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국순 사진작가 '우물, 정(井)’ 사진전 개최

  • 전국
  • 광주/호남

최국순 사진작가 '우물, 정(井)’ 사진전 개최

  • 승인 2025-02-17 11:53
  • 수정 2025-02-17 13:38
  • 신문게재 2025-02-18 5면
  • 전경열 기자전경열 기자
2025021701001211000048511
최국순 사진작가 사진전 리플렛./최국순 작가 제공
최국순 사진작가가 오는 18일부터 23일까지 전주시 서학동 사진관 갤러리에서 '우물, 정(井)'란 주제로 사라져가는 우물의 흔적을 되살리기 위한 사진전을 개최한다.

17일 고창군에 따르면 사진작가 최국순은 우리나라의 전통 우물 문화를 기록하며, 단순한 생활시설을 넘어 역사적, 문화적 의미를 조명하고 지켜 사라져가는 우물을 미래에 사진으로도 기록을 남겨 후손들이 한눈에 볼 수가 있도록 사진으로 남기고 있는 작가다.

_V7A1275 (1)
사진전 출품 작품./최국순 작가 제공
이번 사진전 주제는 전통과 변화이다. 우물이 품은 시간과 이야기가 사진 속에서 다시 피어난다.

공동체의 심장이었던 우물, 지금은 어디에 있을까? 과거 마을의 중심이었던 우물이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 한때 생명의 근원이자 공동체의 상징이었던 이 공간은 이제 우리의 기억 속에서도 희미해지고 있다. 그러나 사라지는 것이 반드시 잊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_V7A7816 (1)
사진전 출품 작품,/최국순 작가 제공
이러한 우리나라 우물의 가치변화와 문화양식 생로병사를 담아내고자 설화, 신화 그리고 더러 할머니가 들려주시던 재미있던 에피소드까지.



우물 청소하는 날의 떠들썩한 잔치 분위기와, 정월 대보름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던 숙연함과, 긴 긴 겨울밤 할머니께서 들려주던 우물가 이야기를 기억 속에서 소환해 본다.

_X6B8077 (1)
사진전 출품 작품./최국순 사진작가 제공
전통 사회에서 우물은 마을 사람들의 일상과 깊이 연결된 공간이라 우물가에서 길러지는 물로 하루를 시작했고, 마을의 공동 공간으로 활용되었으며, 정월 대보름이나 기우제 등 의례가 치러지는 장소로 신성시되었다.

그러나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우물은 점차 그 자리를 잃어 갔고 상수도가 보급되며 생활의 중심에서 밀려났고, 많은 우물들이 무분별한 개발로 흙으로 메워졌다.
_V7A8330 (1)
사진전 출품 작품./최국순 사진작가 제공
이번 전시에서는 전통 마을의 우물부터 도시 개발로 인해 방치되거나 사라진 우물까지, 한국 우물이 겪어온 변화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최국순 작가는 "전국을 돌며 각지의 우물을 촬영했다. 그 안에 담긴 시간의 흐름을 포착해 오래된 우물의 이끼 낀 돌담, 그 위로 흐르는 빛, 여전히 그 곁을 지키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들이 사진 속에 하나씩 그려진 부분들을 지켜보려고 지킴이 역할을 하고자 한다"며 "아쉽게도 무분별한 개발과 현대화 속에서 우리 전통문화도 같은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 고유의 전통과 풍속이 남아 있는 흔적을 찾고, 이러한 것들이 새로운 창의적 씨앗이 되었으면 한다. 고유문화를 향유하고 새로운 문화가 깃들어 가기를 또한 바란다"고 말했다.

최국순 작가는 순천대 대학원 사진 예술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한국 사진작가협회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고창=전경열 기자 jgy36712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KTX 세종역 카드 폐기...CTX 2개 노선 현실화하나
  2. 꿈돌이 라면, 막걸리 이어 ‘꿈돌이 호두과자’ 출시
  3. 여섯권 수첩에 담긴 자필 일기 223편… '김대중 망명일기' 발간되다
  4. 희망의책 대전본부, 제18회 우리 대전 같은 책 읽기 올해의 책 선정
  5. 대전 6개 교사·공무원노조 "정치기본권 더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
  1. 충남 수해지역 도움 손길 이어져
  2. 가장 더운 대서…펄펄 끓는 도로
  3. 35도 폭염에 오전부터 대전·충남 온열질환자 속출
  4. 충남대 '대외협력추진위원회' 위원 41명 위촉… 지역사회 연계 강화
  5. 안철수, "보 철거보단 지류 정비하는 쪽으로"… 이재명 4대강 재자연화 재검토 필요

헤드라인 뉴스


행복청, `행정수도청` 격상? 행정수도특별법 통과에 달렸다

행복청, '행정수도청' 격상? 행정수도특별법 통과에 달렸다

2006년 개청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하 행복청)이 20년 만인 2026년 '행정수도청'으로 격상된 조직으로 탈바꿈할지 주목된다. 행복청은 2030년 세종시 국책사업 완성을 목표로 나아가고 있으나 수년째 2000억 원 안팎 예산으로 축소된 조직을 운영해왔다. 행정수도청이란 새 이름 부여는 5월 1일 조국혁신당, 6월 24일 더불어민주당이 발의한 '행정수도특별법'의 연내 통과 여부에 달려 있다. 2003년 12월 신행정수도건설특별조치법 이후 22년 만인 올해 12월 국회 문턱을 다시 넘는다면, 명실상부한 행정수도 완성에 한걸음 더..

장동혁 “12·3 비상계엄 민주·국힘 모두 책임”… 대표 출마선언
장동혁 “12·3 비상계엄 민주·국힘 모두 책임”… 대표 출마선언

국민의힘 장동혁 국회의원(충남 보령·서천)은 23일 12·3 비상계엄 유발의 책임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에게 있다는 점을 내세우며 당 대표 출마를 선언했다. 인재 양성 시스템 구축과 지지 기반이 취약한 지역 인사 중용 등의 공약도 제시하며 소위 ‘영남 자민련 탈피’도 강조했다. 장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박물관에서 출마 기자회견을 열고 “계엄은 수단이 잘못되기는 했지만, 윤석열 정권을 끌어내리기 위해 끊임없이 의회 폭거를 저지른 민주당에 커다란 책임이 있고 그에 맞서 제대로 싸우지 못하고 내부총질만 일삼았던 국민의힘에게도 나머..

행복청, `대통령실·국회`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대응
행복청, '대통령실·국회'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대응

행복청이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의사당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을 전제로 한 실행 로드맵을 추진한다. 행정수도 추진을 공약으로 내건 대통령실과 이미 국회법에 따라 관련 절차를 실행 중인 국회 사무처 협의를 전제로 한다. 다만 이 과정에서 대통령 세종 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 완공 시기는 각각 2029년, 2033년으로 지연될 전망이다. 문재인·윤석열 전 정부 당시에는 각각 2027년 완공으로 제시된 바 있다. 강주엽 행복청장은 23일 기자 간담회를 통해 "대통령 집무실의 경우, 처음엔 부분 이전으로 검토를 했던 적도 있다. 지금은 완전 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자연을 느끼며 책을 읽을 수 있는 ‘숲속의 문고’ 개장 자연을 느끼며 책을 읽을 수 있는 ‘숲속의 문고’ 개장

  • 온열질환자 발생 대비 구급 물품 점검 온열질환자 발생 대비 구급 물품 점검

  • 가장 더운 대서…펄펄 끓는 도로 가장 더운 대서…펄펄 끓는 도로

  • 꿈돌이 라면, 막걸리 이어 ‘꿈돌이 호두과자’ 출시 꿈돌이 라면, 막걸리 이어 ‘꿈돌이 호두과자’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