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의도 한국거래소.(사진=연합뉴스) |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24년 결산 재무제표를 반영해 유가증권시장(코스피)의 주요 투자 지표를 직전 거래일(2일) 종가 기준으로 산출한 결과, 코스피200 기업의 PBR은 0.8배로 집계됐다.
PBR은 현재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으로, PBR이 1배 미만이면 시가총액이 장부상 순자산가치에 못 미칠 정도로 저평가되고 있다는 의미를 갖는다.
눈여겨볼 건 코스피200 기업의 PBR은 선진국(23개국) 평균인 3.5배에 비해 현저히 낮고, 신흥국(24개국) 평균인 1.8배에도 한참 미치지 못한다. 비교 국가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의 시장 구분 기준으로 선정됐다.
국가별로 보면 선진국 중 미국의 PBR은 4.8배, 영국과 프랑스 1.9배, 일본 1.5배로 집계된다. 신흥국 중 인도의 PBR은 4.0배, 대만 2.6배, 브라질 1.7배, 태국과 중국은 각각 1.6배와 1.5배로 조사됐다.
코스피200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 대비 주가 수준을 보여주는 주가수익비율(PER)도 11.0배로, 선진국 전체 평균(21.3배)보다 크게 밑돌았다. 신흥국 평균(15.2배)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반면, 최근 조기 대선이 확정됨에 따라 정치 테마주의 변동성은 더욱 커지면서 우려를 키우고 있다.
한국거래소 통계를 보면, 지난달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의 투자 경고 종목 지정 건수는 총 56건으로 조사됐다. 월별 기준으로 역대 최다 수준이다. 충청지역에서는 계룡건설이 대통령실 세종 이전 공약의 영향으로 최근까지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고 있다. 7일 오후 3시 30분 장 마감 기준 계룡건설의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8.3% 오른 2만 7150원에 마감했다.
주가가 비정상적으로 급등하거나 투기 과열 양상을 보이면, 한국거래소는 시장경보제도를 실시해 거래를 제한한다. 투자 경고 종목의 경우 지정 이후 주가가 급등하면 거래가 정지될 수 있다.
주요 대선 후보가 주목받을 때마다 관련 정치 테마주도 들썩이는 상황으로, 선거일이 다가올수록 단일화 유무, 여야 후보의 지지율 변동에 따라 주가 변동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정치테마주는 합리적인 기업 실적에 대한 기대감에 기반해 가격이 움직이는 게 아니라 투기적 거래 수요들이 집중돼 움직인다"며 "대규모 투자 손실로 연결될 수 있어 투자자들은 각별히 신중히 판단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