는 두 번째 회견이다. 회견의 슬로건은 '회복을 위한 100일, 미래를 위한 성장'으로, 90분간 민생·경제와 정치·외교안보, 사회·문화 등 세 분야로 진행하며, 150여 명의 내외신 기자가 참석할 예정이다. 이 수석은 "이 대통령은 이번 회견에서 미래 성장을 위한 정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