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8일 대전교육청 내 붙어 있는 청렴 캠페인 포스터. 임효인 기자 |
28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5월 하순께 경찰로부터 송치된 사건에 교육청 현직 공무원이 포함돼 있다는 내용을 통보받았다.
해당 사건은 전 서구 비서실장의 입찰 비리와 뇌물수수 의혹 등을 조사한 것으로, 이 과정서 서구 공무원을 비롯해 대전교육청 공무원의 범죄 혐의가 포착됐다.
현직 공무원의 뇌물 수수 의혹에 대해 대전교육청 감사부서는 그동안 아무런 조짐이나 언질이 없었다는 설명이다. 경찰 수사 결과 범죄 행위가 수년에 걸쳐 이뤄진 것으로 파악되는 상황이지만 교육청 내부는 이러한 사정을 모르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번 사건에 대전교육청 공무원 몇 명이 연루됐는지는 공개되지 않고 있다. 단독 행위인지 또는 여러 명이 함께 벌인 것인지에 따라 범죄의 경중이 달라질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 수사 중인 사안이라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기 어렵다는 게 대전교육청 청렴감사총괄관의 입장이다.
심재준 대전교육청 청렴감사총괄관은 "검찰이 수사 중인 상황이기 때문에 최종 수사가 끝나야 연루된 사람이 몇 명인지 공개할 수 있다"며 "수사 결과가 나오면 그때 교육청 차원에서 엄중하게 처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대전교육청은 낮은 청렴도를 높이기 위해 일선 학교까지 대대적인 자정 노력과 캠페인, 제도 개선을 통해 조금씩 청렴도를 높였다. 국민권익위원회의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 꼴찌 수준이었던 대전교육청은 2023년 종합 3등급, 2024년 종합 2등급으로 도약했다. 그러나 이번 사건으로 열심히 끌어올린 청렴도가 곤두박질칠 처지에 놓였다.
잇따른 사건 사고로 교육공무원들의 사기 저하도 우려된다. 2월 발생한 고 김하늘 양 피습을 비롯해 지속되는 교사 성비위, 교권 침해 사안 등 잠잠한 날이 없기 때문이다.
채정일 대전교육청 공무원노동조합 위원장은 "하늘 양 피습사건 등 안 좋은 일들이 많았고 전체적으로 사기가 많이 떨어진 상태에서 이런 일이 생겨서 상실감이 큰 분위기"며 "일각에선 '터질 게 터졌다'는 말까지 나오면서 좋은 기운은 받지 못하고 의욕이 떨어지는 상황인 것 같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