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해 10월 임시 활용안으로 조성된 잔디광장 모습. 맨발 걷기장과 쉼터, 어린이 모래 놀이터, 초화류 등이 있어 지역 주민의 호응을 얻어왔다. 사진=이희택 기자. |
2012년 세종시 출범과 함께 이 같은 용도로 지정됐으나 13년째 미래를 내다보기 힘든 상황이다.
그나마 새롬동 복합커뮤니티센터 옆 부지(7154㎡ )는 2024년 10월 맨발 걷기장과 잔디광장, 어린이 모래 놀이터, 정자, 초화류 등으로 꾸며져 방치 상태에서 벗어났다. 이에 반해 반곡동 조세재정연구원 뒤편 공공체육시설 부지(9552㎡)는 맨땅 그 자체로 남겨져 있다.
코로나19 이전부터 당초 계획에 맞는 활용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요구는 반복됐지만, 세종시는 수백억 원에 달하는 예산 부담에 난색을 표해왔다. 지난 정부 시기인 2021년 이의 활용을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했고, '자체 개발 vs 용도 변경 후 민간 매각'을 놓고 방향성을 정하지 못했다. 지역 정치권에선 일찌감치 원안 추진을 공약으로 내걸어 왔으나 이 같은 현실적 벽에 막혀 지키지 못했다.
새롬동은 임시 방편이나 활로를 찾았던 게 사실이다. 지난해부터 건강 트렌드로 자리잡은 맨발 걷기장부터 잔디광장, 모래 놀이터 등의 전반 시설 인프라가 호응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시는 지역 주민들부터 김현옥(새롬동) 시의원과 협의를 거쳐왔고, 당시 약 5억 원을 들여 이 같은 인프라를 마련했다.
하지만 2025년 관리 예산 약 3000만 원을 반영하는 과정에 이견이 발생했다. 세종시 재정난이 심화된 상황에서 특정 지역에 5억 원을 투입한 데 이어 또다시 관리비를 추가 반영하는 움직임이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 나왔다.
1500만 원 삭감안으로 소관 행정복지위원회를 거쳐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본회의 심의를 받았으나 결국 문턱을 넘지 못했고, 새롬동 주민들의 반발은 이때부터 표면화했다. 새롬동 잔디광장 사후관리 예산책정을 촉구하는 주민 30여 명(안주성 주민자치회장 포함)은 당장 14일 오전 10시 시의회 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 |
14일 시의회 청사 앞에서 잔디광장 예산의 정상화를 촉구하고 나선 새롬동 주민들. 사진=이희택 기자. |
핵심 쟁점은 ▲다른 읍면동과 형평성 문제 : '5억 원' 예산이 소관 상임위인 행복위 심의 없이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바로 제출·통과(전제 조건 : 유지관리비는 읍면동 해결 조건) ▲행정의 신뢰성 회복 우선 : 12년 방치 대신 적극 행정에 해당하는 임시 활용안의 타당성, 시민과 약속 간 충돌로 다가온다.
일각에선 이를 두고 '새롬동(김현옥) vs 소담동(김현미) 지역구 시의원', '행정복지위원장(김현미) vs 예산결산특별위원장(김현옥)' 간 대리 갈등으로 보기도 했다.
현재 물밑에선 시 집행부와 양 시의원 사이에서 타협안이 모색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올해 당장의 관리비는 새롬동 예비비(긴급성) 중 일부(1500만 원)를 집행하는 방향을 찾고 있다.
시 관계자는 "올해 공공체육시설 부지에 대한 중장기 계획을 다시 수립하고 있다. 시의회와 원활한 협의를 통해 대안을 찾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 |
새롬동과 유사한 상황에 놓에 있는 반곡동 공공체육시설 부지 전경. 이 곳은 나대지로 방치돼 있다. 사진=이희택 기자.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