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소기업중앙회는 12일 서울 여의도 KBIZ홀에서 '차기정부 중소기업 정책방향 대토론회'를 열고, 대한민국 성장엔진 재점화를 위해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구조로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기중앙회 제공 |
중소기업중앙회는 12일 서울 여의도 KBIZ홀에서 '대한민국 성장엔진 재점화'를 주제로 '차기정부 중소기업 정책방향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새 정부에서 꼭 추진해야 할 중소기업 핵심 정책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는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과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을 비롯한 전국 중소기업·소상공인 300여 명이 참석했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중소기업인 75.7%가 차기 대통령의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경제성장 견인'을 꼽았다"며 "지금 중소기업·소상공인뿐만 아니라 국민들도 정치 상황에 대한 불안감이 매우 큰 상황인데, 경제 문제만큼은 여야를 떠나 모두가 힘을 합쳐 지금의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중기중앙회가 발표한 중소기업·소상공인 604곳을 대상으로 한 의견조사에서 중소기업인 4명 중 1명이 차기 대통령의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경제성장 견인'을 꼽았다.
![]() |
중기중앙회 '차기 정부에 바라는 중소기업 정책 제언' 발표 자료. /중기중앙회 제공 |
'차기 정부에 바라는 중소기업 정책 제언' 발표에서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산업은 변화하고 있지만, 대기업 중심 성장정책의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지속가능한 일자리 마련과 제조업의 부흥, 양극화 해소를 통해 중소기업 중심 경제구조로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소기업이 우리나라 전체 기업의 99.9%, 근로자의 81.0%에 달하고 있지만, 영업이익은 대기업이 62.8%를, 중소기업은 37.2%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한 뒤 "대-중소기업간 수직적인 거래관계를 해소하기 위해 중소기업협동조합 협의 요청권을 도입해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수도권과 지방의 과도한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이를 위해 (가칭)특구지정 총괄제 도입 등을 위한 특별법 제정, 지방 노후산단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지원 강화, 지방소멸 대응 협업 모델로 중소기업협동조합 육성 등을 제시했다.
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