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국힘, 어린이날 ‘꿈·희망’ 응원

  • 전국
  • 수도권

경기도의회 국힘, 어린이날 ‘꿈·희망’ 응원

성명서 발표

  • 승인 2025-05-06 10:38
  • 김삼철 기자김삼철 기자
경기도의회 국민의힘 전경.
경기도의회 국민의힘 전경.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이 6일 어린이날을 맞아 '꿈과 희망'을 응원ksek고 밝혔다.

도의회 국힘은 성명서를 발표하며 "오월은 푸르구나! 우리들은 자란다!. 5월 5일은 '어린이날'이다. 최근 한국사회는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출산 장려에 앞서 먼저 해결해야 할 근본적인 과제가 있다. 바로 모든 아동이 공평하게 보호받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 즉, 아동 권리보장과 돌봄 격차 해소"라고 언급했다.

이어 "현재의 돌봄 체계는 지역, 소득, 가정환경에 따라 질과 접근성에서 큰 격차를 보인다. 특히 맞벌이 가정과 저소득층 아동들은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발달이 위협받고 있으며, 인프라 부족과 비용 문제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경기도 역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실효성 있는 해결책 마련과 신속한 정책 집행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아동은 보호받을 권리, 교육받을 권리, 놀이와 휴식을 누릴 권리를 가진 독립적인 주체이다. 국가와 사회는 이러한 권리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더욱 촘촘하고 체계적인 공공 돌봄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은 아동 돌봄 컨트롤 타워 설치와 민간 돌봄 지원 활성화를 위한 혁신적 돌봄 플랫폼 마련 등을 정책적으로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은 "103번째 어린이날을 진심으로 축하하며, 도의회 국민의힘은 모든 어린이가 행복한 환경 속에서 꿈과 희망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늘 응원하겠다"고 덧붙였다.


경기=김삼철 기자 news100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진 173㎜ 홍수주의보 해제…산사태 주의보 '계속'
  2. 아산시, 'KTL 바이오의료종합지원센터' 개소
  3. 한국여교수총연합회, 취약계층 지원 성금 전달
  4. 아산시 음봉어울림도서관, '함께 피운 꽃' 전시회 개최
  5.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5~6학년부 예선
  1.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2. [사설] 최교진 교육장관의 '교권 보호' 언급
  3.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4. [월요논단] 교통약자의 편리한 이동을 위한 공공교통
  5. [사설] K-스틸법으로 철강산업 살려내야 한다

헤드라인 뉴스


조선 조운선 `마도4호선` 첫 발굴 10년만에 선체인양

조선 조운선 '마도4호선' 첫 발굴 10년만에 선체인양

한양 광흥창으로 가다가 태안 앞바다에서 침몰한 조선의 조운선 마도4호선이 2015년 발견돼 10년간 유물을 꺼내는 과정을 마치고 오늘부터 선체를 수면 위로 인양한다. 조선시대 조세인 쌀과 콩을 무겁게 싣고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었던 나무배의 구조를 파악하고 누수를 막는 볏짚 뱃밥과 나무못이 사용된 첫 사례로써 비상한 관심을 받고 있다.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태안군 근흥면 마도 해변가에서 1㎞ 남짓 떨어진 마도 연안에서 9월 13일부터 마도4호선이라고 명명된 조선시대 조운선 인양을 시작했다. 많은 비가 내린 탓에 실제 인양은 15일부..

"대학생이 바라본 지역 현안은"… 정책과 보완점 논의
"대학생이 바라본 지역 현안은"… 정책과 보완점 논의

대전 유성구 정책 분석을 위해 지역 대학생들이 머리를 맞댔다. 14일 유성구에 따르면 12일 유성구청에서 데이터를 활용해 지역 현안을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데이터 기반 문제해결단'의 연구 보고회를 개최했다. 데이터 기반 문제해결단은 KAIST와 국립한밭대 학생 2개 팀으로 구성됐다. 앞서 6개월간 팀별 멘토 교수의 지도를 받아 데이터 분석과 정책 대안 제시 활동을 이어왔다. 보고회에서 KAIST '얼른타보슈' 팀은 축제·유동량·소비 등 데이터를 융합·분석해 축제가 지역 상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발표했다. 분석 결과, 과..

중처법·노란봉투법에 흔들리는 지역기업 탈출구는?
중처법·노란봉투법에 흔들리는 지역기업 탈출구는?

#1. 중대재해처벌법(이하 중처법)이 시행 3년차에 접어들었지만,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에 대한 경영책임자의 법적 의무 범위가 여전히 모호해 산업현장에서 혼란을 키우고 있다. 최근 금융위원회가 중대재해 발생 기업에 대해 대출 제한, 신용등급 하락 등 금융 제재를 가하겠다고 밝히면서 기업들의 불안감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2. 지난 8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 역시 대표적인 기업 규제 법안으로 꼽힌다. 사용자의 범위가 명확치 않은 데다, 경영상 의사결정이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쳐 쟁의행위 대상이 될 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5~6학년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5~6학년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