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천.유등천, 시민의 힘으로 생태 하천으로 가꾸자."

  • 사람들
  • 뉴스

"갑천.유등천, 시민의 힘으로 생태 하천으로 가꾸자."

갑천.유등천 가꾸기 운동 본부
3월22일 세계 물의 날 맞아 성명서 발표

  • 승인 2025-03-23 09:15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temp_1742685267741.1612772274


"갑천·유등천, 시민의 힘으로 생태 하천으로 가꾸자."

갑천·유등천 가꾸기 운동 본부(명예회장 이택구. 상임대표 송석찬·오노균·남희수, 집행위원장 박종선·김종완)는 3월 22일 세계 물의 날을 맞아 성명서를 발표했다.

갑천·유등천 가꾸기 운동 본부는 "'세계 물의 날'은 인구와 경제활동의 증가로 인해 수질이 오염되고 먹는 물 부족과 점차 심각해지는 수질 오염 등을 방지하고, 물의 소중함을 되새기기 위해 UN이 정한 정한 날"이라며 "앞으로 물 기근, 물 부족에 대비해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책임 있는 정책을 수립하고, 시민들은 스스로 강과 천을 가꾸고 보호해 자연 생태계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물 아껴 쓰기 운동에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갑천·유등천 가꾸기 운동 본부는 또 “기후변화로 인한 극심한 폭염과 가뭄, 집중호우 등으로 발생한 기후 위기 시대에 물관리는 인류의 생존 전략"이라며 "조상이 물려준 자연유산의 혜택을 이제부터는 자연으로 돌려주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갑천· 유등천에서 시작한 생태 하천 가꾸기 운동에 1백만 전국 파크 골프 동호인들이 한마음으로 참여해 '전국 산· 강·천 가꾸기 운동'으로 승화시켜 나가자”고 결의했다.

한편 갑천·유등천 가꾸기 운동 본부는 새마을운동가인 오노균 대전 중구 파크골프 협회장(전 충청대 교수) 의 제안으로 대전 갑천과 유등천을 깨끗하게 보존하고 자연생태계를 회복하기 위해 지난 17일 유등천에서 민·관·협·언론과 시민 325명이 참여해 발대식을 갖고 비정부기구로 출범한 환경 단체이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청권에 최대 200㎜ 물폭탄에 비 피해신고만 200여 건 (종합)
  2. 대전시장과 국회의원 만남... 현안 해결 한뜻 모을까
  3.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교실 복도 곳곳 균열… 현장 본 전문가 의견은
  4. 폭우 피해는 가까스로 피했지만… 배수펌프·모래주머니 시민들 총동원
  5. 대전 대표 이스포츠 3개 팀 창단
  1. [월요논단] 충청권 메가시티를 위한 합리적 교통망에 대한 고찰
  2. 조원휘, "충청권 광역철도망 확충은 국가균형발전과 직결"
  3.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이전 기념식 가져
  4. 대전 동구, '중앙시장 버스전용주차장' 운영
  5. 충청 여야,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강대강 대립… 협력 없이 네 탓만?

헤드라인 뉴스


대전가원학교 곳곳 균열… 현장 본 전문가 “지반조사 필요”

대전가원학교 곳곳 균열… 현장 본 전문가 “지반조사 필요”

"여긴 좀 심각하네요. 교실마다 성한 곳이 없어요." 건물 흔들림 현상으로 불안에 휩싸인 대전가원학교 복도와 교실 곳곳엔 균열이 있었다. 6월 20일 오전 학교를 둘러본 장종태 국회의원과 김민숙 대전시의원,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관계자들은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탄식했다. 복도 벽엔 언제 생긴 것인지 알 수 없는 금이 사방으로 나 있고 천장엔 물이 샌 자국이 보였다. 교실 모서리 시멘트가 갈라지고 떨어져 나가기도 했다. 증축을 앞둔 특수학교에서 원인 불명의 진동이 감지된 가운데 오래전부터 건물 내 상당 부분에서 발생한 균열과 맞물려..

`해수부 이전` 논란...남 탓 공방전 뜨거운 여·야 정치권
'해수부 이전' 논란...남 탓 공방전 뜨거운 여·야 정치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행정수도'의 미래를 놓고 의미 없는 '남 탓·네 탓' 공방을 벌이고 있다. 해양수산부의 부산시 이전을 놓고서다. 국힘은 과거 박근혜 전 정부 당시 이 카드를 먼저 꺼냈으나 성사시키지 못한 바 있고, 민주당은 이재명 정부 들어 다시 이 의제를 꺼내 들었다. 문제는 현재 논의가 단순히 해수부 이전에만 매몰되면서, 국가균형발전과 행정수도 대의에 다가서지 못하는 데 있다. 한쪽에선 '지역 이기주의', 또 다른 쪽에선 '내년 지방선거용 전략'이란 프레임을 씌우며 본질을 훼손하고 있다. 민주당 세종시당이 6월 20일..

충청권 건설 일자리 급감… 건설투자 줄고 폐업 증가 여파
충청권 건설 일자리 급감… 건설투자 줄고 폐업 증가 여파

건설경기가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불경기를 맞으면서 건설 일자리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충청권에서는 건설 투자가 줄고 폐업이 늘어나면서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2일 건설근로자공제회가 발표한 '지역별 건설산업 및 건설근로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3월 내 1일 이상 근로 내역이 있는 건설근로자는 64만 711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보다 18.3% 줄어든 수치다. 충청권에서도 감소세가 꾸준했다. 대전의 경우 1만 6524명으로 1년 새 13.5% 줄었으며, 충남은 19.5% 줄어든 4만 5436명으로 집계됐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맛비에 잠긴 돌다리…‘물이 넘칠 때는 건너지 마세요’ 장맛비에 잠긴 돌다리…‘물이 넘칠 때는 건너지 마세요’

  • 코스피 3000 돌파…3년 6개월 만 코스피 3000 돌파…3년 6개월 만

  • `맹물` 짝퉁 화장품 유통시킨 일당 검거 '맹물' 짝퉁 화장품 유통시킨 일당 검거

  • 이른 장마 시작…차수막으로 대비 철저 이른 장마 시작…차수막으로 대비 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