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곽명환 충주시의원 자유발언 모습. |
더불어민주당 곽명환(목행용탄·칠금금릉) 시의원은 20일 제294회 임시회 1차 본회의 자유발언을 통해 현재 야적 방식으로 운영되는 클린센터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타 지자체 선진사례를 바탕으로 한 개선안을 제시했다.
곽 의원에 따르면 칠금동 클린센터는 소파, 침대, 가구 등 대형폐기물을 처리하는 비소각형 시설로, 현재 폐기물을 실내로 들이지 못한 채 야적 및 선별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주변 지역 주민들이 분진과 소음 등의 불편을 겪고 있으며, 2022년 2월에는 야적된 폐기물 더미에서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가 발생해 약 1000t의 대형폐기물이 소실되는 사고도 있었다.
곽 의원은 해결방안으로 수원시 영통구 자원순환센터와 하남시 유니온파크 사례를 제시했다.
수원시 자원순환센터는 완전 밀폐된 실내 시설로 운영돼 주변 분진이나 소음, 악취 피해를 최소화했으며, 반입 폐기물 대비 재활용품 반출 비율도 2014년 30%에서 2019년 46% 이상으로 향상됐다.
또 하남시 유니온파크는 폐기물 처리시설을 지하화하고 지상에는 전망타워, 잔디광장, 물놀이장, 체육시설 등을 조성해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곽 의원은 "기피시설을 완전 차폐형 구조로 전환하고, 지상부를 지역 명소로 꾸며 주민 불편을 해소함으로써 오히려 혜택을 돌려주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바탕으로 곽 의원이 제안한 클린센터 개선 방안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 클린센터의 완전 밀폐화와 현대화를 통해 모든 선별·보관 작업을 실내에서 진행하고 최신 분진·소음 차단 설비와 컨베이어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
둘째, 처리시설을 실내로 들인 후 부지의 지상 공간을 재조정해 처리동 건물 옥상 녹지화나 주민 편익시설 설치를 추진하는 것.
셋째, 시설 현대화 계획 수립 단계부터 주민 의견을 청취하고 투명한 운영을 통해 신뢰를 회복하는 것 등이다.
곽 의원은 "칠금동 클린센터의 문제는 단순히 한 지역구의 민원 사안이 아니라, 충주시의 환경행정과 주민 신뢰 전반에 관한 문제"라며 "2024년 10월부터 2025년 3월까지 타당성 조사 용역이 진행돼 종합적인 대책 마련의 기회"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시의회의 관심과 집행부의 의지를 통해 예산 확보와 행정적 지원이 이뤄진다면 머지않아 충주 클린센터가 깨끗하고 안전한 자원순환시설로 탈바꿈해 주민들의 신뢰와 사랑을 받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