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잎들깨 전용 수확로봇 개발은 잎들깨 작목의 경영비의 부담 완화와 함께 반복 작업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 발생 등을 줄이는 등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측은 업무협을 통해 1차 잎들깨 전용 수확로봇 개발, 2차 잎들깨 선별·포장 자동화, 3차 병충해 예찰 및 최적환경제어 연동 기술 개발 등을 단계적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농촌진흥청과 충남농업기술원의 지원을 통해 금산군농업기술센터에 구축한 잎들깨 테스트베드를 활용해 잎들깨의 환경·생육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등 현장 실증에 나서 수확로봇의 현장 적용성을 순차적으로 고도화할 예정이다.
㈜와에이아이 박성민 대표는 "잎들깨 수확로봇을 통해 농가에서 더욱 우수한 품질의 작물 생산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관리적 효율을 높일 계획"이라며 "시스템의 고도화를 통해 품질을 표준화하는 지능형 수확로봇 및 스마트팜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김홍기 금산군농업기술센터 소장은 "실증·검증·확산의 단계별 협력과 공동개발을 통해 최초의 잎들깨 전용 수확로봇 스마트팜 기술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한편 금산군은 2018년 전국 최초로 잎들깨 양액재배법을 도입하고 매년 지속적인 잎들깨 관련 연구와 스마트팜 기술 고도화에 나서고 있다.
금산깻잎은 2024년 기준 700억 원이 넘는 매출액을 달성하며 전국 최고 잎들깨 재배단지의 명성을 이어오고 있다.
금산=송오용 기자 ccmso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