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원시청 전경<제공=창원시> |
지난 행정사무감사에서 창원시의 개인정보 보호 절차가 도마에 올랐다.
개인정보가 포함된 하드디스크가 서울의 포렌식 전문업체로 택배를 통해 전달된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보안 관리 미흡과 개인정보 보호 소홀 문제가 제기됐다.
개인정보는 보호가 필요한 민감한 데이터로 철저한 관리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창원시는 감사 과정에서 이러한 기본 원칙을 준수하지 않았다.
하드디스크를 택배로 보내는 방식은 보안상의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배송 과정에서의 분실, 도난, 유출 가능성은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우려를 낳는다.
행정사무감사에서는 이러한 부주의가 창원시 행정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담당 공무원은 하드디스크를 택배로 보낸 사실을 인정하며 해명했다.
그는 "업무 미숙으로 절차를 꼼꼼히 챙기지 못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같은 설명은 개인정보 보호 중요성을 간과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법 준수를 위한 교육과 내부 관리 감독 체계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 절차는 법적 의무인 동시에 시민 신뢰의 기반이다.
창원시는 이번 사례를 계기로 보안 관리 강화를 위한 구체적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민감 데이터 운송 시 암호화와 직접 전달 등 안전한 방식이 필요하다.
시민과 행정 간 신뢰 회복을 위해 투명하고 철저한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
창원시는 보안 체계 개선을 통해 개인정보 보호 수준을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