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석홍]독도 문제 '후손 교육'이 답이다

  • 오피니언
  • 사외칼럼

[송석홍]독도 문제 '후손 교육'이 답이다

[월요아침]송석홍 경인여대 교수

  • 승인 2011-06-26 13:08
  • 신문게재 2011-06-27 20면
  • 송석홍 경인여대 교수송석홍 경인여대 교수
日, 독도야망 차근차근 키워나가
침략역사 되풀이 철저히 가르쳐야

▲ 송석홍 경인여대 교수
▲ 송석홍 경인여대 교수
미국 가정에 초대받은 어떤 일본인이 액자 선물을 하나 들고 왔더란다. 초대한 미국인이 무엇인가 하고 살펴봤더니, 다름 아닌 독도가 일본영토로 분명하게 표기된 '일본지도'였단다. 이처럼 일본인들은 외교관이 아닌 한 민간인조차 독도가 자기 영토라는 생각에 가득 차 있다.

그들은 국가소비를 진작시키고자 나라가 나눠 준 보너스 상품권마저 현금으로 바꿔서 은행에 넣는 사람들이다. 쓰나미로 죽어가면서도 자손들에게 그 재산을 물려주려고 애쓰는 사람들이 바로 일본인이다.

뿐만 아니다. 한국을 연구하는 '한국학' 학자만도 수백 명이 되는 나라다. 사실상 말이 '한국학'이지, 한국을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침략용 한국지도를 만드는 수준의 어마어마한 연구를 하고 있단다.

그런 일본이 지난 3월 30일 독도를 일본의 영토라고 기술한 중학교 사회교과서의 검정 결과를 발표했다. 일본외교청서는 1963년부터, 방위백서는 1978년부터, 일부교과서에서는 1993년부터 독도를 일본의 영토로 표기해왔다. 그러면 일본은 왜 이렇게 끈질기게 독도를 한국에 빼앗겼다고 교과서에 실어 자기 후손들에게 교육을 시키는 것일까. 곰곰이 들여다보면 그것은 한국에 빼앗긴 독도를 앞으로 후손들이 힘이 생기면 되찾아 달라는 '강력한 당부'라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다. 그런데 우리는 어떤가. 독립기념관 만든다고 온 나라가 떠들썩하게 한바탕 모금운동 벌이고, 3·1절이나 광복절이면 아우내 장터에서 만세운동 재연하는 게 고작이다. 일본이 독도를 집적댈 때마다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장기 태우고, 고래고래 소리 지르다가 혈서 한 번 쓰는 것으로 끝나곤 한다.

이건 아니다. 이런 한국 국민의 대응에 귀를 기울여야 할 일본의 후손들은 아직 태어나지도 않았다. 그리고 독도를 빼앗으려는 일본에 맞서 싸울 우리의 후손들도 아직 태어나지 않았는데 우리의 소란(?)을 누가 알기나 할 것이며 무슨 소용이 있을까.

일본은 1592년 임진왜란을 일으켜 7년간 우리 강토를 쑥대밭으로 만들었고, 300년 후인 1905년에는 우리를 보호해준답시고 강제로 국권을 빼앗아 36년간 다 수탈해간 나라다. 100년 후인 2010년에 와서는 자기네가 단 한 번도 지배해 보지도 않은 독도를, 한국에 빼앗겼으니 찾아 가야겠다고 외교전쟁을 선포했다. 어쩌면, 30년 후 쯤 후인 2040년(?)경에는 독도에 미사일을 쏘며 침공해올 지도 모를 일이다.

일본이 빼앗기지도 않은 남의 땅을 자기네 땅이라고 되찾아오라고 하는 심보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일본의 본성인 '침략근성'에 기인한다. 명나라를 칠 테니 길을 비켜달라던 임진왜란, 미개한 민족을 보호해야 한다는 을사보호조약, 지금에 와서는 남의 땅을 빼앗아갔으니 찾아야겠다는 독도침략…. 이 모든 것이 뿌리 깊은 일제의 침략근성이 깔려있기 때문이다.

물론 일본은 당대에서 독도를 빼앗아 갈 수도 없다. 또 한국도 독도를 일본에 절대로 빼앗기지도 않을 것이다. 그래서 일본은 후손 교육을 통해 다시 임진왜란이나, 한일합방 같은 방식으로 부디 독도를 한국으로부터 빼앗아 오길 염원하는 것이다.

문제가 생길 때마다 우리 정부나 정치권에선 실효지배 강화책을 단골메뉴로 들고 나온다. 하지만, 이런 대응은 어리석기 짝이 없는 대처이자 예산낭비에 불과하다. 이런 감정적인 반응은 일본의 대응만 키울 뿐이다. 일본은 우리의 아우성과는 아무 관계없이 정해놓은 각본대로 (1905년에 독도를 시마네현에 편입시킨 시마네현 고시부터 독도를 빼앗아갈 때까지) 차근차근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다. 외교는 원래 소리 없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국이 일본에 또다시 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한마디로 '후손 교육'이 정답이다. 우리는 우리 후손들에게 2040년(?)경쯤에 일본이 꾸미고 있을 독도 침공을 알려주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되풀이되는 일본의 침략역사를 가르쳐야만 하는 이유인 것이다. 즉 우리는 우리 후손들에게 일본의 각본에 대응할 정신을 무장시켜야 하고, 나아가서 힘을 길러 나라 없는 설움을 다시 겪지 않도록 철저하게 가르쳐야 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3.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4.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5.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1.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2.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3. 이한영, 중앙로지하상가 집중점검… "실효성 있는 활성화 대책 필요"
  4.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5.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