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1월 7일 한국수자원공사가 '2025년 국가 K-테스트베드' 신규 참여기관과 혁신기술 실증기회 확대 및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 지원을 위한 공동 협약을 체결했다. (사진= 한국수자원공사) |
9일 한국수자원공사에 따르면 7일 대전 본사에서 '2025년 국가 K-테스트베드' 신규 참여기관과 혁신 기술 실증기회 확대 및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 지원을 위한 공동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는 국가철도공단,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서울교통공사, 인천항만공사, 한국승강기안전공단, 한국연구재단,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등 7개 기관이 새롭게 참여했다. 이에 따라 국가 K-테스트베드에는 총 75개 기관이 참여하게 된다.
국가 K-테스트베드는 2021년 8월 기획재정부 주관으로 민·관·공 45개 기관이 합동 출범한 범국가 실증체계이다.
산업 분야의 제한 없이 공공과 민간이 보유한 인프라를 개방해 신기술 실증과 혁신조달 연계를 통한 판로 개척을 지원하는 국가 단위의 혁신 인프라 플랫폼이다. 현재까지 1489개소의 인프라가 개방, 750건의 기술 실증과제가 진행됐다.
공사는 국가 K-테스트베드의 총괄 운영기관으로서 전 산업적 실증 생태계 확산을 이끌고 있다.
특히, 국가 K-테스트베드 출범에 앞서 2018년부터 자체 테스트베드 사업을 선제적으로 추진해왔으며, 현재까지 댐·정수장 등 142개 물관리 인프라를 개방, 총 369건의 실증을 지원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 검증과 상용화를 적극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성능이 입증된 기술은 혁신조달로 연계해 공공시장 진입 및 판로 확대를 지원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기존 공공기관 중심의 개방에서 지자체와 지방공기업으로 확장해 실증 인프라의 폭을 넓혔다.
지난 3월 대전시와 협약을 체결, 이번에는 서울교통공사 등 지방공기업까지 참여 대상을 확대함으로써 전국 단위의 실증 인프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향후에는 성능이 검증된 인프라를 기반으로 민간 대기업의 참여도 유도해 전 산업의 혁신 촉진을 도모하고, 미래 신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이 글로벌 시장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안정호 한국수자원공사 그린인프라부문장은 "이번 협약은 지역과 산업의 경계를 넘어 범국가적 실증체계를 통해 중소·벤처기업이 예비 유니콘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한층 강화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미래 신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실증부터 판로까지 전주기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지윤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