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청권 광역급행열차(CTX) 노선도. 자료 국토교통부 |
황 의원은 21일 대전 동구 한국철도공사 본사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한국철도공사(코레일)·국가철도공단·에스알(SR)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 50번에는 행정수도 세종 완성이 있고, 그 주요 내용을 보면 전국 접근성 개선에서 서울에서 1시간 전국 주요 도시에서 2시간 접근 가능한 교통망 구축이 있다.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 건설이 여기에 해당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황 의원은 "2025년 하반기 민자적격성조사를 발표하고 내년에 제3자 공고 제안, 2027년에 우선사업자 지정, 2028년 실시계획 승인, 2029년 보상, 2030년 착공 등 착공까지 앞으로도 5년이 남았다"면서 "대통령 세종 집무실이 2029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행정수도에 맞춰 교통망을 구축한다고 하면서 2030년은 너무 늦다"고 말했다.
![]() |
황운하 국회의원(조국혁신당) |
황 의원은 "미국 워싱턴에 유니온역이 있는데 대표적인 행정수도다. CTX에도 이런 역이 있어야 할 것 같다"면서 "사업 예시를 보면 세종청사역, 조치원역이 있는데 행정수도의 대표 역은 어디서 할지 정했냐"고 이날 참석한 국토교통부 철도국장에게 물었다.
이어 세종 국회의사당역 조성 계획이 있는지도 질문했다.
황 의원은 "세종이 행정수도 역할을 하려면 국정과제 내용처럼 전국에서 접근 가능한 교통망 구축이 돼야하고 그 핵심은 철도"라면서 "교통허브 역할을 할 수 있는 역사를 미리 설계에 반영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가 사실상 민자적격성조사 절차를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간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4월 시작된 CTX의 민자적격성조사 절차가 마무리 단계다. 이미 경제성(B/C) 산출과 종합평가(AHP)를 완료했으며, 현재 재정실행 대안과 비교해 민간투자 방식 추진이 적절한지를 따져보는 VFM(Value for Money) 분석 절차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성(B/C)이 기준치(1.0 이상)를 밑돌았지만, AHP가 기준치(0.5 이상)를 넘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는 민자적격성조사의 후속 절차인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준비 중 것으로 전해진다.
지방권 광역급행철도(x-TX) 선도사업인 CTX는 D건설사와 S엔지니어링사가 'BTO(수익형 민간투자)·BTL(임대형 민간투자) 혼합형' 방식으로 구축을 제안한 노선이다. 대전정부청사역을 출발해 세종을 거쳐 청주공항역까지 64.4㎞다. 국토부는 2028년 착공해 2034년 개통한다는 계획이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