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의원은 3일 제281회 임시회 도정 질문에서 “수도권 충남학사 건립이 5년이 넘도록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다”며 “충남도가 지역인재육성을 방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광역 도 가운데 서울에 학사가 건립되지 않은 곳은 충남뿐이라는 것이 이 의원의 설명이다.
서울에서 가장 인접한 경기도의 경우 1986년 서울 도봉구(7940㎡ 부지)에 336명을 수용하는 경기학사를 건립했다. 강원도는 1989년 관악구에 1만39㎡ 부지를 확보, 264명을 수용하는 강원학사를 운영 중이며, 전북도 역시 1992년 서초구에 308명이 머물 수 있도록 했다. 제주도(2001년 강서구 300명 수용)와 충북도(2009년 영등포구 318명 수용) 역시 수도권 학사를 갖고 있다.
기초단체 중에서는 구미시와 포항시도 2014년 성북구와 동대문구에 각각 기존 건물을 고쳐 학사를 개설했다. 강원도와 충북도 경우 각각 2016년, 2019년까지 130억~300억 원을 투입, 250여 명을 수용하는 제2학사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전남도와 광주시는 2018년 개원을 목표로 466억 원 공동 투자, 608명 수용이 가능한 학사건립에 나서고 있다.
이 의원은 “매년 서울시와 협의를 하고 있다는 변명만 하는 사이에 인재 육성은 뒤처지고 있다”며 “일부 학생들은 충남에 연고를 둔 것이 후회스럽다는 한탄까지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 충남학사 건립의 명분은 이미 충분하다”며 “학비 부담 경감과 애향심 고취를 위해서라도 하루빨리 건립에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내포=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