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상일 피아니스트 |
그는 어린 시절부터 피아노에 두각을 나타냈다. 각종 대학 콩쿠르 및 신문사 콩쿠르에서 대상 및 상위 입상은 물론 대학 재학 당시 오디션을 통한 피아노 정기연주회, 춘계연주회, 실내악의 밤에 출연했다. 또한 충남대학교 예술대학 음악과를 실기 수석으로 졸업하여 수석 졸업의 특전인 제78회 조선일보 신인 음악회에 출연하여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교육에도 관심이 많았던 그는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과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 중등학교 정교사 2급 자격증을 취득했다. 대학원 시절에 출전한 제27회 음악 저널 콩쿠르 성악반주 부문에서 3위로 입상. 특히 대전 아트브릿지에서 주최한 제3회 ARTIST CONCERT 오디션에 선정되어, 피아노 독주회를 성황리에 마쳤다. 이후 전문 반주자로 활동하던 중 목원대학교 반주 전공 박사 과정에 진학하여 우수한 성적으로 학업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11세에 피아노를 시작하여 15세부터 전공의 길로 들어갔으나 가곡과 오페라가 너무 좋아 10대 후반부터 반주를 많이 했다. 합창 반주, 성악 반주, 기악 반주, 오페라 반주 등 다른 악기나 노래와 함께하는 앙상블이 좋았다고 한다.
갖춰진 실력과 빠른 초견, 센스가 좋다는 이유와 둥글둥글한 성격 때문에 학창 시절부터 학생들, 동료들, 교수님들의 러브콜이 끊임없이 들어와서 정작 본인 피아노 시험 곡은 뒷전이었다며, 지난 일을 돌이켜보기도 했다
한 학기에 딱 10명까지만 실기시험 반주를 해주자고 다짐했지만, 거절을 못하는 성격 때문에 20명까지도 실기시험 반주를 했다. 하지만 완벽주의인 성격 때문에 연습실에서 새벽까지 연습했던 기억도 있다고 하니 정말 타고난 예술가다.
한상일은 대학시절 실기 시험 등수가 1등으로, 피아노 연주를 많이 했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인지 피아노는 혼자 연주하는 고독한 악기라서 혼자 연습하고 혼자 무대에 서야 하며 모든 일정을 스스로 해결하는 것이 외롭고 쓸쓸했다. 그래서 피아노 연주를 하고 집에 돌아오면 허전함과 공허함이 밀려오곤 했었다.
그러나 앙상블은 함께하면서 서로 음악을 만들어가는 재미가 있다고 한다. 같이 호흡이 맞았을 때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행복을 느꼈으며, 연주를 마치고 연주자들과 담소를 나눌 수 있어서 외롭지 않다고 했다. 파트너와 음악을 함께 하는 것도 좋지만, 그 이면에는 선생님이나 지인들에게 센스가 있다는 칭찬을 자주 들었다.
바이올린이나 플루트처럼 기악 반주는 테크닉이 어렵지만 연습했던 대로 반주하면 된다. 하지만 성악은 몸이 악기라서 연주자의 당일 컨디션에 따라 호흡이나 템포가 달라질 수 있는데 한상일 반주자는 그것을 얼른 파악하고 수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을 어릴 적에 느꼈다고 한다. 그것은 후천적인 노력도 필요하지만, 선천적으로도 중요한 것 같다.
그는 성악가와 음악적인 흐름을 약속한 것 외에도 때때로 즉흥연주를 좋아해서 성악가가 돌발행동을 하거나 애드리브를 하면 받아쳐서 즉흥적으로 반주한다. 연주 당시는 긴장이 되지만 끝나고 나면 재미있고, 스릴이 있다.
피아노 전공과 반주 전공의 차이를 말하자면 피아노 독주곡은 작곡된 역사와 스토리만 공부하면 된다. 하지만 성악 반주는 작사한 시인의 가사를 번역하고 해석하여 반주부의 부분 부분마다 표현되는 시어가 내포하는 표현을 찾아 공부하는 점이 흥미로워서 시간은 걸리지만 재미있다고 말했다.
그는 박사과정 중에 영미 가곡, 독일 가곡, 프랑스 가곡, 한국 가곡, 오페라, 기악 소나타, 기악 콘체르토 등을 다양하게 공부하였다. 박사 과정 졸업 연주회를 앞두고 음악대학 졸업 연주회 레퍼토리를 고민하던 중에 자신한테 가장 어울리고 좋아하는 프랑스 가곡을 선택했으며 가브리엘 포레와 앙리 뒤파르크, 피아노 솔로 곡으로는 드뷔시 작품을 준비하고 있다.
포레는 프랑스 근대 음악의 아버지로 불린다. 대규모 음악보다 실내악, 가곡 등 소규모 음악에서 강점을 드러낸 서정 음악의 거장으로 프랑스 음악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며 그의 연가곡인 "다정한 노래"를 준비하고 있다. 뒤파르크는 포레와 함께 프랑스 가곡의 대표적인 작곡가로 예술성을 지닌 작곡가였으나 전성기에 정신병에 걸렸다. 자신에게 엄격하고 양심적이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작품을 파기해 버려서 작곡된 500곡 중에서 남긴 곡은 15곡 정도이며 그중에서 9곡을 선정하여 준비하고 있다.
피아노 독주곡으로 준비한 드뷔시는 프랑스의 인상주의 인물로 동양음악에 영향을 받아 색채감이 넘치는 곡들을 작곡하였다. 유명한 곡인 "달빛", "기쁨의 섬"을 준비하고 있다. 박사과정 중에 매 학기 한 시간 프로그램의 반주 리사이틀을 다섯 번 열었고, 이제 12월 초 졸업 연주회를 앞두고 연습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 |
| 한상일 피아니스트 |
양기훈(현 목원대학교 피아노 학부 교수), 윤숙( 충남대학교 겸임교수 역임)을 사사한 피아니스트 한상일은 이번 연주회를 통해 자신만의 음악 세계를 단단하게 구축하여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으로 관객과 소통할 것이다.
한상일 졸업 연주회는 12월 9일 (화) 저녁 7시 30분 대전시립연정국악원 작은마당에서 전석 초대로 열린다. 2025년 한 해를 보내면서 송년의 밤을 수놓을 뜻 깊은 연주회가 벌써부터 기다려진다.
민순혜/수필가
![]() |
| 민순혜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의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