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톡] 1등급 며느리들이 1등급으로 섬기는 시아버지

  • 오피니언
  • 여론광장

[문화 톡] 1등급 며느리들이 1등급으로 섬기는 시아버지

김용복/평론가

  • 승인 2025-04-07 14:02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달걀도 쇠고기와 돼지고기처럼 등급이 있다 한다.

2003년 1월부터 축산물등급판정소에 의해 달걀에도 품질과 중량에 따라 등급을 매기는 달걀 등급제가 시행되고 있는데 달걀 등급제는 한마디로 달걀에 품질을 표시하고 세척·코팅처리를 함으로써 위생적인 달걀의 생산·유통·소비를 유도하기 위한 제도라는 것이다.

이처럼 달걀에도 등급이 있는 것처럼 홀로된 시아버지를 섬기는 며느리들에게도 등급이 있는 것이다.

필자가 사는 갈마동에는 아침 6시 30분이면 갈마도서관에 모여 차 한잔 나누는 친구들이 있는데 나이 순서로 보면 나이가 제일 많은 필자를 위시하여 이현영, 조동율, 양완석, 정능호 전 서구 의원, 이관주가 바로 그들인 것이다.



우리들은 이른 새벽에 걷기 운동을 하며 정해진 시간에 이곳에 모여 세상돌아가는 이야기며, 자녀들이나 며느리 자랑과 또한 불만들을 말하고 있다.

주로 이런 자랑이나 불만들은 홀애비들이 하는데 우리 가운데 몇 년 전 아내를 갑자기 잃고 홀로 사는 친구가 있다. 이 친구는 거의 매일 자녀들 자랑을 많이 하는데 특히 세 며느리 자랑을 많이 한다.

같은 아파트 단지에 사는 큰며느리는 반찬이며 음식을 장만하여 자주 시아버지를 찾아와 냉장고를 채워주고 청소와 빨래까지도 깔끔히 해주고, 둘째 며느리는 세종에 살고 있는데 외롭게 사는 시아버지에게 주일마다 자녀들을 데리고 와 할아버지와 함께 놀게하다가 데리고 간다는 것이다. 물론 손에 살며시 쥐어 주는 용돈은 말할 수 없다 했다.

할아버지 생신날 찾아온 손녀와 손자
할아버지 생신날 찾아온 손녀와 손자.
그런데 서울 사는 막내 며느리는 자주 올 수가 없다. 아예 은행카드를 만들어 주며 친구분들과 술 한 잔 하실 때는 이 카드를 쓰시라고 했다는 것이다.

이로 볼 때 이들 세 명의 며느리들은 1등급 며느리들에 틀림없다. 그리고 내친구 이현영도 며느리들에게 1등급 시아버지 대접을 받고 있는 것이다.

듣고 있던 친구들이 대부분 부러워하며 자기네 장성한 손자 손녀들은 아예 전화도 안할 뿐더러 전화도 받지 않는다고 털어놨다. 그렇다고 아들이나 며느리 자랑도 하지 않고 불만도 털어놓지는 않았다. 비교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늙으면 말이 많아지고 섭섭함이 많아진다고 한다. 주변에 있는 많은 친구들의 경우를 보아도 젊었을 때는 입도 뻥긋하지 않던 사람이 나이가 들어서는 말이 대단히 많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섭섭함이 많기 때문이다.

필자에게는 위로 아들이 있고 아래로 딸이 셋이나 있다.

내 아들이 60이 넘었다. 그런데도 아침저녁 출퇴근할 때면 전화를 걸어와 홀로 사는 아버지의 안부를 묻는다. 목소리를 듣고 아버지의 건강상태를 체크 하는 것이다. 흔히 부모와 자식과의 관계를 천륜이라고 하는데, 옛날의 효는 심청이처럼 목숨을 바쳐가며 부모님을 공경하는 것을 효라 하였다. 따라서 자식은 자신을 낳아 길러 준 부모의 은혜에 감사하며 순수한 그 노고에 보답하고자 물질적?정신적으로 정성을 다해 봉양했던 것이다. 그래서 효자는 부모를 섬김에 있어 슬하에 있을 때는 공경을, 봉양함에 있어서는 즐거움을, 병이 났을 때는 근심을, 돌아가셨을 때는 슬픔을, 제사 지낼 때는 엄숙함을 다하여야 한다는 생전의 정성봉양과 사후의 제사봉양이 강조되었다.

그런데 현대적 효는 친구의 며느리들처럼 자주 찾아 뵙고, 전화도 걸어 안부를 묻기도 하며 용돈도 자주 드리고 은행 카드를 만들어 드리는 것이 부모님, 특히 홀로 사는 부모님을 위하는 1등급 효도가 되는 것이다.

b166d2c487db04a62534bbe965e4b760f2d795f1
둘째 아들 가족 모습
필자도 친구들과 이른 아침에 모여 커피를 나눌 때 출근하는 아들에게서 전화가 걸려오면 그렇게 마음이 뿌듯하고 곁에 있는 친구들에게 자랑스럽지 않을 수가 없다.

필자에게는 수양 아들 딸, 동생들도 수십 명이 넘는데 이들도 자주 전화를 걸어주고 용돈도 보내주어 활기를 북돋아 주고 있다. 그래서 필자는 아내가 없을지언정 언제나 활기차고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다.

자식들, 특히 성장한 손자 손녀들에게 전화를 받아보라. 온종일 행복한 마음으로 살게 되는 것이다.

이현영 친구의 며느리들처럼 전화하고, 자주 찾아뵈며 적은 돈이지만 용돈도 드리고 은행카드를 만들어주는 것이야말로 누구나 부러워할 현대적 효가 아니겠는가? 은행카드를 만들어 시아버지 손에 쥐워주는 며느리가 얼마나 되랴마는 그 친구의 좋아하는 모습을 보니 보는 내 자신도 행복한 마음을 갖게 되는 것이다.

"유붕이 자원방래하니 이 또한 반갑지 아니한가? (有朋 自遠方來 不亦樂乎 )"라고 했는데 이런 친구들을 매일 새벽마다 만나니 그 또한 반가운 것이다.

날이 밝아온다. 오늘 새벽엔 어느 친구가 또 어떤 일로 자식들 자랑을 할까? 기다려진다.

김용복/평론가

김용복
김용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4.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