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레디움 현대미술 특별전시 '디토와 비토'…3월 15일부터

  • 문화
  • 공연/전시

헤레디움 현대미술 특별전시 '디토와 비토'…3월 15일부터

3월 15일부터 5개월간 '디토와 비토' 전시 개최
무라카미 다카시 등 19명 작가, 27점 작품 전시
정치·경제·인권·문화 등 현시대 다양한 논제 표현

  • 승인 2025-02-27 16:55
  • 신문게재 2025-02-28 9면
  • 최화진 기자최화진 기자
기사 사진
앤디워홀, Electric Chairs, 1971./사진=CNCITY에너지 제공
100년의 역사를 품은 대전 인동의 복합문화예술공간 헤레디움(HEREDIUM)이 오는 3월 15일부터 현대미술 특별전 '디토와 비토(Dito and Veto)'를 연다.

이번 전시는 2024년 상반기에 열린 '헤레디움 시리즈: 지금, 여기, 현대미술'에 이은 두 번째 헤레디움 시리즈로, 3월 15일부터 8월 17일까지 5개월간 개최된다.

이번 전시에는 총 19명의 작가가 참여하여 27점의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무라카미 다카시(Murakami Takashi), 앤디 워홀(Andy Warhol), 장-미셸 오토니엘(Jean-Michel Othoniel), 줄리안 오피(Julian Opie) 등 세계적인 현대 미술가들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회화와 조각, 설치 등 다양한 형태의 현대 예술 작품으로 구성되며, 시의성 있는 문제들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적 딜레마와 맞닿은 주제들을 조명한다. 이를 통해 작가들의 시각으로 다양한 쟁점을 탐구하며, 하나의 정답이 아닌 새로운 대화를 불러오길 기대한다는 취지다.

전시의 제목인 '디토와 비토(Ditto and Veto)'는 '같다'는 의미를 가진 'Ditto(디토)'와 '금지한다'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된 'Veto(비토)'가 합쳐진 표현으로, 서로 대립하는 것처럼 보이는 단어들의 조합이다. 제목처럼 현대 사회에 존재하는 찬성과 반대의 대립 구조 속에서 작가들이 전달하는 메시지를 통해 사회적 갈등의 본질을 탐구하고, 이분법적 구분을 넘어 보다 복합적인 시선을 제시하는 것이 이번 전시의 목적이다.



전시는 다섯 개의 주제로 구성된다. '현대 사회와 인간 소외', '역사와 정체성의 교차점', '사회정치적 쟁점에 대한 직접적 발언', '개인의 경험과 사회적 편견', 그리고 '서브컬처와 대중문화'로 나뉘어 있다. 각각의 주제가 던지는 질문은 현시대 어디에서나 논란의 중심에 떠오르며, 그 안에 속한 작품들은 여러 가치가 공존하는 공간을 창조한다. 이번 전시를 통해 헤레디움은 정치, 경제, 인권, 문화 등 다양한 논제를 예술적으로 표현한 작품을 통해 대화와 성찰의 장을 마련할 전망이다.

주요 작품으로는, 먼저 첫 번째 주제를 관통하며 개인의 존재 의미를 떠올리게 하는 데미안 허스트(Damien Hirst)와 백남준, 줄리안 오피(Julian Opie)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이어 게오르그 바젤리츠(Georg Baselitz)의 작품으로 역사적 사건과 개인의 서사가 교차하는 지점을 다룬다. 사회적 이슈에 대한 강렬한 메시지를 엿볼 수 있는 작품으로는 앤디 워홀(Andy Warhol)의 <전기의자>를 선보인다. 해당 작품은 전시 주제에 맞게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들여다보게 한다. 또한 장-미셸 오토니엘(Jean-Michel Othoniel)의 <황금 연꽃>은 차별과 소외 속에서 치유와 공감을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나라 요시토모(Nara Yoshitomo), 무라카미 다카시(Murakami Takashi)와 미스터(Mr.)의 작품을 통해 예술과 소비문화의 경계를 이야기한다.

전시 장소인 헤레디움(HEREDIUM)은 라틴어로 '유산으로 물려받은 토지'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식민지 수탈의 아픈 역사를 간직한 근대 문화유산이기도 하다. 1922년에 지어진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건물에서 2022년, 예술의 지평을 넓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재탄생했다. 회복의 역사가 잘 보존된 건축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으며, 대전에서 현대 미술을 만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지역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본 전시에 대한 상세 정보는 헤레디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티켓은 헤레디움 공식 홈페이지 및 공식 예매처를 통해 구매할 수 있으며, 성인 1만 5천 원, 청소년 1만 2천 원, 어린이 9천 원에 만나볼 수 있다. 오디오 도슨트는 헤레디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무료로 제공한다. 관람 시간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까지이며, 매주 월요일과 화요일은 휴무일이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에서 날아오른 한화 이글스…19년 만에 한국시리즈 진출 성공
  2. 7-1로 PO 주도권 챙긴 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진출 성공할까
  3. 충남도-나라현, 교류·협력 강화한다… 공동선언
  4. 배움의 즐거움, 꽃길 위에서 피어나다
  5. '내 생의 최고의 선물, 특별한 하루'
  1. ‘제10회 미디어교육 국제 컨퍼런스’성황리 개최
  2. 노시환-채은성 적시타! 7-1 한화의 승리가 확실해지는 순간! 아파트 떼창까지
  3. 대전사랑메세나, 대신증권 박귀현 이사와 함께한 '주식 기초 세미나' 및 기부 나눔
  4. (사)금강문화예술협회 제16회 효문화실천 위안잔치 및 물품전달봉사
  5. 유성장복, 잠실 ‘월드웹툰페스티벌’ 통한 1:1 잡매칭 모색

헤드라인 뉴스


한화, 26년만의 우승 도전… 한국시리즈 원정경기 응원전

한화, 26년만의 우승 도전… 한국시리즈 원정경기 응원전

대전시는 한화이글스의 한국시리즈 진출을 축하하고 시민과 함께 승리를 기원하기 위해 26일 1차전을 시작으로 원정경기마다 대전한화생명볼파크에서 '한화이글스 승리기원 응원전'을 개최한다. 25일 시에 따르면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대규모 응원 축제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경기장 내 대형 전광판을 통해 한국시리즈 경기를 생중계하며, 시민들은 선착순 무료입장으로 한화이글스의 선전을 함께 응원할 수 있다. 대전시는 이번 응원전을 통해 한화이글스를 중심으로 지역의 정체성과 시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경기장 인근 상권 활성화 등 지역경제에도 활력..

지역 유일 향토백화점 세이백화점 탄방점 계룡건설이 매입
지역 유일 향토백화점 세이백화점 탄방점 계룡건설이 매입

지역 유일 향토 백화점인 세이백화점 탄방점을 계룡건설이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계룡건설은 세이백화점 탄방점을 지난 8월 낙찰했다. 금액은 401억 원으로 2024년 5월 공매가 진행된 이후 1년 3개월 만에 낙찰을 받았다. 세이백화점 탄방점은 33회 유찰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으며, 매각가도 올해 7월 공매 최저입찰가(1278억 원)와 비교해 877억 원 줄었다. 세이백화점은 2022년 5월 대형 백화점과의 경쟁과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매출 감소를 이기지 못하고 자산관리회사인 투게더투자운용과 매각을 위한 본..

충청권 메가시티 성과 수면 위...남겨진 현실 과제는
충청권 메가시티 성과 수면 위...남겨진 현실 과제는

충청권 4개 시·도가 행정수도를 토대로 선도적인 메가시티 구축에 나서고 있으나 현실적 과제에도 직면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의회 유인호 의원(보람동,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24일 제101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지난해 출범한 충청광역연합은 세종, 대전, 충남, 충북이 행정 경계를 넘어 하나의 생활, 경제, 문화권으로 성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국 최초의 특별지방자치단체"라며 "출범 1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이미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평가했다. 핵심 성과는 ▲'충청권 광역투어패스' 출시(7월)를 통한 통합 관광권 조성..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