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조감도. 제공은 대전시 |
이택구 대전시 정무경제과학부시장은 17일 대전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산업단지 면적 축소로 인해 생산유발 효과가 대폭 줄어들었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며 "보상비 포함 여부에 따른 계산 방식의 차이일 뿐 사업 자체의 위축은 없다"고 말했다.
유성구 교촌동 일원에 528만㎡ 규모로 조성되는 나노반도체국가산단은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첨단 연구개발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대전의 핵심 전략 산업인 나노·반도체와 우주항공산업 분야를 중점 육성하기 위해 조성하는 대전 핵심 사업 중 하나다.
최근 한 언론이 대전시가 2년 전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후보지로 선정됐을 당시 생산유발 효과로 6조 2000억 원을 전망했지만, 지난해 예비타당성조사에 착수하며 발표한 산업단지 생산유발효과는 9700억 원으로 대폭 축소됐다고 보도했다. 또한, 기업유치 불발과 공업용수 공급 문제를 지적했다.
이날 이 부시장은 "후보지 선정 당시 충남방적 부지를 포함한 160만 평 전체 면적에 보상비까지 포함해 유발효과를 산출했지만, 예타조사 신청 시에는 KDI 기준에 맞춰 보상비를 제외해 산출한 것"이라면서 "보상비를 제외하고 조성비만 기준으로 생산유발계수를 적용한 수치가 9000억 원 수준으로 추정된 것이며, 사업 자체의 위축이나 유치 실패와는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기업 유치 불발에 대해선 "입주 수요를 허위로 부풀린 것이 아니라 실제 기업들로부터 받은 입주의향서를 기반으로 300% 수준의 수요를 확보한 것"이라며 "기업 유치는 산단 조성 시기에 맞춰 절차에 따라 유치하는 것으로, 현재 시점에서 기업 유치 확정, 불발을 운운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공업용수 부족 문제에는 "현재 시가 보유한 정수시설만으로도 40만 톤/일 공급이 가능하다"며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 입주로 추가 공업용수가 필요하다면 대청호 원수를 이용해 공업용 정수장을 신설할 수 있으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이 부시장은 "이번 논란은 사업의 본질과 무관한 수치상의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앞으로 국가산업단지의 면적이 당초 계획에 최대한 근접할 수 있도록 중앙부처 및 LH와 적극적으로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