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남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 전경. |
2일 석유화학 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충남 서산시를 오는 2027년 8월 27일까지 2년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 앞서 충남도와 서산시는 석유화학산업의 불황으로 인해 지역경제가 생존 위기에 직면했다고 판단하고, 정부에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요청했다.
지자체들은 이번 선정으로 지역 경제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NCC 업계는 큰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반응이다.
긴급경영안정자금 등이 중견·중소기업 위주로 집중됐고, 대기업들엔 지방투자촉진보조금 확대가 사실상 유일한 지원책이기 때문이다. 이마저도 글로벌 공급과잉에 따른 정부의 산업구조개혁이라는 큰 소용돌이 속에서 투자를 감행하는 기업이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A 대기업 관계자는 "이번 지정이 대산산단 인근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는 도움이 될 수 있어도, 글로벌 공급과잉이라는 NCC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엔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수년 전부터 범용제품 생산설비를 줄여왔지만, NCC에서만 수천억 원씩 적자가 발생하는 구조"라며 "업계 대부분이 다운스트림(최종제품단계)에서 얻은 수익으로 업스트림(생산초기단계)에서의 손해를 메우고 있지만 적자가 계속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정작 업계에서는 이번 지정보다 충남도의 '국가산단 지정' 추진에 더 큰 관심을 보였다. 도에서 고부가가치 산업 전환을 위해 현재 민간산단인 대산산단을 국가산단으로 지정 추진 의지를 밝혔기 때문이다.
B사 관계자는 "대산산단은 여수·울산과 함께 국내 3대 석유화학단지이지만, 유일하게 민간산단이다 보니 다양한 어려움이 있다"면서 "산업용수 공급망, 산업용전기 배전선로, 산단 진입도로 등 인프라 구축에 행·재정적인 부담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때문에 지역에서 수십 년째 숙원사업으로 요청해 왔는데, 이번 도에서 추진하겠다고 밝힌 만큼 기대감이 크다"면서도 "다만, 단기간 내 지정되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예측했다.
서산시는 이번 산업위기 지역 지정이 대기업들에게는 실질적인 혜택이 부족하다는 점에 공감하고 있었다.
시 관계자는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은 특별법상 당초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이 집중돼 있다"면서도 "시는 충남도와 함께 대기업에도 혜택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 NCC 구조개편안의 핵심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인 만큼, 지역 대기업들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향후 산업부에서 추진하게 될 R&D 공모사업에 선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