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복만땅] 항렬 돌림자와 한문이름도 시대변화에 따라

  • 문화
  • 오복만땅

[오복만땅] 항렬 돌림자와 한문이름도 시대변화에 따라

[원종문의 오복만땅] 122. 이름과 한자

  • 승인 2018-12-02 10:38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게티
게티 이미지 뱅크
서기 1443년에 세종임금이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1446년 10월 9일에 훈민정음을 반포하기 전에는 우리 민족은 수천 년 동안을 한자(漢字)를 쓰면서 살아왔다.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한자도 여러 글자가 있으나 한자의 대부분은 중국에서 만들어져서 우리나라로 전해지게 되었는데 한자를 수천 년 동안 사용하다 보니 우리가 쓰는 용어의 대부분이 한자어이다,

산천, 강산, 국가, 국토, 부모, 자손, 부자, 권력, 성공, 대부분의 말들이 한자어 이고 순 우리말은 여울, 봄, 가을, 이슬, 구름, 방울, 무늬, 이런 말들은 한자어가 아닌 우리말이다. 한자는 글자 수가 무려 십만 글자도 넘는다고 알려져 있으나 우리말 '보들보들하고 뽀 오얀 아기의 살결' 이런 순수 우리말은 한자로 표기할 수 없다.

이 말을 한자어로 표기하자면 유연(柔軟)한 백색(白色)의 유아피부(幼兒皮膚)로 쓴다.



어머니 아버지 는 우리말이이고 부모(父母)는 한자어인데 우리나라는 이 두 가지를 다 사용한다. 우리나라의 성씨는 대부분 한자를 쓰고 있으며 요즈음 외국에서 귀화한 성씨 중에는 한자가 아닌 성씨도 간혹 있다.

이름도 대부분 한자와 한글을 같이 살펴서 이름을 짓지만 성씨는 한자 성씨를 쓰고 이름은 한글 우리말 이름을 짓기도 한다. 김 아름, 최 이슬, 박 슬기, 이 하나, 강 초롱, 오 맑음, 이런 이름들이 한글 한자 혼합형 이름이다.

우리나라는 한글과 한자를 같이 사용하기 때문에 이력서 나 주민 등록증, 여권 등에 이름을 적을 때 한글로 이름을 적는 난이 있고 한자로 이름을 적는 난이 있는데 한글 한자 혼합형 이름은 한자로 적는 난에도 "金 아름" "崔 이슬" "朴 슬기" 라고 적어서 성씨는 한자로 적고 이름은 한글로 적는다.

성씨가 대부분 한자 성씨이기 때문에 이름도 대부분 한자로 이름을 짓는 것이며, 예전에는 이름 중에 한 글자를 형제들이 공통으로 쓰는 항렬 돌림자를 대부분 사용하였으나 항렬 돌림자에 대한 인식은 점차 사라져서 요즘은 열에 아홉은 항렬 돌림자는 무시하고 타고난 운기에 잘 맞게 좋은 이름만 지어달라고 요청한다.

우리나라에서 한자는 한글전용 유행이 발생하면서 예전에 대부분 한자로 쓰던 신문들이 한글로 신문을 발행하고, 초등학교 교재에서도 한자가 아주 많이 나왔는데 이제는 한자가 사라지기도 했으나 오히려 한자사용은 점차 늘어나서 몇 년 전만해도 대법원에서 인명용 한자로 고시한 한자가 5187자에서 3000 자가 더 늘어나 8187 글자를 이름에 사용하라고 고시해 놓은 상태다.

그러나 이름을 지을 때 사용할 수 없는 글자가 5,000자가 넘으며 실제 이름을 지응 때 사용할 수 있는 글자는 많지 않으며, 뜻이 매우 좋고 글자 획수도 많지 않은 좋은 글자가 대법원 인명용 한자에 등록되지 않아 이름에 사용하지 못하는 글자도 많다.

한자로 이름을 지을 때 가장 중요하게 보는 대목은 글자의 뜻과, 글자의, 오행과, 글자의 획수 이 세 가지다. 한글이나 영어는 소리글자이지만 한자는 뜻글자이기 때문에 그 글자가 지니고 있는 뜻은 매우 중요하다.

같은 발음의 부자라도 "父子"는 아버지와 아들 이고, "富者"는 돈이 많은 사람으로 뜻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오행(五行)은 사물의 특성을 다섯 가지로 분류하는데 불화(火)자는 불이라는 뜻의 글자이기 때문에, 물수(水)자를 만나면 물은 불을 꺼지게 하여 불이 소멸되거나 쇠약해지는 뜻이 되고, 나무목(木)이 있으면 나무는(木) 물(水)을 흡수해 성장하고, 성장한 나무(木)는 불(火)를 잘 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상생관계를 이루게 된다.

한자로 이름을 지을 때는 이처럼 글자 상호간의 상생관계 상극관계를 살펴서 이름을 짓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글자의 오행은 시중에서 사주팔자라고 하는 태어난 생년월일시 에 따라서 넘치고 해로운 오행의 글자는 피하고, 부족하고 필요한 오행의 글자로 이름을 짓는 것을 필수 조건으로 한다.

이렇게 하여 뜻이 좋고, 글자의 오행이 서로 상생으로 잘 맞으며, 타고난 선천 사주운기와 잘 맞는 오행의 글자로 이름을 지어도 글자의 획수가 문제로 남계 된다.

운수가 좋다거나 재수가 없다거나 망할 수 있다거나 구설수가 있다거나 모두 수를 말하게 되는데 우주만물이 수로 이루어져 있고 수가 아닌 것이 없으며, 모든 수에는 각각의 수마다 길한 수가 있고 흉한 수가 있어 이름을 지을 때 수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한자의 획수는 일반인이 쓰는 글자획수와 이름 작명에서 쓰는 획수가 다른 글자가 많이 있어 획수를 잘못 쓰는 이름이 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육(陸)자는 쓸 때는 11획이지만 이름을 지을 때는 16획으로 써야 옳으며 七자나 九자는 쓸 때는 2획이지만 이름에서는 七자는 7획으로 쓰며, 九자는 9획으로 쓰는 것이다. 글자의 획수를 두 글자씩 더한 수와 성명의 글자 획수를 모두 더한 수

가 흉한지 길한지를 살피고, 획수를 나누어 주역으로 역상을 살피며 파자법도 참고해야 하고, 어조사에 해당되는 글자는 이름에 쓰지 않는 것이 옳다.

이제 끝마무리를 해야 하는 12월, 다가오는 황금돼지띠 해 기해년이 기다려진다.

원종문 명인철학원 원장

원종문-명인철학관-원장
원종문 명인철학원 원장은 사단법인 한국작명가협회 부회장 겸 대전지부 지부장, 한국동양운명철학인협회 이사, 한국작명가협회 작명시험 출제위원장, 국제뇌교육대학원 성명학 교수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연세대 명리학 전문과정과 경희대 성명학 전문과정을 수료했습니다. '이름 전문가'로 활동하며 '한국성명학 총론', '명학신서', '이름과 성공' 등의 저서를 발표했습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통령실 인사수석에 천안 출신 조성주 한국법령정보원장
  2.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두고 김태흠 지사-김선태 의원 '공방'
  3. [촘촘하고 행복한 충남형 늘봄교육] 학생에게 성장을, 학부모에겐 신뢰를… 저학년 맞춤형 늘봄
  4. '빈집 강제철거 0건' 충남도, 법 개정에 빈집정비 속도 오를까
  5. 보완수사 존폐 기로… 검찰청 폐지안에 대전지검 긴장
  1. 충남세종농협, 하반기 '채권관리 역량강화교육'
  2. 대전여성새로일하기센터 '하이브리드 회계&행정 사무원 과정' 일자리 협력망 회의
  3. 교수들도 수도권행…이공·자연계열 교원 지역대학 이탈 '심각'
  4. 배태민 KIRD 원장 취임 2주년 간담회 "교육 대상 대폭 확장 중"
  5. OECD 교육지표 엇갈린 평가… 교육부 "지출·여건 개선"-교총 "과밀·처우 열악"

헤드라인 뉴스


대전 바이오특화단지 지정 1년, 정부 예산은 아직?

대전 바이오특화단지 지정 1년, 정부 예산은 아직?

대전시가 국가첨단전략산업 바이오 특화단지로 지정된 지 1년이 지났지만, 사업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예산 편성 과정에서 국비 확보에 실패해 발목이 잡힌 것이다. 10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해 6월 산업부 국가첨단전략산업 바이오특화단지로 지정되면서 글로벌 바이오 혁신신약 클러스터 도약 목표를 세웠다. 지정된 산업단지는 891만㎡로 4곳이다. 조성을 마친 신동·둔곡과 대덕, 조성 예정인 탑립·전민(2028년 예정)과 원촌(2030년 예정) 산단이다. 지정된 특화단지는 정부 R&D예산 우선 배정부터 산업단지..

코스피 역사상 최고치 경신…대전 상장기업도 `활약`
코스피 역사상 최고치 경신…대전 상장기업도 '활약'

코스피가 세제 개편안 불확실성 해소 기대감으로 장중 3317.77까지 오르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코스닥 시장도 함께 들썩이는 상황으로, 국내 증시 훈풍 분위기와 함께 대전 상장사들의 성장세도 크게 두드러지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100일째를 맞은 10일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54.48포인트(1.67%) 오른 3314.53으로 장을 마감했다. 특히 이날 기존 장중 사상 최고점인 3316.08 찍으며 4년 2개월 만에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지수 상승 견인은 외국인이 이끌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1조 37..

`성 비위` 논란부터 줄탈당까지...조국혁신당 위기 극복할까
'성 비위' 논란부터 줄탈당까지...조국혁신당 위기 극복할까

창당 이후 '성 비위' 논란에서 촉발된 내부 갈등으로 최대 위기를 맞이하고 있는 조국혁신당. 9월 11일 당무위원회를 통해 비상대책위원장에 추대될 조국 전 대표가 구원 투수로 나설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갑년 세종시당위원장과 강미정 전 대변인 등의 탈당에 이어 중앙당 지도부가 지난 7일 총사퇴했음에도, 당장 세종시당 등 당내 정비는 숙제로 남겨져 있다. 세종시당 전 운영위원들은 지난 8일 중앙당 윤리위원회의 최근 결정 2건에 대한 재심 청구서를 제출했다.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의 징계 청원 기각(사건번호 2025윤리16) △세종시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옷가게도 가을 준비 완료 옷가게도 가을 준비 완료

  • 사상 최고점 돌파한 코스피…‘장중 3317.77’ 사상 최고점 돌파한 코스피…‘장중 3317.77’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