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가 27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수도권·강원·제주 경선 및 최종 후보자 선출 대회'에서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27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마지막 순회경선 결과, 이 후보는 최종 89.77% 득표율을 기록하며 결선 투표 없이 과반 승리로 본선 직행이 확정됐다.
이 후보는 수도권과 충청권, 호남권 등 주요 지역에서 모두 90% 가량의 고른 지지를 받았다. 그의 압승은 본선에서 승리할 후보를 강력히 밀어준 정권교체 열망이 반영됐다는 해석이다.
경쟁 주자였던 김동연 후보는 6.87%, 김경수 후보는 3.36%에 그쳤다.
이 후보는 초반부터 대세론을 형성했고 이변 없이 경선을 마무리했다.
지역별 득표율은 충청권 88.15%, 영남권에서 90.81%, 호남권 88.96%, 수도권·강원·제주 91.54%를 기록하며 승리했다.
이 후보는 수락 연설에서 "민주당의 제21대 대한민국 대통령 후보라는 막중한 임무를 부여받았다"라며 "압도적인 지지로 저를 대통령 후보로 선출해 주신 것은 민주주의와 인권, 평화와 안전, 회복과 성장, 통합과 행복을 실현하라는 간절한 소망일 것"이라고 했다.
이어 "세계 최고 수준의 AI 산업강국, 국가발전 국가, 문화강국, 튼튼한 안보강국을 만들겠다"며 "모든 국민이 주인이 되는 '진짜 대한민국'을 위해 헌신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앞서 19일 충청권 경선 후보 합동연설회에서 충청권을 중심으로 한 국가 균형발전 구상을 밝힌 바 있다.
세종시로 국회와 대통령 집무실을 완전이전하고 대전을 세계적인 과학수도, 충남과 충북을 첨단 산업벨트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런 어젠다는 560만 충청권의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것으로 경선과정에서 지역민의 기대와 지지를 이끌어냈다.
이 후보가 경선과정에서 충청에 생채기를 낸 것도 없진 않다.
집권 때 대통령실을 일단 용산으로 간 뒤 다음엔 청와대에 들어가겠다고 했고 행정수도 완성과 관련해 '사회적 합의'를 전제로 달기도 했다.
영남권 경선에선 해수부를 부산을 이전하겠다고 해 논란을 불러오기도 했다.
충청은 전통적 캐스팅보터로 대선에서 승리하려면 반드시 이겨야 한다는 것이 정치권의 불문율이다.
때문에 앞으로 펼쳐질 본선레이스에서 이 후보가 충청권의 확실한 지지를 얻으려면 대통령실과 국회의 신속한 세종 이전 등 대표 현안에 대해 확실한 드라이브를 걸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앞서 이 후보는 지난 20대 대선에선 세종을 제외한 대전 충남 충북 등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패한 바 있다.
이 후보의 압승으로 대선 후보 선출을 민주당은 앞으로 본선 체제로 신속히 전환할 전망이다.
국민의힘은 27~28일 이틀 동안 당원 투표(50%)와 국민 여론조사(50%) 방식으로 2차 경선 투표를 진행하고 29일 결과를 발표한다. 과반 득표자가 나오면 당 대선 후보로 확정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1·2위 득표자 간 최종 경선이 진행된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