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해 3월 22일 경남 함양에서 열린 '제1차 한국실업테니스연맹전 및 전국종별테니스 함양대회'에서 남자 단체전 우승을 차지하며 국내 최정상 팀임을 입증한 세종시청 테니스팀. 사진=세종시 제공. |
세종특별자치시가 직면한 이 같은 딜레마가 2011년 창단 이후 유일한 소속 단체로 있던 '테니스팀의 해체' 논란으로 비화되고 있다.
11일 시 및 시체육회에 따르면 세종시 소속 스포츠팀은 테니스가 유일했고, 나머지는 연고지 협약팀 9개로 구색을 맞춰왔다. 스포츠토토 여성 축구단과 한국수자원공사 탁구팀, 코오롱 육상팀, KB국민은행 사격팀, NH농협 소프트테니스팀, (주)FC세종축구단이 대표적이다. 사실상 전국체전 등의 국내 대회 성적내기용 성격이나 17개 광역 시·도 광역자치단체로서 구색 맞추기도 안 할 수 없었다.
안타까운 여건은 초·중·고 연계 시스템 부재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테니스팀 해체는 이 같은 흐름 아래 결정된 수순으로 다가온다.
시 관계자는 "2024년 연말부터 최근까지 다양한 대안을 검토했으나 정상적인 운영이 어렵다는 판단을 하게 됐다"라며 "해체 결정은 국내 선수들의 연봉 인상 요인과 지속된 감독 공석으로 인한 파행 운영 등을 동시에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부적으로는 ▲연봉 협상 과정에서 일부 선수가 과도한 계약금 및 연봉 요구(A 선수 : 전년 대비 100%) ▲지난해 경산시청과 당진시청팀으로 2명 이적(B·C 선수) ▲현재 공석 중인 감독직과 관련 앞선 감독 2명의 잇따른 비위 의혹, 장기화(D 감독 : 운동 장비 사유화, E 감독 : 성추행 및 언어 폭행, 대한체육회 징계 절차) ▲테니스팀 운영 예산 부담(전년 16억 원에서 일부 선수 이적 등으로 2025년 10.67억 원 등을 해체의 결정적 사유로 언급했다.
해체에 앞서 이 같은 상황을 미리 인지토록 했고, 계약 기간 만료 시까지 이적 등의 필요한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도 시사했다.
이 과정에서 '유도팀 통합' 창설을 전환 대안으로 찾았다. 종사자 1000명 이상 공공기관은 반드시 직장 운동 경기부 1개 이상을 운영해야 하는 정부 지침에 따른 선택지였다.
![]() |
사진 왼쪽부터 김주니, 양정무, 황현, 정숙화, 박한서, 이현아. 전원이 장애인 유도 국가대표다. 사진=세종시 제공. |
어울림 유도팀의 연간 예산은 6억 4000만 원 수준으로, 테니스팀과 장애인 유도팀(4.77억 원) 동시 운영 예산(15억 4450만 원) 대비 약 9억 원 이상 절감되는 것으로 분석했다.
시 관계자는 "2026년 예산편성 시점까지 여러 대안을 심도 있게 고심한 끝에 최종적으로 현재의 결정을 내리게 됐다"라며 "앞으로 투명하고 효율적인 체육 정책을 추진해 시민 여러분의 기대에 부응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일방적 밀실·독선에 의한 결정이라거나 유도팀 창설을 위한 꼼수 추진이란 주장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 |
전국적으로 세종시체육회만 유일하게 운영 중인 실업팀이 없다. 사진=시체육회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