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월 9일 대국민 개방 3주년을 맞이한 청와대. 사진은 관람 동선. 사진=청와대 누리집 갈무리. |
6월 3일 대선 국면에선 다시금 권력의 품으로 돌아가려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청와대 방문객 수가 부쩍 늘고 있다. 운영 주체인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청와대 재단은 이 같은 여건 변화와 관계 없이 일상적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중도일보는 '국민 vs 권력' 사이에서 기로에 선 청와대 개방 3주년을 재조명하고, 대통령실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필요성에 무게를 싣는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기획시리즈를 세 차례 나눠 다룬다. <편집자 주>
![]() |
청와대 국민 품으로란 캐치프레이즈는 지속될 것인가, '청와대 권력 품으로'로 전환될 것인가. 사진=이희택 기자. |
(상) '국민 vs 권력' 어느 품으로...기로에 선 청와대 개방 3주년
(중) 청와대 샅샅이 투어...'국민 품으로'는 거스를 수 없는 대의
(하) 대통령실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이상 아닌 현실적 선택지
![]() |
남쪽의 청와대란 이름을 가진 충북 청주의 '청남대'. 사진=청남대 누리집 갈무리. |
국민들은 유일하게 남은 청남대에서도 정치 권력의 독점을 허용하지 않았다. 개방 20년 만인 2003년 노무현 대통령에 의해 권력의 품을 떠나 '국민 품으로' 안겼다. 2025년 2월 기준 무려 1500만 명이 다녀간 지표만 봐도, 국민이 주인되는 시대임을 체감케 했다. 외국인 방문객도 눈에 띄게 늘고 있다.
따뜻한 남쪽 청와대의 뒤는 수도 서울의 북쪽 청와대가 이어가고 있다.
북쪽 청와대는 1939년 조선총독부, 1945년 광복 후 미군정 사령관의 관저로 사용되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에 인계됐고, 경무대란 명칭이 1961년 윤보선 대통령 시절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됐다. 이후 일제강점기 흔적을 일부 지우는 등 기능 보강을 거쳐 문재인 대통령까지 국가원수의 상징적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던 중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농단 파장은 청와대의 대국민 개방 필요성을 보다 확실하게 가져왔다. 문재인 정부 시절 광화문 이전이 무산된 이후, 윤석열 대통령이 2022년 용산 집무실 시대를 열면서 '국민 개방'이란 결실을 맺었다. 일제 강점기 기준으로 83년, 청와대 명칭 사용 이후론 61년, 남쪽 청와대 개방 시점으론 19년 만의 일이다.
이는 '정치 권력이 국민 위에 있을 수 없다'는 상징적 조처로 다가왔다. 거스를 수 없는 역사적 대의이기도 했다. 남쪽 청와대가 국가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해소 가치 실현의 신호탄이었다면, 북쪽 청와대 개방은 지방분권을 완성하기 위한 장으로 다가왔다. 2012년 세종시 출범과 12개 혁신도시 태동이 이를 뒷받침했다.
이 과정에서 633년간 굳어진 '수도 서울=관습 헌법' '세종시 수정안 논란' 등에 발목이 잡히기도 했지만, 큰 틀의 흐름은 꺾이지 않고 있다.
이제는 최종 목적지가 중요해졌다. 문재인 정부가 먼저 시도하고, 윤석열 정부가 실행에 옮겼으나 '서울'을 벗어나지 못한 한계를 드러냈다. 6.3 대선 국면에서도 '도로 청와대' 움직임이 일고 있다.
![]() |
청와대 관저를 둘러보고 있는 방문객들. 사진=이희택 기자. |
동선은 정문부터 청와대 본관, 경주 방향대좌 석조여래좌상(통일신라 후기), 오운정, 관저, 침류각(전통문화 행사), 상춘재(소규모 외빈 접견), 북악산 청와대 전망대, 녹지원(산책), 헬기장, 청와대 전망대 춘추관(기자회견), 여민관(비서실·국가안보실), 영빈관((외국 정상·귀빈 연회·리셉션) 순으로 짰다.
평일이었으나 '곧 권력에 품에 안길 수 있다'는 불안감에 많은 국민들과 외국인들이 이곳을 찾았다. 가는 곳마다 연신 눌러대는 셔터는 추억의 사진 저장을 넘어 권력이 독점해온 공간을 공유한다는 의미에서 남달랐다. 가는 곳마다 '청와대 국민 품으로'란 캐치프레이즈는 대한민국의 미래 나침반으로 각인됐다.
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 등 역대 대통령이 심은 나무들도 곳곳에 자리했다. 건축물을 빼놓고 얘기하면, 청와대는 하나의 국가 역사정원으로 다가왔다. 편히 쉴 수 있는 잔디밭부터 우거진 나무숲, 연못가, 트래킹 산책로, 등산로 등의 행복 누림은 정치 권력의 독점적 공간과는 거리가 멀었다. 춘추문에서 청와대 전망대로 이어지는 등산로도 잘 갖춰져 있었다.
오전 10시 30분 입장 시점부터 90분 간 샅샅이 투어에 나선 뒤의 소회는 이러했다. '도로 청와대 컴백은 수도권 초집중·과밀 병폐를 묵인하고 지방시대에 역행하며, 시대를 거스르는 역사적 퇴행'임을 확신케 했다. '청와대 국민 품으로'란 캐치프레이즈를 계속 볼 수 있길 소망한다. <계속>
![]() |
영빈관 전경. 사진=이희택 기자. |
![]() |
청와대 전망대로 가는 트래킹 코스. |
![]() |
상춘재 전경. 사진=이희택 기자. |
![]() |
춘추관 모습. |
![]() |
청와대 본관의 국무회의실. 사진=이희택 기자. |
![]() |
청와대 본관 전경. |
![]() |
경주 방향대좌 석조여래좌상을 만날 수 있는 트래킹 코스. 관저로 이어지는 길이다. |
![]() |
역대 대통령의 영부인 사진이 걸려있는 본관동 내부.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